검색 상세

노인의 인지기능 수준과 관련된 요인 : 우울, 사회적지지,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level of the elderly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령인구의 급증과 더불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치매질환의 예방과 조기개입을 위한 노인 정신건강 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노인의 인지기능 수준과 관련된 임상적 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7년~2009년까지 경기도 소재 A대학병원 신경과에 인지기능검사를 위해 내원한 환자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하고 설문조사에 응할 수 있는 106명의 노인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평가를 위해 K-MMSE(Korean -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를 시행하였고, 우울정도는 GDS(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 일상생활능력은 S-IADL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MSPS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Folstein et al. (2001)이 제시한 K-MMSE 절단점을 기준으로 인지기능수준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이후 각 변수들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인지기능 수준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은 높을수록, 교육수준은 낮을수록 그리고 배우자가 없는 집단에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기능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더 우울하고 일상생활능력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지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치매의 고위험군과 인지기능 수준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목 차


국문초록......................................................................................iv
제1장 서론..................................................................................1
제1절 연구의 필요성.....................................................................1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3

제2장 이론적 배경.......................................................................5
제1절 노인의 인지기능수준 ...........................................................5
1. 치매(Dementia)......................................................................5
2. 경도인지장애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13
제2절 노인의 인지기능과 관련된 요인
1. 인지기능과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요인......................................17
2. 인지기능과 관련된 심리사회학적 요인......................................18

제3장 연구모형과 연구가설........................................................22
제1절 연구모형............................................................................22
제2절 연구가설............................................................................23
제4장 연구방법...........................................................................24
제1절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24
1. 연구대상..............................................................................24
2. 조사방법..............................................................................25
제2절 변수정의 및 측정도구...........................................................26
1. 인지기능수준.........................................................................28
2. 우울.....................................................................................27
3. 지각된 사회적지지..................................................................27
4.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28
제3절 자료 분석............................................................................28

제 5장 연구결과..........................................................................30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30
제2절 조사대상자 일반적 특성과 인지기능의 관계..............................32
제3절 인지기능에 따른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 사회적 지지의 관계......34
1. 인지기능 수준에 따른 우울정도................................................34
2. 인지기능 수준에 따른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34
3. 인지기능 수준에 따른 사회적지지.............................................35

제6장 고찰 및 결론.....................................................................37

참고문헌.........................................................................................41
부록:검사지와 설문지........................................................................54
Abstract .......................................................................................62



표 목 차

<표 1> ICD-10의 치매 유형 분류.....................................................................7
<표 2> 치료 가능한 치매의 원인질환................................................................8
<표 3> 치매 진단에서 고려해야 할 4가지 항목................................................9
<표 4> 치매 원인 진단을 위한 진단 검사........................................................11
<표 5>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 및 치매 환자 수 추이.........12
<표 6> 경도인지장애의 임상적 아형.................................................................14
<표 7> 경도인지장애를 위한 진단 기준............................................................16
<표 8> K-MMSE 절단점을 기준으로 자료가 분석된 노인 수..........................29
<표 9>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31
<표 10>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의 비교...........................33
<표 11> 인지기능에 따른 우울정도..................................................................34
<표 12> 인지기능에 따른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35
<표 13> 인지기능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지지...................................................36


그 림 목 차

<그림 1> 나이에 따른 인지기능의 변화...........................................................13
<그림 2> 연구모형............................................................................................2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