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택지개발지역 연결녹지의 적정기능에 따른 식재방안 연구 : 파주교하지구를 사례로

Planting Plan by Optimal Function of Linkage Green Space in Public Land Development Districts

초록/요약

196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온 성장 위주의 경제개발정책에 의한 수도권의 인구 집중은 도시화를 가속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과다사용, 양호한 자연생태계 훼손 등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문제의 도시계획제도를 준농림지역과 기존의 도시계획에서 제외된 준도시지역을 관리지역으로 통합하여 국토의 합리적·계획적 관리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으나 자연생태계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일관성 있는 계획 내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상태이다. 우리나라에서 자연생태계 훼손과 수도권 난개발의 주범으로 주목받고 있는 택지개발은 외곽에 위치한 녹지공간과 농지를 잠식할 뿐 아니라 공공서비스 부담 가중, 토지이용 효율성 저하, 자연환경 훼손 등을 초래하여 도시 전체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결국 도시개발에 있어서 난개발 문제를 해결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녹지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계획기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공원 및 녹지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도시녹지의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연결녹지가 새롭게 포함된 것을 계기로 택지개발지역내 주변 토지이용여건, 녹지체계 등을 고려하여 연결녹지의 바람직한 기능유형을 설정 한 후 적정 식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는 이론적 고찰, 계획여건 및 개발계획 개요, 연결녹지 구조 파악 및 기능 설정, 해외 사례 조사, 연결녹지 기능별 식재방안 단계로 진행하였다. 대상지 개발계획에서 제시된 토지이용계획, 가로망 체계, 경관계획 등을 검토하고 연결녹지의 물리적 구조를 고려하여 지역별 기능을 설정하고 해외사례를 고찰한 후 연결녹지의 기능별 식재방안을 도출하였다. 대상지인 경기도 파주교하지구 택지개발지역은 친환경 생태도시 및 U-CITY 개발방향에 부합하고, 수도권서북부 성장 도시로서의 참신성과 정주성, 장소성을 고양하고, 도시, 단지, 자연과 생태계를 중재하고 문화를 융합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을 모델로 하였다. 대상지는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동패, 목동, 야당, 와동, 당하, 상지석, 다율리 일원이며, 면적은 9,549,016?u이다. 이 중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g제6장 녹지의 설치 및 관리 제 35조 녹지의 세분?h에 의해 새롭게 추가된 연결녹지 7개소로 면적은 534,079?u이며 길이는 역사문화가로 187m, 생활문화가로 176m, 남북상징가로 184m, 동서문화가로 195m, 생태문화가로 226m, 서측경계부가로 209m, 남측경계부가로 233m로 총 1,410m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결녹지의 지역별 기능을 살펴보면, 역사문화가로, 생태문화가로는 가로 이미지의 성격이 분명하여 역사문화축, 생태문화축으로 설정하였다. 생활문화가로는 식재계획 내용에 적용하기에 방향성이 모호하나 도시이미지에서 제시된 건강도시, 문화도시, 공원도시, 빛의도시 등을 다양하게 접목할 수 있게 생활문화축으로 설정하였다. 남북상징가로와 동서상징가로는 가로녹지 경관을 고려하여 지역경관축으로, 서측과 남측의 경계부 도로는 입지한 외곽부 위치의 성격을 고려하여 완충녹지축으로 설정하였다. 단위 연결녹지에 계획수계가 분포하는 지역은 친수공간 이미지가 강하므로 친수녹도축으로 분리하여 설정하였다. 해외와 국내 도시에서의 녹지조성은 규모와 위치에 따라 개념과 식재종이 달라져야 하며, 쾌적한 환경과 이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역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민들의 쾌적한 이용 및 휴식을 위해서는 다양한 화목을 식재하고 이와 더불어 생물의 서식이라는 점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다층구조의 숲과 경관을 형성하기 위한 식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주변 지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적절한 수종 선정이 필요하다. 식생경관 향상을 위한 식재종 및 식재구조 선정에 있어서는 식생기후대, 천이계열, 최단인접거리 위치, 자연성 및 보존상태, 적용대상지 목표 등을 고려하였다. 식재모델 및 식재종을 선정함에 있어서는 현존식생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지형 구조와 토양습윤성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목표로 하는 식생군락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적용대상지의 입지환경이 특이할 경우에는 해당 기후대의 천이계열과 무관하게 자연환경에 잘 적응한 자연식생군락 추가 선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계획되는 도시의 연결녹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주기능이라 할 수 있는 완충기능 뿐만 아니라, 도시녹지로서 기능인 생물서식기능, 도시공원기능, 경관개선기능, 녹음기능으로 세분하였다. 기능의 세분은 각 연결녹지의 혼재된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녹지 본래의 기능인 생물이동, 이용객의 이동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연결녹지 유형별 식재종 및 식재구조를 살펴보면 생태문화축은 광역녹지와 주요 차경요소를 활용하여 시각적인 통경축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생물서식 및 이동과 이용을 고려하여 식이종을 선정하고 경관을 고려한 화목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식재종으로는 생물의 서식 및 은신을 유도하고자 아교목층을 대상으로 열매가 달리거나 꽃이 아름다운 자귀나무(나비유인, 여름, 꽃), 때죽나무(조류유인, 봄, 꽃), 산사나무(조류 및 나비유인, 봄, 꽃, 여름열매), 마가목(조류 및 곤충유인, 봄, 꽃, 가을열매), 상수리나무, 유실수 등을 제안하였다. 역사문화축은 파평윤씨 전통테마를 주제로 파주교하신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대변하는 상징가로 역할을 할 수 있는 느티나무, 회화나무, 산수유, 자귀나무 등의 수종을 선정하였다. 이 외에도 식재수종 선정시 가능한 지역 고유의 수종을 선택하고 전통문양 이미지, 포장패턴과 어울리는 수종을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생활문화축은 문화시설(광장, 공원 등)을 연계하여 커뮤니티공간을 조성하고 문화활동의 장으로 제공하며 레크레이션 및 휴식공간이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공간은 이용강도를 고려하여 높은 지역은 수관폭, 지하고가 큰 수종인 느티나무, 왕벚나무 등을, 낮은 지역은 수관폭, 지하고가 비교적 작은 스트로브잣나무, 마가목, 산수유, 때죽나무 등을 식재하도록 하고, 친수녹도축은 랜드마크적 경관과 특색있는 가로경관 조성을 목표로 계절감을 느낄 수 있고 가로의 이미지를 통일할 수 있도록 은행나무, 메타세콰이어, 이팝나무 등을 주 수종 선정하였으며 생물의 이동을 고려한 자생수목 층위식재를 계획하는 것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 지역경관축은 랜드마크적 경관과 특색있는 가로경관을 조성하여 도시의 관문적인 기능을 부여하도록 하였으며 아름다운 시각적 경관환경이 요구되는 지역은 수형이 좋고 지하고, 수관폭이 큰 메타세콰이어, 느티나무, 왕벚나무 등의 수종을, 군락식재가 요구되는 지역에서는 소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의 수종을 제안하였다. 이 외에 하층은 대부분 경관적인 측면과 생물의 먹이를 고려하여 수종을 선정하였다. 완충녹지축은 공해, 오염물질, 악취, 소음 저감이 필요한 지역에 설정하고 생물서식 및 이동과 이용을 위한 이중 식생대를 도입하도록 하고, 도로쪽 사면은 공해에 강하고 치밀한 스트로브잣나무 등 상록침엽수를 밀식하고 다층구조의 녹지대를 조성하고자 하는 곳은 상수리나무 군락식재를 위한 수종 선정이 바람직할 것이다. 주요어 : 토지이용, 녹지체계, 식재계획, 가로 이미지

more

초록/요약

Korea?fs economic development policy, which has been implemented from the 1960s, is mainly focusing on the growth. This has led to excessive use of energy and severe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damage to well?]preserved natural ecosystem.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agricultural zone that caused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issues and urban zone that was excluded from existing urban planning were integrated as a management area and then foundation was established to manage the land reasonably and with clear purpose. However, a consistent plan to preserve and manage the nature ecosystem is not in place, therefore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regard. Residential development, which is regarded as a culprit of damage to natural ecosystem and reckless development, is encroaching on green space and agricultural land. It also undermines effectiveness of cities by adding burden to public service, decreasing effectiveness of land use and causing damage to natural environment. Naturally, we need new urban planning method based on green space in order to resolve problems of reckless development and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pose appropriate planting method after defining desirable types of functions of linkage green space by taking into account status of neighboring land use and green space system. This study was encouraged by a revision to Act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 which newly includes green network that can play various roles expected from urban green space.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of theoretical inquiry, overview of planning conditions and development plan, identification and definition of functions for linkage green space, investigation into overseas cases, planting plan by functions of green network. I reviewed land use plan, street network and landscape plan suggested by development plan of the subject site. And then I defined functions of linkage green space by each region by considering physical structure of the linkage green space and studied overseas cases. Finally I came up with planting plan for each function of linkage green space. The subject site is Paju?]Unjeong residential development district in Gyeonggi?]do. This district fits development dire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ecocity and U?]city and improves novelty, settlement and sense of place as a growing city in Northwest of Metropolitan area. Paju?]Unjeong district is aimed to become a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model which harmonizes city and housing complex with nature and ecosystem and integrates the culture. The subject site includes Gyoha?]eup Dongpae, Mok?]dong, Yadang, Wa?]dong, Dangha, Sangjiseok, and Dayul?]ri in Paju?]si, Gyeonggi?]do. Size of the district is 9,549,016?u. 7 green networks of 534,079?uwere newly added pursuant to Section 35 Subdivision of Green Space, Article 6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Green Space of Act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 Historic culture street is 187m long, living culture street 176m, north?]south symbolic street 184m, east?]west culture street 195m, eco culture street 226m, western border street 209m and southern border street 233m. Total 1,410m in length is the subject area. When it comes to functions by area of linkage green space, historic culture street and eco culture street have clear characteristic of street, thus they were defined as historic culture axis and eco culture axis respectively. Direction of living culture street is not clear in applying to planting plan. However it was defined as living culture axis so that it can accommodate such various city images as healthy city, culture city, park city, and city of light as suggested from urban images. North?]south symbolic street and east?]west symbolic street was set as regional landscape axis taking into consideration landscape of linkage green space of street. Western and southern border street was defined as buffer green axis since they are located in the edges. Green network with water system was separately defined as water?]friendly green axis since it has strong image of water space. When green space is created in cities at home and abroad, the concept and types of plants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a size and location. Also, it needs to maximize the use of resources in that area in order to create pleasant environment and encourage use of the space by local people. For people to use and relax comfortably, various flowers need to be planted. In addition, planting needs to be done with an effort to form multi?]layered forest and landscape by modeling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forest as much as possible to reflect the fact that the green space is habitat for animals and plants. To this end, types of plants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land use of neighboring areas. When it comes to choosing types of plants and planting structure to improve vegetation landscape, we have to consider vegetation climate zone, sere, the location of the closest distance, degree of nature, status of preservation, and objectives of subject site. When planting model and planting types are chosen, topographic structure and dampness of the land should be reflected based on the current vegetation investigation result to decide target vegetation community. If the subject site is located in a very unique environment, natural vegetation community which is well adap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could be added regardless of sere of the respective climate zone.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urban linkage green space which is newly established, I have classified functions of the green network into habitat, urban park, landscape improvement, and shade of trees in addition to main buffer function. The functions were divided in order to complement the mixed functions of linkage green space and to improve wildlife passage and people?fs movement which is key function of linkage green space. When it comes to types and structure of planting, eco culture axis needs to choose plants that are helpful for habitat, passage and use of animals and flowers that can improve the landscape, since the objective of this axis is to secure wide green space and view utilizing main factors of borrowed landscape. For kinds of plants I have proposed Albizzia julibrissin(attraction of butterflies, summer, flowers), Styrax japonica(attraction of birds, spring, flowers), Crataegus pinnatifida(attraction of both birds and butterflies, spring, flowers, summer fruits), Sorbus commixta(attraction of birds and insects, spring, flowers, autumn fruits), Quercus acutissima, fruit trees which have fruits or beautiful flowers among subtrees so as to help habitat or hideaway of animals. For historic culture axis, I selected Zelkova serrata, Sophora japonica, Cornus officinalis, and Albizzia julibrissin which can represent history and culture of Paju Unjeong new town with a traditional theme of Papyeong Yoon. I developed principles of choosing native tree as much as possible and trees that match with traditional symbols and pavement patterns. Living culture axis is the area where community space, cultural activities and recreational spaces are required by connecting with cultural facilities(open space, parks, etc.). In this area, Zelkova serrata and Prunus yedoensis which have high width and branching height were chosen where the space is frequently used. Pinus strobus, Crataegus pinnatifida, Cornus officinalis, and Styrax japonica which have low width and branching height were selected where the space is less frequently used. Water?]friendly green axis would have Ginkgo biloba,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and Chionanthus retusa which can serve as landmark landscape and characteristic street. These plants will also help people to sense the change of the season and unified image of street. It is desirable to plan multi?]layerd planting of native trees taking movement of animals into consideration. Regional landscape axis was decided to play as gateway of the city by having landmark landscape and distinctive street image.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Zelkova serrata, and Prunus yedoensis which have good tree from and high branching height and width were suggested in an area where beautiful landscape is required. Pinus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ongolica are best in an area with plant community. For low layer planting, plants were proposed considering landscape and food for the animals. Buffer green axis was proposed in an area where environmental pollution, pollutants, bad smells and noise should be controlled. Dual vegetation belt will be introduced for habitat, movement, and use of animals. Slope next to vehicle road will have densely?]planted needle?]leaf evergreen trees like Pinus strobus which is resistant to pollution. For multi?]layered green space, plants for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will be desirable. Key words : land use, green space system, planting plan, street image

more

목차

< 차 례 >

제 1 장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 2 장 연구 이론적 고찰 3
제 1 절 녹지의 정의 및 세분 3
제 2 절 녹지유형별 설치기준 4
1. 공장변 완충녹지 4
2. 교통시설지변 완충녹지 4
3. 경관녹지 5
4. 연결녹지 5
제 3 절 녹지네트워크 및 구성요소 연구 7
제 4 절 신도시 택지개발계획의 녹지배치 특성 13
제 5 절 녹지의 공간기능별 식재기법 연구 17

제 3 장 연구내용 및 체계 21

제 4 장 연구방법 23
제 1 절 연구대상지 선정 23
제 2 절 연구방법 25
1. 계획여건 및 개발계획 개요 분석 25
2. 연결녹지 구조 분석 25
3. 연결녹지 기능 설정 25
4. 해외 사례 조사 26
5. 연결녹지 기능별 식재방안 26

제 5 장 결과 및 고찰 29
제 1 절 계획여건 및 개발계획 개요 29
1. 개발계획 관련 자료 검토 29
2. 토지이용계획 32
3. 공원녹지 배치 35
4. 지구단위계획 37
제 2 절 연결녹지 구조 파악 및 기능 설정 41
1. 파주교하지구 녹지체계 현황 41
2. 연결녹지 물리적 구조 49
3. 연결녹지 주변 토지이용 및 경관계획 54
4. 연결녹지 지역별 기능 설정 58
제 3 절 해외 사례 조사 62
1. 일본 요코하마시 카나자와 완충녹지(???{ 嫌?l?s ?薛V ????綠?n) 62
2. 일본 지바시 이나케카이힝공원 완충녹지(???{ ???t?s ?j???C?l???? ????綠?n) 64
3. 일본 고베시(?_戶?s) 로코(六?b)아일랜드 녹지 65
4. 일본 고베시(?_戶?s) 포트아일랜드 녹지 69
5. 일본 우라야스시의 Symbol Road 70
6. 일본 도쿄도 에도가와구 친수공원 및 녹도 71
7. 종합 73
제 4 절 연결녹지 기능별 식재방안 75
1. 연결녹지 유형별 식재종 선정 기준 설정 75
2. 연결녹지 기능별 식재구상 방향 77
3. 연결녹지 기능별 식재모델 84

제 6 장 결 론 93

인 용 문 헌 9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