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죽여 추출물의 미백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Skin Whitening and Antioxidant Efficacy of Extract from Bambusae caulis in Taeniam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과(Bambus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목본인 솜대(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의 줄기에서 외피를 제거하고 중간층을 실 모양 또는 얇은 선 모양으로 벗겨 건조한 죽여(Bambusae Caulis in Taeniam)추출물의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나아가 melanocyte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protein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2-DE를 이용하여 proteome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탄올 99%로 추출한 죽여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실험 결과와 DPPH를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활성에서 가장 우수한 농도 의존적으로 우수한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다. 죽여 추출물을 0, 0.5, 1, 5, 10 ppm의 농도로 배지와 세포를 회수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extra cellular와 intra cellular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으며, 결과로 죽여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 후 각질형성세포로 transfer하는 기작에 관련하는 것이 아니라, 멜라닌 합성 전이나 합성 중 기작에 관련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미백과 관련한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죽여 추출물을 처리한 melanocyte와 처리하지 않은 melanocyte의 전체 proteome을 2-DE를 사용하여 비교한 후 분석하였다. Matching spot의 pI값과 Molecular weight 를 비교해 본 결과, 미백 관련 단백질로 보여지는 12개의 spot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석된 단백질은 합성 전, 혹은 합성 중에 관련된 단백질이었다. 하지만 멜라닌 합성 후 과정에 관여하는 PAR-2 와 같은 단백질의 변화는 확인해 볼 수 없었다. 이를 통해 죽여 추출물의 멜라닌 형성 기작을 추론하여 볼 수 있었으며, 앞으로 항산화 효과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more

초록/요약

In this study, whitening and anti-oxidative efficacies of Bambusae caulis in Taeniam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extract were evaluated. Furthermore proteome analysis using 2-DE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change of protein(s) that affect(s) melanocyte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xtract of Bambusae caul is in Taeniam by 99% methanol increase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ant i-oxidant effect in a concentrat ion-dependent manner. To evaluate melanogenesis by Bambusae caul is in Taeniam extract in B16 melanoma cells, the level of melanin was measured. Af ter cultivat ion of B16 melanoma cells treated wi th 0, 0.5, 1.0, 5.0 and 10.0 ppm of Bambusae caul is in Taeniam extract , the B16 melanoma cells were harvested and then measured the level of melanin. As a result , Bambusae caul is in Taeniam extract inhibited the melanin synthesis not only intracellular but also extracel lular in a concentrat ion-dependent manner. Bambusae caulis in Taeniam extract was supposed to act before or in the middle of the melanin synthesis, not on the transferring melanin to keratinocyts. The proteomes of melanocytes untreated and treated wi th Bambusae caulis in Taeniam extract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pI values of Matching spots and molecular weights, 12 spots related to whitening effect were detected. These proteins were involved before and in the middle of the melanin synthesis process. However the change of the proteins such as PAR-2, which are involved in the post-melanin synthesis process, has been still unclear . In total , it can be presumed that Bambusae caulis in Taeniam extract effected melanogenesis, moreover this extract is expected to be an ant i-oxidative and whitening material in cosmetic field.

more

목차

1. 서론
가. 미백 1
나. 항산화 6
다. 죽여 7
(1) 대나무 7
(2) 죽여 8
라. Proteome 분석 기술 10
마. 연구 목적 11
2. 실험재료 및 방법
가. 재료및시약 12
나. 죽여의추출 12
다. 항산화효과측정 13
라.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 14
마. Cell viability assay (MTT assay) 15
바. Melanin content test 16
사. Protein extraction 16
아.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17
3. 결과 및 고찰
(1) 항산화효과측정 18
(2) 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 18
(3) Cell viability assay (MTT assay) 23
(4) Melanin content 23
(5) Proteome analysis 26
4. 결론 32
5. 참고문헌 34
Abstract 3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