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진로집단상담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재창.김원중(1989)의 '진로탐색 프로그램'과, 김봉환 외 4명(2006)의 '청소년 직업 및 취업설계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알맞게 총 8회기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보호관찰처분을 받은 16~20세 이내의 학업중단 청소년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나누고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주 1회 1회기 당 120분 총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전과 실시 후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종결 12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Crites의 CMI(Career Maturity Inventory)를 김원중(1984)이 번역한 ‘진로성숙도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15.0를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검증과 실험집단의 사전-추후검사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계적 검증을 통한 양적 결과가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매 회기 참가자들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제시하였고, 프로그램의 만족도 평가를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성숙도 전체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에서 결정도 영역, 관여도 영역, 독립도 영역, 선택의 태도영역, 타협도 영역 모두에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진로성숙도 하위 요인별 특성은 추후검사를 실시한 시점까지 그 변화가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 있어서 실험집단의 대부분 학생들에게 만족하고 유익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가설 5
3.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7
1. 학업중단의 개념 및 특성 7
2. 진로성숙 15
3. 진로상담 21
4. 선행연구의 고찰 24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및 표집 27
2. 연구 설계 및 자료의 수집 27
3. 연구 도구 29
4. 연구의 절차 31
5. 자료의 처리 33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34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비교 34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비교 35
3.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 검증 36
4. 프로그램의 질적 분석 결과 38

Ⅴ. 요약 및 결론 43
1. 요약 및 논의 43
2. 결론 및 제언 46

참고 문헌 48
부록 5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