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상담성과 : 자기결정이론의 치료적 적용

Basic psychglogical needs satisfaction of clients and counseling outcome : The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theory to counseling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기결정이론의 건강동기모델이 상담 및 치료 장면의 내담자의 변화를 설명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건강동기모델에서는 상담자의 자율성 지지와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자율적 동기가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를 거쳐 상담성과에 영향을 준다고 제안한다. 건강동기모델은 예방 의학 장면에서는 그 타당성이 반복적으로 검증된 바 있으나 상담 분야에서 적용된 연구는 드물었다. 연구 1에서는 성공적인 상담성과를 보인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수행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담자들이 상담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을 경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욕구 만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발견하였다. 욕구 만족 경험은 상담성과에 영향을 주는 치료 기제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욕구 만족 자체가 상담성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면담 내용과 기존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들을 문항풀로 사용하여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또한 상담자의 자율성 지지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율성 지지 척도를 번안하고 함께 타당화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문항들은 상담 장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욕구 만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하였다. 하지만 자율성과 관계성 만족 척도의 경우 내담자의 애착척도의 몰입 차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측정치에 전이 감정이나 몰입 애착이 혼입되어 있을 가능성을 보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에서 개발 및 타당화된 척도들을 사용하여 자기결정이론의 건강동기모델을 검증하였다. 건강동기모델은 내담자의 상담만족도, 내담자의 부정적 정서 변화량과 긍정적 정서변화량을 잘 설명하였으며,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상담자의 자율성 지지 측정치가 내담자의 자율성 지지 측정치보다 모델 설명력을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담자의 상담초기 자율적 동기가 직접효과에서 긍정적 정서 변화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그 영향력이 연구 가설과는 반대로 나타났다. 내담자의 지나친 상담에 대한 기대와 높은 증상 완화 동기가 이러한 결과의 원인으로 추측되었다. 상담단계별로 욕구 만족의 효과를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초기단계에는 자율성, 중기단계에는 관계성, 종결단계에는 유능감 만족이 성과에 미치는 유의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의 건강동기모델이 다양한 접근법의 상담에서 내담자들의 치료적 변화를 잘 설명한다는 것을 입증한 연구로, 자기결정이론의 확장과 적용에 큰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욕구 지지의 치료적 효과는 자기결정이론의 욕구 만족과 지지 방법을 상담실천 및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6
1. 치료적 공통 요인 6
1) 공통 요인에서 특정 요인으로, 그리고 통합적 패러다임으로 6
2) 치료적 관계와 내담자의 동기 9
2.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과 기본 심리적 욕구 이론(basic needs theory) 14
1)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14
2) 자기결정이론의 내면화 모델 : 자기결정성의 연속성 16
3) 기본 심리적 욕구(basic psychological needs) 20
4) 자기결정이론의 치료적 적용 38
III.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문제 60
1. 연구의 목적 60
2. 연구문제 63
IV. 연구 1 : 상담에서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욕구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질적 분석 64
1. 연구방법 64
1) 분석방법 64
2) 참가자 65
3) 연구도구 69
4) 연구절차 70
2. 연구결과 74
1) 상담에서의 자율성 만족․불만족요인과 자율성 만족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74
2) 상담에서의 유능감 만족․불만족요인과 유능감 만족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77
3) 상담에서의 관계성 만족․불만족요인과 관계성 만족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80
4) 상담시작문제, 상담에 대한 사전 기대, 상담성과, 상담에 진척이 없다고 느끼거나 그만두고 싶었을 때 84
5) 상담성과에 영향을 준 기타 요인, 성공적인 상담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 것 86
3. 논의 94
연구 2.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103
V. 연구 2-1.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의 개발 103
1. 연구방법 103
1) 문항풀(item pool) 구성 과정 103
2) 참가자 105
3) 연구도구 106
4) 연구절차 110
5) 분석방법 110
2. 연구결과 111
VI. 연구 2-2.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척도의 타당화 117
1. 연구방법 117
1) 참가자 117
2) 연구도구 121
3) 연구절차 127
4) 분석방법 127
2. 연구결과 129
1) 구성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 문항-총점 간 상관, 확증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129
2) 수렴 타당도 분석 : 내담자 애착척도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일반형, 내담자와 상담자의 작업동맹 및 자율성 지지 척도와의 관계 132
3) 공존 타당도 분석 :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담시간 평가 및 상담만족도와의 관계 134
4) 상담시간 평가와 상담만족도에 대한 예측 정도 135
3. 논의 137
VII. 연구 3 : 자기결정이론의 건강동기모델 검증 144
1. 연구방법 144
1) 참가자 144
2) 연구도구 148
3) 연구절차 152
4) 분석방법과 결과 제시 방법 152
2. 연구결과 155
1) 주요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와 상관 155
2) 내담자의 상담만족 설명 모델 157
3) 내담자의 부정적 정서 변화 설명 모델 160
4) 내담자의 긍정적 정서 변화 설명 모델 163
3. 논의 167
VIII. 종합 논의 174
참고문헌 179
Abstract 207
부록 21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