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어린이 영자신문 활용 수업이 읽기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국문 초록 어린이 영자신문 활용 수업이 읽기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박 승 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지도교수 박 정 기) 본 연구는 정규교과로 영어를 3년 정도 익힌 초등학교 6학년들을 대상으로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읽기와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 효과를 분석 검증하여 EFL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읽기 방안 및 읽기 자료를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읽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둘째,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원시에 위치한 S 초등학교 6학년 7개 반 중 사전검사를 통해 동일한 집단으로 밝혀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8주간 16차시에 걸쳐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정규교과 수업의 40분 중 15분을 활용하여 한 차시의 수업에서 하나의 활동만을 쉽고 흥미로운 신문자료를 투입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교사용 지도서에 바탕을 두어 정규교과 수업 40분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써 타당성을 인정받은 PELT Jr. 2급을 활용하여 사전 &#8228; 사후 읽기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신뢰성을 인정받은 정의적 영역 사전 &#8228; 사후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소감문을 통해 실험집단 학생들의 실험 후 다양한 견해를 분석해 보았다. 실험 분석에서 읽기 능력은 사전 &#8228; 사후 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이 사후에도 동질집단인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정의적 영역은 사전 &#8228; 사후 설문지를 바탕으로 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4가지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두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알기 위해 사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가져왔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높은 평균치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였다. 영자신문을 활용한 활동은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히 관련된 내용이라는 소재의 친밀도와 읽고 나서 새롭고 흥미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이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일반적인 교과서 위주의 수업보다는 다양한 신문 자료를 투입하여 활동을 고안했을 경우 학생들의 읽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정의적 영역 중 흥미도, 자신감, 영어 읽기 수업에 대한 기대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불안감을 줄이는 데는 유의미한 영향을 가져오지 못하였다.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최신의 기사를 다루는 살아 있는 학습 자료로서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소재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흥미도와 자신감, 기대감 등의 영역을 높이는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발전적인 후속 연구를 기대하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어린이 영자신문에 관한 후속 연구가 다양한 각도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학교 현장에서 영어 읽기 수업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자료나 CD의 개발이 필요하며,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 학습은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질 때 더욱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학습의 형태이므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최소 1학기 이상의 장기적인 실험의 연구가 필요하다.

more

목차

제 목 차 례

Ⅰ.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문제 및 가설‥‥‥‥‥‥‥‥‥‥‥‥‥‥‥‥‥‥‥‥ 3
1.3. 용어의 정의‥‥‥‥‥‥‥‥‥‥‥‥‥‥‥‥‥‥‥‥‥‥‥ 4
1.4.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 7
2.1. 신문활용 교육(NIE)‥‥‥‥‥‥‥‥‥‥‥‥‥‥‥‥‥‥‥ 7
2.1.1. 신문활용 교육(NIE)의 개념과 현황‥‥‥‥‥‥‥‥‥ 7
2.1.2. NIE의 목적 및 교육적 효과‥‥‥‥‥‥‥‥‥‥‥‥ 9
2.2. 초등영어 읽기 교육과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 14
2.2.1. 읽기의 개념과 총체적 언어교수법‥‥‥‥‥‥‥‥‥ 14
2.2.2. 초등영어 읽기 교육‥‥‥‥‥‥‥‥‥‥‥‥‥‥‥‥ 20
2.2.3.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 21
2.2.4. 신문활용 수업 모형과 읽기 지도 원칙‥‥‥‥‥‥‥ 25
2.3. 선행연구‥‥‥‥‥‥‥‥‥‥‥‥‥‥‥‥‥‥‥‥‥‥‥‥ 29
2.3.1. 영어과에서의 NIE를 활용한 연구‥‥‥‥‥‥‥‥‥ 29

Ⅲ. 연구 방법‥‥‥‥‥‥‥‥‥‥‥‥‥‥‥‥‥‥‥‥‥‥‥‥‥ 32
3.1. 연구 대상‥‥‥‥‥‥‥‥‥‥‥‥‥‥‥‥‥‥‥‥‥‥‥‥ 32
3.2. 실험 설계‥‥‥‥‥‥‥‥‥‥‥‥‥‥‥‥‥‥‥‥‥‥‥‥ 38
3.3. 실험 도구‥‥‥‥‥‥‥‥‥‥‥‥‥‥‥‥‥‥‥‥‥‥‥‥ 40
3.3.1. 영어 읽기 능력 검사지‥‥‥‥‥‥‥‥‥‥‥‥‥‥‥ 40
3.3.2. 정의적 영역 검사지‥‥‥‥‥‥‥‥‥‥‥‥‥‥‥‥ 42
3.3.3. 학습자의 소감문‥‥‥‥‥‥‥‥‥‥‥‥‥‥‥‥‥‥ 43
3.4. 연구 절차 및 내용‥‥‥‥‥‥‥‥‥‥‥‥‥‥‥‥‥‥‥ 43
3.4.1. 연구 절차‥‥‥‥‥‥‥‥‥‥‥‥‥‥‥‥‥‥‥‥‥ 43
3.4.2. 실험 수업 모형 및 절차‥‥‥‥‥‥‥‥‥‥‥‥‥‥ 44
3.4.3. 실험 수업 신문 기사 구성‥‥‥‥‥‥‥‥‥‥‥‥‥ 46
3.4.4. 학습 자료와 학습활동의 선택‥‥‥‥‥‥‥‥‥‥‥ 48
3.5. 분석 방법‥‥‥‥‥‥‥‥‥‥‥‥‥‥‥‥‥‥‥‥‥‥‥‥ 50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51
4.1.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51
4.2. 정의적 영역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54
4.3. 학습자의 소감문‥‥‥‥‥‥‥‥‥‥‥‥‥‥‥‥‥‥‥‥ 64

Ⅴ. 결론 및 제언‥‥‥‥‥‥‥‥‥‥‥‥‥‥‥‥‥‥‥‥‥‥‥ 67
5.1. 요약 및 결론‥‥‥‥‥‥‥‥‥‥‥‥‥‥‥‥‥‥‥‥‥‥ 67
5.2. 제언 ‥‥‥‥‥‥‥‥‥‥‥‥‥‥‥‥‥‥‥‥‥‥‥‥‥‥ 70

참 고 문 헌‥‥‥‥‥‥‥‥‥‥‥‥‥‥‥‥‥‥‥‥‥‥‥‥‥‥ 72
부 록‥‥‥‥‥‥‥‥‥‥‥‥‥‥‥‥‥‥‥‥‥‥‥‥‥‥ 76


표 목 차

<표 1>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신문활용 교육의 효과 ‥‥‥‥‥‥‥‥ 12
<표 2> 총체적인 언어 지도 프로그램 모형‥‥‥‥‥‥‥‥‥‥‥‥‥ 25
<표 3> 실험 대상의 구성‥‥‥‥‥‥‥‥‥‥‥‥‥‥‥‥‥‥‥‥‥ 32
<표 4> 사전 읽기 능력 독립표본 t검정 결과 ‥‥‥‥‥‥‥‥‥‥‥‥ 33
<표 5> 사전 정의적 영역에 대한 실험 ․ 통제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 결과‥ 33
<표 6> 실험설계 모형 ‥‥‥‥‥‥‥‥‥‥‥‥‥‥‥‥‥‥‥‥‥‥ 39
<표 7> 읽기 능력 검사지의 내용 ‥‥‥‥‥‥‥‥‥‥‥‥‥‥‥‥‥ 42
<표 8>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 설문지 신뢰도 ‥‥‥‥‥‥‥ 43
<표 9> 통제 집단의 정규교과 수업 모형‥‥‥‥‥‥‥‥‥‥‥‥‥‥ 44
<표 10> 실험 집단의 어린이 영자신문 활용 수업 모형 ‥‥‥‥‥‥‥ 45
<표 11> 각 차시별 선정된 신문 자료 ‥‥‥‥‥‥‥‥‥‥‥‥‥‥‥ 47
<표 12> 사전 ․ 사후 읽기 평가 성적 평균과 표준편차‥‥‥‥‥‥‥‥ 51
<표 13> 집단별 사전 ․ 사후 영어 읽기 평가 성적간의 대응표본 t검정‥‥‥ 52
<표 14> 실험반과 통제반의 읽기 사후 점수 독립표본 t검정 결과 ‥‥ 53
<표 15> 영어 학습 흥미도에 대한 사전 ․ 사후 설문결과 비교 ‥‥‥‥ 54
<표 16>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사전 ․ 사후 대응표본 t검정 결과‥‥ 55
<표 17>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사후 독립표본 t검정 결과‥‥‥‥‥ 56
<표 18> 영어 학습 자신감에 대한 사전 ․ 사후 설문결과 비교‥‥‥‥ 57
<표 19>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 사전 ․ 사후 대응표본 t검정 결과 비교‥‥ 58
<표 20>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 사후 독립표본 t검정 결과‥‥‥‥‥ 58
<표 21> 영어 학습 불안감에 대한 사전 ․ 사후 설문 결과 비교‥‥‥‥ 59
<표 22> 영어 학습에 대한 불안감 사전 ․ 사후 대응표본 t검정 결과‥‥ 60
<표 23> 영어 학습에 대한 불안감 사후 독립표본 t검정 결과‥‥‥‥‥ 61
<표 24> 영어 읽기 학습 기대감에 대한 사전 ․ 사후 설문결과 비교‥‥ 61
<표 25> 영어 읽기 학습 기대감에 대한 사전 ․ 사후 대응표본 t검정 결과‥‥ 62
<표 26> 영어 읽기 학습에 대한 기대감 사후 독립표본 t검정 결과‥‥ 63
<표 27> 실험집단 학생들의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 활동에 대한 사후 설문내용‥‥ 65
















그 림 목 차


<그림 1> 신문활용 학습 모형 ‥‥‥‥‥‥‥‥‥‥‥‥‥‥‥‥‥‥‥ 26
<그림 2> 영어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34
<그림 3> 학교 외 장소에서 영어를 배운 시간‥‥‥‥‥‥‥‥‥‥‥‥ 34
<그림 4> 학교에서 영어 공부를 배우는 것 외의 영어 공부 방법 ‥‥‥ 35
<그림 5> 선호하는 언어 활동 ‥‥‥‥‥‥‥‥‥‥‥‥‥‥‥‥‥‥‥ 44
<그림 6> 읽기 시간에 원하는 공부 방법 ‥‥‥‥‥‥‥‥‥‥‥‥‥‥ 44
<그림 7> 영자신문을 읽어 본 경험 ‥‥‥‥‥‥‥‥‥‥‥‥‥‥‥‥ 45
<그림 8> 영자신문이 영어 공부에 도움이 되는가? ‥‥‥‥‥‥‥‥‥ 46
<그림 9> 사전 읽기 능력 검사지 빈도분석 결과‥‥‥‥‥‥‥‥‥‥‥ 49
<그림 10> 사전 ․ 사후 영어 읽기 성적 비교‥‥‥‥‥‥‥‥‥‥‥‥ 60
<그림 11> 영어 학습 흥미도에 대한 사전 ․ 사후 설문결과 비교‥‥‥ 63
<그림 12> 영어 학습 자신감에 대한 사전 ․ 사후 설문결과 비교‥‥‥ 65
<그림 13> 영어 학습 불안감에 대한 사전 ․ 사후 설문결과 비교‥‥‥ 67
<그림 14> 영어 읽기 학습 기대감에 대한 사전 ․ 사후 설문결과 비교‥ 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