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CBT-I)의 효과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f Insomnia on Korean College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불면증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f Insomnia: CBT-I)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BT-I 프로그램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인원 중 불면증 심각도 척도(Insomnia Severity index: ISI) 점수가 8점 이상인 11명을 실험집단으로, 9명을 통제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집단원들의 불면증 심각도 척도 점수, 총 침상각성시간(Total Wake Time: TWT)과 낮잠시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각각 불면증 심각도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면 일지 작성을 통하여 프로그램 1주차의 총 침상각성시간과 낮잠을 5주차의 총 침상각성 시간과 낮잠과 비교하여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실시 결과 불면증 심각도는 프로그램 사전 15.5점에서 프로그램 사후 8.6점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총 침상각성시간과 낮잠 역시 각각 35.8분에서 18.8분으로, 196.8분에서 43.64분으로 모두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피험자 내 효과 크기를 구해 보았을 때, 불면증 불편감, 낮잠 시간, 총 침상각성시간이 모두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가 매우 크거나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일치되게, 각 종속변인별로 불면증 심각도 점수, 총 침상각성시간, 낮잠 시간과 집단의 처치 수준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사용해 검증한 결과, 실험 집단의 총 각성시간, 낮잠, 불면증 심각도는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한국의 대학생들의 불면증 심각도를 개선하고 수면 질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잠정적으로 내릴 수 있다.

more

목차

서 론 1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가설 6

이론적 배경 7
1. 불면증 7
1-1) 불면증의 정의 7
2. 불면증의 인지-행동적 모델 11
2-1) 불면증의 3요인 - 기질요인, 촉발요인, 악화요인 13
3. 불면증의 인지행동치료의 구성 15
3-1) 자극 통제 16
3-2) 수면 제한 18
3-3) 이완 훈련 19
3-4) 인지 치료 19
3-5) 수면 위생 교육 21

연구 방법 25
1.연구대상 25
1-1) 참여자 25
1-2) 치료자 25
2. 측정도구 26
2-1) 불면증 심각도 척도 (ISI: Insomnia Severity Index) 26
2-2) 수면 일지 27
2-2-1) 총 깨어있었던 시간 (TWT: Total Wake Time) 28
2-2-2) 낮잠 29
3. 통계 분석 29

결 과 31
1. 연구 결과 31
가. 두 집단 간 사전 검사에 대한 동질성 검증 31
나. 집단 내 사전-사후 검증 32
다. 집단 간 프로그램 사전-사후 결과와 상호작용 결과 37

논 의 43

<참고 문헌> 50
<부 록> 5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