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해양 원격탐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특이영상 메타데이터 생성 및 전달 방법 연구

A Metadata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for Ocean Remote Sensing Multimedia Services

초록/요약

지구관측 분야에 있어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구관측은 일반적인 현장 조사를 통한 지질, 해양, 지표 변화 관찰 방법을 보완하는 또 하나의 관측기법으로 기술개발이 가속화된 현대에 와서 제시되었다. 일정 기준 범위 내에서 광역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보편화되고 있으며, 특히 해양의 경우, 현장 조사 환경이 열악하고 특정지점의 정보로 해역을 대표하는 등의 결과의 오차가 커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해양 원격탐사 분야가 1970년대부터 활발히 연구되었다. 세계 최초의 해색 센서인 CZCS를 시작으로 SeaWiFS, MODIS, MERIS 등의 해색 관측 센서들이 개발/발사되어 북극과 남극을 지나는 극궤도를 돌면서 전 해양 표면을 1~2일에 1회씩 지속적인 해양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의 위성을 이용한 해양관측시스템의 효시는 다목적위성 1호의 OSMI센서이며, 최근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에서 해양을 관측하는 통신해양기상위성(COMS)의 정지궤도해양위성(GOCI)이 개발되어 2010년 초 발사예정이다. 정지궤도해양위성은 지상에서 볼 때 움직이지 않고 동일한 위치에 계속 머물러 있는 것처럼 적도상공 35,768km 정지궤도에서 지구의 바다를 관측하도록 계획된 고해상도 해양위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SeaWiFS위성은 8개의 밴드를 이용하여 해양 환경 변화 및 해양 생물학적 변동을 관측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좋은 품질의 위성영상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기 때문에, GOCI 위성의 개념 설계 단계부터 많은 참조가 있었다. GOCI 위성자료의 처리 및 배포 서비스를 위하여 SeaWiFS의 배포 방식을 따라 허락된 사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한 위성자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정지궤도위성의 특징인 지역적 해양 환경의 단기적 변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특별히 제공하지 못하였고, 단순 날짜별 자료별 검색만을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지궤도 해양위성(GOCI)의 자료 서비스 정책을 개선하여 보다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지궤도 해양원격탐사 자료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역적 해양 환경의 단기적 변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자료처리 및 분석 기술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의미기반 검색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확충할 수 있는 자료 분석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사용자의 검색을 단순화하고, 배포성능을 향상시킬 자료검색 및 배포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샘플자료를 활용한 분석을 통하여 기존 방법보다 나은 결과를 보였고, 정지궤도위성자료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한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more

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관련연구 4
제1절 해양 원격탐사위성 4
1. 국내외 동향 5
2. 해양 원격탐사위성 개발 14
제2절 해양원격탐사 영상 분석 기술 17
1. MPEG-7 표준 17
2. 메타데이터 19
3. 자료검색 방법 22
제3절 해색위성자료 서비스 23
1. 극궤도 위성자료 서비스(SeaWiFS의 경우) 23
2. 극궤도 위성과 정지궤도 위성의 차이점 27
제3장 메타데이터 생성 및 전달 방안 연구 29
제1절 정지궤도 위성자료 배포 서비스의 문제점 29
제2절 해양 원격탐사 멀티미디어 서비스 32
1. 정지궤도해양위성 해양자료처리시스템 32
2. 해양위성자료배포시스템 41
제3절 메타데이터 생성 및 전달 기법 45
1. 위성자료분석시스템 45
2. 위성자료배포등록시스템 48
제4장 결과 고찰 50
제1절 해양 멀티미디어 서비스 구축 결과 50
1. 자료 분석 성능 50
2. 자료 검색 및 배포 성능 51
제5장 결 론 56
참고문헌 57
ABSTRACT 5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