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학생 4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진로태도성숙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상관분석과 표준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부모지지 하위요인을 도구적 조력, 진로관련 모델링, 언어적 격려, 정서적 지지 등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을 문제 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정서 중심적 대처로 하였다.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 요인은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 등 5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변인들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지지는 전체적으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별로는 여학생이 정서적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학생이 사회적 지지 추구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진로태도성숙도는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높았다. 둘째,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진로태도성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영역 사이에 모두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태도성숙도는 부모지지, 문제 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와 상관이 있었으나 정서 중심적 대처와는 상관이 없었다. 셋째, 남학생의 경우 부모지지가 진로태도성숙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부모지지가 진로태도성숙도 전체에 영향을 미쳤고, 특히 진로관련모델링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여학생 모두 문제 중심적으로 대처할 때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았고, 정서 중심적으로 대처할 때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이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지지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으나 스트레스 대처방식, 진로태도성숙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성별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나 하위변인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성별을 고려하여 진로지도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가설 4

Ⅱ. 이론적 배경 5
1. 부모지지 5
2. 스트레스 대처방식 8
3. 진로태도성숙도 14
4. 부모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 18

Ⅲ. 연구방법 21
1. 연구대상 21
2. 측정도구 22
3. 분석방법 26

Ⅳ. 연구결과 27
1. 부모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 진로태도성숙도의 성별에 따른 차이 27
2. 부모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 진로태도성숙도 간의 상관관계 31
3. 부모지지가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32
4.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42

Ⅴ. 논의 53
1. 요약 53
2. 논의 및 제언 55


참 고 문 헌 59

부 록 66
1. 부모지지 척도 68
2.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69
3. 진로태도성숙도 척도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