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유아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 인식분석

초록/요약

영유아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 인식 분석 이 미 숙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 이 혜 경) (국문초록) 본 연구는 올바른 영유아의 인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제고하며 아울러 바람직한 인권교육에 대한 인지를 높이고자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유아의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시설의 영유아 인권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유아 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유아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내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가정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남,여 교사들로 총 195부의 설문지를 자료 입력∙분석하였다. 본 조사의 자료 분석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응답 교사들의 배경변인 및 보육시설의 영유아 인권에 대한 실태, 영유아 인권및 인권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선택형 문항의 경우에는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문항마다 학력별, 근무기관별, 경력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𝝌2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유아 인권및 인권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평정 척도형 문항의 경우에는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고 t검증 또는 F검증을 실시하여 5%수준에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F검증 결과 변인내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될 경우에는 사후검증을 별도로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에서의 영유아 인권교육의 실태는 인권에 대한 인지정도가 상당히 높았으며, 대부분 신문 또는 방송매체를 통해 영유아 인권에 대해 들어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 인권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보다 없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부모의 무책임 및 학대 및 체벌등의 상황으로 영유아 인권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에서 인권교육은 실시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및 관심부족, 영유아 인권관련 전문교사 부족등의 이유로 인권교육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 인권에 대한 교사 교육이 실시된다면 교육에 참석하겠다는 높은 응답을 보였다. 둘째, 영유아 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으로는 영유아 인권과 가장 관계 있는 것으로 양육자의 올바른 양육환경으로 나타났으며, 인권하면 생각나는것으로는 영유아의 방임 및 학대라고 나타났다. 영유아 인권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영유아를 위한 시설 및 복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아 인권교육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인권교육시 다루어야 할 부분으로는 인간의 존엄성, 의사표현과 바람직한 권리행사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기본적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적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 모두 인식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유아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한 사전 경험과 기회 제공, 교육등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교사와 부모를 위한 인권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아울러 교사의 양성과 재교육에서 유아의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해 습득할 기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에게 바람직한 인권적 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해서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3. 용어의 정의 4
4.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1. 인권6
2. 영유아 인권 관련 법 12
3. 인권교육 15
4. 선행연구 19
Ⅲ. 연구방법 22
1. 대상 22
2. 도구 24
3. 절차 26
4. 자료 분석 26
Ⅳ. 결과 및 해석 27
1. 보육시설의 영유아 인권교육 실태 27
2. 영유아 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36
3. 영유아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42
Ⅴ. 논의 및 결론 46
1. 보육시설의 영유아 인권교육 실태 46
2. 영유아 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49
3. 영유아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51
참고문헌 54
부록 57

표 목 차
<표 Ⅲ-1 >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3
<표 Ⅲ-2> 설문지 문항 구성 25
<표 Ⅳ-1> 영유아 인권에 대한 인지 정도 28
<표 Ⅳ-2> 영유아 인권에 대한 인지 경로 29
<표 Ⅳ-3> 영유아 인권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의 경험 유무 30
<표 Ⅳ-4> 영유아 인권이 보장되지 않은 상황 31
<표 Ⅳ-5> 영유아 인권교육의 실시여부 33
<표 Ⅳ-6> 영유아 인권교육에 대한 어려움의 유무 34
<표 Ⅳ-7> 영유아 인권교육에 대한 어려운 점 35
<표 Ⅳ-8> 영유아 인권에 대한 교사 교육 참석 여부 35
<표 Ⅳ-9> 영유아 인권과의 관계성 37
<표 Ⅳ-10> 영유아 인권에 대한 이미지 39
<표 Ⅳ-11> 영유아 인권에 대한 개선 사항 40
<표 Ⅳ-12> 영유아 인권교육의 필요성 41
<표 Ⅳ-13> 영유아 인권교육의 중점 부분 41
<표 Ⅳ-14> 영유아 인권의식 향상 42
<표 Ⅳ-15> 영유아 인권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근무기관별) 43
<표 Ⅳ-16> 영유아 인권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학력별) 44
<표 Ⅳ-17> 영유아 인권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력별) 4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