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평가인증제를 실시함에 있어 경기도 A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시설 중 평가인증에 참여한 시설과 아직 참여하지 않은 시설의 시설장과 교사들 13인을 대상으로 평가인증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평가인증 준비과정, 그리고 평가인증제의 정착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인증제에 대해 시설장과 종사자들은 비교적 긍정적인 제도로 인식하고 있었고, 일부에서는 아직 시기상조로 보기도 하였다. 둘째, 평가인증 준비과정에서는 통과를 위한 서류준비, 평가지표에 따른 시설 제반 여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개보수 비용, 평가 준비인력의 부족, 교사의 역할과중, 및 현장에서 실시하기 어려운 획일적인 평가지표로 평가인증을 신청한 시설들이 어려움을 표하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전략을 세워 실천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조력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평가인증을 통과한 시설의 시설장은 체계적인 시설운영에 도움이 되었고, 보육교사는 나름대로 교사로서의 자부심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시설의 인지도가 높아졌고 평가인증을 받을 당시의 환경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셋째, 평가인증의 참여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육시설에 대한 지원, 종사자의 처우개선, 현장 관찰자의 신뢰성 확보 및 다양하고 체계적인 홍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가장 시급한 것은 시설환경 개선을 위한 비용마련과 서류준비의 간소화, 교사 근무환경 개선과 전문성이었고 평가인증을 통과한 시설에 대한 차별적 지원과 관리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필요로 하고 평가인증 통과시설에 대한 적극적 홍보로 학부모가 보육시설 선택시 참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기대하고 있었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우리나라 보육시설 평가인증 제도 4
1) 도입 배경과 필요성 4
2) 진행 과정 5
3)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추진 전략 7
2. 외국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제도 비교 분석 8
3. 선행연구 15

Ⅲ. 연구 문제 20

Ⅳ. 연구 방법 20
1. 연구 대상 20
2. 연구 질문 구성 20
3. 연구 절차 및 분석 20

Ⅴ. 연구결과 22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22
2. 보육시설 평가 인증 제도에 대한 인식 23
3. 평가 인증 준비 과정 29
4. 평가 인증 정착 및 활성화 방안 36

Ⅵ. 논의 및 결론 44

참고문헌 47

부록Ⅰ 49

<표 차례>

표 1 평가인증 중장기 운영 시기 8
표 2 한국과 미국. 호주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제도 비교 13
표 3 한국과 미국, 호주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결과 활용 15
표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21

<그림 차례>

그림 1 보육시설 평가인증 설립유형별 참여 현황 6
그림 2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역별 참여 신청 현황 6
그림 3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 신청 현황 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