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이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정보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 출생 순위, 가족구성형태에 따른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진로의식성숙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진로의식성숙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은 진로의식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생 6학년 남학생 244명, 여학생 256명 총 5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중 유효한 494부를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토대로 제석봉(1989)이 개발한 자아분화척도를 박수영(2005)이 아동용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한 것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아동용 자아분화 척도의 신뢰도는 .608을 나타냈다. 자아존중감 검사를 위해서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황성우(2007)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척도를 활용하였고, 신뢰도는 .763을 나타냈다. 진로의식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강원도 교육연구원(1993)에서 제작한 ‘초등학교·중학교 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 도구’이며, 본 연구에서는 능력검사를 제외하고 태도검사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735를 나타냈다. 자료의 분석은 먼저 내적 일관성 정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α 값을 구하여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연구 문제 1의 초등학생들의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진로의식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 문제 2의 초등학생들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 및 진로의식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며, 연구 문제 3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이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진로의식성숙도는 성별이나 출생순위와 대체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아분화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분화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단절에 있어 출생순위가 영향을 미쳤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자아분화와 진로의식성숙도 간에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진로의식성숙도는 서로 정적 상관을 나타내기는 했으나, 상관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이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도는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도는 자아분화의 하위요인 중 가족퇴행과 정서적 단절이 낮을 때 나타났으며, 또한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가정적 자존감과 총체적 자존감 및 사회적 자존감이 높을 때 나타났다. 그러나 자아분화는 자아존중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설명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도는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함의를 지닌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과 동시에 학생들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비록 낮은 상관을 보이긴 했으나 자아존중감 역시 진로의식성숙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초등학생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이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므로, 학생들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 수준을 높이는 것이 초등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도를 좀 더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학생들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이 낮은 상태일 때는 좋은 프로그램이라 할지라도 제 가치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것이므로, 평소 학교현장에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수준으로 학생들의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겠다. 따라서 본 연구 자료는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실제 지도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자아분화
2. 자아존중감
3. 진로의식성숙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성별, 출생순위에 따른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진로의식성숙도의 차이
2.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 및 진로의식성숙도의 관계
3.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이 진로의식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Ⅴ. 요약 및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 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