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주거복합단지의 가로대응형 상업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ercial Street Malls at Mixed-Use Residential Complex

초록/요약

주거복합건축에서 상업기능은 주거복합건축에서 뿐만 아니라 도시 전체의 공간 구조를 형성하고 도시의 가로에 활력을 주는 요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다양한 형태로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주상복합건축에 있어서도 상업기능은 도시 내 상업기능의 하나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상복합건축이 도입되어 발전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정책·제도의 문제점을 먼저 고찰하여 주상복합건축이 가져야 할 도시계획적 의의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전제를 가지고 주상복합건축 내 상업기능과 관련된 요소에 대한 분석의 틀을 갖게 되며, 개개요소의 특성을 살펴보고 여러 요소의 작용을 종합하여 전체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주상복합건축이 밀집하여 개발되어 단지를 형성한 곳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단지 내 상업기능들이 갖는 가로와의 관계성, 저층부 구성, 시설수용의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주상복합건축 내 상업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로와의 관계성 -사례 대상 단지들은 간선가로, 단지 외곽도로, 단지 내 가로의 가로체계룰 가지고 있고 지하철역과도 근거리에 위치해 양호한 접근성을 가지고 있었다. -주거복합건축 내 입지한 각 기능간의 진입동선에서는 주거기능의 경우 타 기능의 동선과 분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건물 저층부에 위치한 상업과 업무기능의 경우에는 동선의 분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2. 저층부구성 -저층부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는 가로대응형의 경우 저층기단부에 상업시설이 입지해 선형의 상업가로를 형성하고 있으나 상업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공용공간의 구성은 미흡함을 나타내고 있었다. 3. 시설 수용 -시설수용특성은 단지의 입지와 가장 큰 관련성을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자동 주거복합단지의 경우 단재 내 중심가로를 중심으로 커피전문점의 집중적인 배치로 특화된 가로를 형성하게 되었고, 주변 상업 활성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신대방동 주거복합단지는 주변 지역의 중심으로 다양한 상업시설 수용과 층별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신천동의 경우 대형 업무/위락/문화기능의 입지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상업시설의 수용에서는 단지 내 업무기능의 지원을 위한 서비스 기능에 치우치고 층별 분포 또한 지하층에 치우친 구성을 보여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상업시설의 수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곡동의 경우 주거지역 내에 위치하면서 단지 내 거주인구를 대상으로 한 상업시설 위주의 입지를 형성하고 있어 외부인구의 유입에 대해 소극적인 구성을 보이고 있어 단지 내 상업시설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간선도로변을 중심으로 공공적 성격을 가진 외부공간의 배치로 외부에서의 접근을 유도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례 대상 단지들의 상업시설의 구성이 판매·근린생활·서비스 기능으로 한정된 구성을 보이고 있어, 도시 내 다양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복합용도 개발 자체의 사업 활성화나 주거복합건축 내 상업기능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 앞으로의 주거복합건축 개발에 있어서는 상업기능의 용도 수용에 대한 다양한 고려가 필요하다 하겠다. 도시 토지이용의 순화의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된 주거복합단지가 일반화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우선 기능이 복합화되는 것과 기능고유의 특성이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에 지금까지의 주거위주의 인식에서 벗어나 주거·상업·업무라는 용도집합이 아닌 개개기능의 도시적 의의를 살릴 수 있는 진정한 용도복합의 개발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거복합단지 내 상업기능의 의의와 역할에 대해 계획적·물리적 요소, 이용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분석했고, 분석을 종합하여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상복합건축 개발 시 제고해야 할 개선방향을 제시 하였다.

more

초록/요약

In the mixed-use development such as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composition means "That heightening efficiency of individual usage or equipments and making one new integration function by effective combining usage or equipments that have interrelationships." Commercial function is acting very important role as element that form whole city space structure and put In vitality in streets of city as well as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In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lively developed with various forms, commercial 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heftily by one of commercial function in the city. Considering social backgrounds, the problems of policies and systems that our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have, this study grasped the meaning of them in urban planning. With this premise, this study used the model of analysis about commercial functions in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examined special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m and grasped whole characteristics through synthesizing actions of them. To do this, this study selected sites which are developed to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area, analyzed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s with streets, formations of low-levels in the building and equipments accommodation. Finally this study aimed to present suggestion points and 'directions for activation of commercial functions in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 Relationships with streets · The sites have good accessibility, having three kinds of street system and short distances from subway stations. In the entry flow, residential entry is well separated from others but the separation between commercial and official functions located in low-levels is not well consisted. · It is needed to separate entry flows to improve privacy of residential function and accessibility of commercial. For active population influx, commercial facilities in low-levels have to be re-located so that direct access may be possible from the streets and the elements which enable direct access such as Sunken or stairs are needed. ○ Low-level composition · With the grouping by low-level forms, Single high-rise building types have their commercial facilities in low-level stories, make commercial streets. But the formation of common space for activation of commerce is insufficient. In the bridge style and unitary mixed types, 1st floor space is only used as lobby for entry and the squares are forming incestuous space, so they obstruct activation of commerce. · In the distribution of street commerce, the use rates of basement is high. But commercial streets are not formed, because the arrangements of commercial facilities on low-levels are. not correspond to streets, except those in Sindaebang-dong and Mok-dong area. ○ Commercial equipment accommodation ·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equipment accommodation was exposed that had the biggest relationship with location of area. Sindaebang-dong area is displaying various commercial equipment accommodation and floor-distribution as the center of neighborhood. Sincheon-dong area is forming the location of large-scale business/entertainment/culture function, but it is needed to admit various commercial uses because they are mostly consisted of service for official function in the area and distributed only in the basement. Dogok-dong & Mok-dong area, forming dwelling area centered commercial facilities, shows negative composition about outside population's inflow. So they need to try to make links among the commercial facilities, place open space which have public personality. · Also the composi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are limited to sale, neighborhood function and service, they don't have composition to be able to create various demands. For activation of mixed-use development projects itself and use of commercial facilities, the various considera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to widespread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which is proposed to improve problems of land-use of urban area that functions are mixed wel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ch function must not be immolated. In other words, the exploitation of real mixed-use development not only gathering residence, commerce and business but reviving urban meanings of each function is reques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planning & physical elements on the meanings and role of commercial functions in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With these, this study also presented improvement direction in making mixed-use development in the future.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1.2.1. 연구의 범위 = 2
1.2.2. 연구의 방법 = 3
1.2.3. 연구의 진행과정 = 4
제2장 이론적 고찰 = 5
2.1 주거복합건축의 이론적 고찰 = 5
2.1.1 주거복합건축의 개념과 역사 = 5
2.1.2. 주거복합건축의 필요성 = 7
2.1.3. 주거복합건축의 유형 = 9
2.2. 우리나라의 주거복합건축 = 15
2.2.1. 우리나라 주거복합건축의 변천과정 = 15
2.2.2. 복합용도개발 관련 법제 = 17
2.2.3. 우리나라의 주거복합건축 = 20
2.3. 주거복합단지의 상업기능 = 23
2.3.1. 상업지역의 특성 = 23
2.3.2. 도심상업활동의 유형 = 24
2.3.3. 주거복합단지의 수용기능 = 29
2.3.4. 주거복합단지 내 상업기능의 의의 = 30
2.4. 주거복합단지의 가로 공간 = 32
2.4.1. 가로의 개념적 고찰 = 32
2.4.2. 상업 가로 = 37
2.5. 기존 관련 연구 = 41
2.5.1. 기존 관련 연구의 흐름 = 41
2.5.2. 기존 관련 연구의 한계 = 42
제3장 주거복합단지 내 상업기능과 가로공간의 현황 = 44
3.1. 대상지 선정이유와 입지 분석 = 44
3.1.1. 대상지 선정이유 = 44
3.1.2. 주거복합단지의 입지와 단지개요 = 46
3.2. 대상지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개요 = 52
3.2.1. 정자동 주거복합단지 = 54
3.2.2. 신대방동 주거복합단지 = 57
3.2.3. 신천동 주거복합단지 = 62
3.3. 주거복합단지 내 상업기능의 현황 = 69
3.3.1. 주거복합단지 내 기능별 수용현황 = 69
3.3.2. 주거복합단지 내 상업시설의 수용현황 = 71
3.3.3. 층수별 기능 분포 현황 = 76
3.4. 주거복합단지 내 가로공간의 현황 = 82
3.4.1. 대상지 주변 가로체계 현황 = 82
제4장 분석의 방법 = 87
4.1. 분석의 내용과 방법 = 87
4.1.1. 사례조사의 방법(현장관찰) = 87
4.1.2. 설문조사 방법 = 90
제5장 주거복합단지 내 상업기능과 가로공간 분석 = 93
5.1. 가로와의 연계성 = 93
5.1.1. 가로의 체계 = 93
5.1.2. 가로에서의 진입 = 94
5.2. 저층부 구성 = 97
5.2.1. 저층부 형태 = 97
5.2.2. 가로변 상업시설의 구성 = 99
5.3. 시설수용 = 101
5.3.1. 상업시설별 구성 = 101
5.4. 분석의 종합 = 105
5.4.1. 가로와의 관계성 = 105
5.4.2. 저층부 구성 = 107
5.4.3. 시설수용 = 109
제6장 이용자 의식조사 및 분석 = 111
6.1. 주거복합단지 내 상업시설과 가로에 관한 이용자 의식 조사 = 111
6.1.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 111
6.1.2. 상업시설 이용현황 = 112
6.1.3. 상업시설의 이용 만족도 = 114
6.1.4. 상업시설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만족도 = 115
6.1.5. 상업시설의 전체적인 만족도 = 116
6.1.6. 상업시설의 전체적 만족도와 세부항목간의 관계 = 117
6.1.7. 가로공간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만족도 = 118
6.1.8. 가로공간의 전체적 만족도와 세부항목간의 관계 = 120
제7장 분석의 종합 = 122
7.1. 분석 종합 = 122
7.2. 설계 제안 = 123
7.2.1 설계 제안 사항 = 123
7.2.2 대상지 위치 및 개요 = 124
7.2.3. 가로와의 관계성 = 125
7.2.4. 저층부 구성 = 127
7.2.5. 상업시설 수용 = 130
제8장 결론 = 133
8.1. 연구의 종합 = 133
8.2. 연구의 한계 = 13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