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자기불일치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self-discrepancy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 만족과의 관계를 의사소통 불안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남 ‧ 여 대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 의사소통 불안, 대인관계 만족을 측정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이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대인관계 상황에서 자기불일치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 자기불일치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실제 자기개념과 이상적 및 의무적 자기개념간의 단순 거리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는바 산출된 불일치 값들은 절대값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 만족의 관계는 의사소통 불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들은 자기 개념이 불일치 할 경우 대인관계 상황에서 의사소통 불안을 경험하고 이것은 대인관계 만족에 부정적으로 직접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 만족을 위해서 자기개념 불일치 수준의 관리와 적응적 의사소통 기술의 중요성과 그 습득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모형이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남 ‧ 여 집단 모두에게 연구 모형인 부분매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자기불일치, 의사소통 불안, 대인관계 만족

more

목차

목 차

국문초록 .................................................................................................................. i
목차 .................................................................................................................. ii
표 목차 .................................................................................................................. v
그림목차 .................................................................................................................. vi

서 론 ...................................................................................................................... 1

이론적 배경 ............................................................................................................ 3
1. 자기불일치의 개념 및 정의 ............................................................................... 3
2. 의사소통 불안 .................................................................................................... 7
1) 개념 및 정의 .................................................................................................. 7
2) 자기불일치와 의사소통 불안 .......................................................................... 8
3. 대인관계 만족 .................................................................................................... 10
1) 개념 및 정의 .................................................................................................. 10
2)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 만족 .......................................................................... 11
3) 의사소통 불안과 대인관계 만족 ..................................................................... 12

연구 목적 및 가설 ................................................................................................... 14
1. 연구 목적 ............................................................................................................ 14
2. 연구 가설 및 연구 모형 ...................................................................................... 15

방법 .......................................................................................................................... 16
1. 연구대상 .............................................................................................................. 16
2. 측정도구 .............................................................................................................. 16
1) 자기불일치 척도 .............................................................................................. 16
(1) 자기불일치 척도 구성 ................................................................................ 16
(2) 자기불일치 측정 방법 ................................................................................. 17
2) 대인관계 만족 척도 ........................................................................................ 18
3) 의사소통 불안 척도 ........................................................................................ 18
3. 자료분석 ............................................................................................................. 19

결과 ......................................................................................................................... 20
1. 자기불일치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 20
2. 주요 변인들이 평균 및 상관관계 ........................................................................ 21
1) 주요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 ................................................................... 21
2)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 22
3. 측정모형 검증 ..................................................................................................... 23
4. 구조모형 검증 ..................................................................................................... 23
1) 의사소통 불안의 부분매개 모형과 완전매개 모형 검증 .................................. 24
2) 의사소통 불안의 부분매개 효과 검증 ............................................................. 26
5.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26
1) 형태동일성 검증 ............................................................................................. 27
2) 측정동일성 검증 ............................................................................................. 29
3) 구조동일성 검증 ............................................................................................. 30

논의 ......................................................................................................................... 31

참고문헌 .................................................................................................................. 36

부록 ......................................................................................................................... 43
표 목차

표 1. 자기불일치 척도의 4요인 모형 적합도 지수 ................................................... 20
표 2. 주요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 ................................................................... 21
표 3.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 22
표 4.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 23
표 5.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의 적합도 지수 ............................................................... 25
표 6.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모형에 대한 Bootstrap 검증결과(부분매개모형) ....... 26
표 7.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 관계 .................................................... 27
표 8. 성별에 따른 형태동일성 검증 적합도 지수 .................................................. 28
표 9. 동일성 검증에 대한 적합도 지수 ................................................................. 30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 ...................................................................................................... 15
그림 2. 자기불일치 척도의 4요인 모형 ................................................................... 20
그림 3. 측정모형의 검증 ......................................................................................... 23
그림 4. 연구모형(부분매개모형) ............................................................................. 24
그림 5. 경쟁모형(완전매개모형) ............................................................................. 25
그림 6. 남녀 부분매개모형 ..................................................................................... 28
그림 7. 남녀 완전매개모형 ..................................................................................... 2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