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의 특징

초록/요약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유형이 대인 관계의 특징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대인관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유형을 개방형과 문제형으로 구분하여 부모 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의 수준에 따라 자녀의 사회관계적 대인관계 성향과 표현적 대인관계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중소도시 남녀 중학생 2학년 30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측정도구로는 Barnes와 Olsen(1982)이 개발한 PACI(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민혜영(1990)이 번안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대인관계 성향검사는 안범희(1984)가 Leary의 대인관계 행동모형, Krech의 대인적 반응특성, Schutz의 기본적 대인관계성향 모형이론 등을 바탕으로 제작한 대인관계 성향검사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유형은 자녀의 대인관계 형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책임감적 대인관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지배적 우월적 대인관계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와는 반대로 부모의 문제형 의사소통은 지배적, 우월적 대인관계의 성향과 정적인 상관을, 책임감적 의사소통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대부분의 사회관계적 대인관계 성향은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부모의 문제형 의사소통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표현적 대인관계 성향의 경우 공격적, 반항적, 불신적 대인관계 성향은 개방형 의사소통과는 부적인 상관, 부모의 문제형 의사소통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 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의 수준에 따른 자녀의 사회관계적 대인관계의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개방형 의사소통 점수의 상하에 따라 자녀의 사회관계적 대인관계성향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 어머니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집단의 경우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동정적, 수용적, 사교적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 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자녀의 표현적 대인관계성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의 개방형 의사소통 점수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구분하여 비교해본 결과, 부모의 문제형 의사소통의 정도에 따라 자녀의 표현적 대인관계 성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어머니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경우, 경쟁적, 공격적, 과시적, 반항적, 불신적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어머니 문제형 의사소통의 경우에는 경쟁적, 동정적, 과시적, 반항적, 불신적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자녀간의 개방적 의사소통 유형이 자녀의 대인관계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효율적인 학부모상담과 생활지도의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가설 2

Ⅱ. 이론적 배경 3
1. 의사소통 3
2. 대인관계 6
3.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9

Ⅲ. 연구 방법 13
1. 연구 대상 13
2. 연구 도구 16
3. 자료수집 19
4. 자료 분석 20

Ⅳ. 연구 결과 20
1. <가설 1> 검증 20
2. <가설 2> 검증 22
3. <가설 3> 검증 26

Ⅴ. 요약 및 결론 31
1. 요약 및 논의 31
2. 결론 및 제언 34

참고 문헌 36
부록 3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