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이 진로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을 파악하고,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며, 마지막으로 양성평등의식이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6학년 368명을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감 질문지, 양성평등의식 질문지, 진로발달 질문지, 진로자기효능감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Scheffé),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살펴보면 양성성과 여성성을 가진 아동의 양성평등의식이 남성성과 미분화 유형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양성성을 가진 아동은 다른 성역할 정체감을 가진 아동에 비해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아동일수록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으며, 양성평등의식이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진로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양성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적 개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 학교, 사회가 함께 노력하여 양성평등한 사회문화 풍토를 조성해야 하며, 특히 학교에서는 다양한 양성평등 프로그램을 적용한 진로교육 및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양성평등 진로교육 및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성역할 문화 형성을 통한 양성평등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성역할 정체감 6
2. 양성평등의식 13
3. 진로관련 변인 19

Ⅲ. 연구 방법 31
1. 연구 대상 31
2. 연구 도구 31
3. 자료 수집 38
4. 자료 분석 38

Ⅳ. 연구 결과 39
1. 연구대상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분포 39
2. 성별, 성역할정체감, 양성평등의식, 진로발달,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40
3.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 42
4.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 43
5.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진로발달의 차이 44
6.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의 차이 45
7.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47
8.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48

Ⅴ. 논의 49
1. 요약 49
2. 논의 및 제언 51

참고 문헌 57
부록 6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