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허혈-재관류 뇌손상에 대한 Propofol, Ketamine 단독 혹은 혼합 투여의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Propofol and Ketamine(alone or combined) Against Oxygen-Glucose Deprivation-Reperfusion Injury

초록/요약

허혈-재관류 뇌손상에 대한 Propofol, Ketamine 단독 혹은 혼합 투여의 효과 연구 목적 : Propofol 과 ketamine 은 뇌보호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두 약제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뇌보호 작용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실험연구는 propofol 과 ketamine 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허혈-재관류로 인한 뇌손상으로 부터 뇌세포를 보호하는데 부가적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3일째 혼합 배양된 세포를 무산소, 무포도당 환경에서 5분간 배양한 후 2시간 동안 재관류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허헐 손상이 시작되는 시기로부터 재관류가 끝날 때 까지 propofol (1, 10, 25, 50, 100μM) 과 ketamine (1, 2.5, 5, 10, 50μM) 을 각각, 혹은 동시에 투여하였다. Trypan-blue 염색을 한 후 살아남은 세포의 수를 세어 세포 사망률을 계산하고 oneway-ANOVA test 를 실시하였으며, Bonferroni's test 를 통하여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 허혈-재관류 손상 후 약 70% 의 세포사망률을 보였으며, 5−50μM 의 ketamine 을 투여한 실험군 에서는 세포사망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10−100μM 의 propofol 을 투여한 실험군 에서도 유의한 세포사망률의 감소를 보였다. Propofol 과 ketamine 동시 투여군 에서는 ketamine 2.5μM + propofol 50, 100μM, ketamine 10μM + propofol 100μM, propofol 1, 10μM + ketamine 5, 10μM 군에서 각각 한가지 약제만 투여하였을 경우보다 낮은 세포사망률을 보였다. 결론 : Propofol 과 ketamine 은 각각 뇌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두 약제를 같이 사용하였을 때 추가적인 뇌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핵심어 : 허혈-재관류 손상, ketamine, propofol

more

목차

차례

국문요약 ……………………………………………………… ⅰ
차례 …………………………………………………………… ⅱ
그림차례 ……………………………………………………… ⅲ
표차례 ………………………………………………………… ⅳ
I.서론 ………………………………………………………… 1
II.대상 및 방법 ……………………………………………… 2
A.세포배양 ………………………………………………… 2
B.OGD (허혈) 재산소화(재관류) 손상과 약물처리 ……2
C.살아있는 세포 수 측정 ………………………………… 3
III.결과 ………………………………………………………… 4
IV.결론 ………………………………………………………… 8
V.고찰 ………………………………………………………… 9
참고문헌 ……………………………………………………… 13
ABSTRACT …………………………………………………… 1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