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오피스 임대료와 공실률의 시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me Lag between Rent and the Vacancy Rate in Office Building

초록/요약

현재까지 국내 오피스빌딩에 대한 연구는 임대료 결정 요인에 관한 분야가 대부분이고 임대료와 공실률의 시차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지역의 도심, 강남, 여의도 3개 권역에 소재한 오피스 빌딩의 임대료와 공실률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여 임대료와 공실률간의 시차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각 권역별로 어떠한 시차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는 임대료 및 공실률간의 시차는 같은 도시 내라도 권역별로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서울지역의 각 권역별 오피스임대료와 공실률간의 시차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권역의 경우 임대료와 공실률 간에는 시차 +3에서 교차상관계수가 유의수준 범위 밖에 위치하고 부(-)의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으며, 임대료는 공실률 보다 3분기 후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3분기 전에 공실률이 변동하면 현재의 임대료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강남권역의 경우는 시차 0에서 임대료와 공실률간의 교차상관계수가 유의수준 범위 밖에 위치하고 부(-)의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으므로 임대료와 공실률 간에 시차가 없이 동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의도권역은 시차 +7에서 임대료와 공실률 간에 교차상관계수가 유의수준 범위 밖에 위치하고 부(-)의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으므로 임대료는 공실률 보다 7분기 후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7분기 전에 공실률이 변동하면 현재의 임대료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서울지역의 각 권역별 임대료와 공실률 간의 시차가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제3절 논문의 구성 = 3
제4절 선행연구의 검토와 차별성 = 4
제2장 빌딩관리의 이론적 고찰 = 7
제1절 오피스빌딩의 관리 = 7
1. 빌딩관리의 개념 = 7
2. 빌딩관리의 중요성 = 7
3. 오피스빌딩의 유지관리 = 8
제2절 오피스 임대료와 전환율 = 11
1. 임대료의 정의 = 11
2. 임대료 지불방식 = 11
3. 오피스 임대료의 결정요인 = 15
제3절 임대료의 변화와 공실률 = 17
1. 공실률이란? = 17
2. 공실률 발생의 원인 = 17
3. 공실률 분석 = 17
제3장 국내 오피스빌딩의 임대료와 공실률 현황 = 20
제1절 국내 오피스빌딩의 현황 = 20
1. 한국의 오피스빌딩 등급 분류 = 20
2. 국내 오피스 시장의 특성 = 22
제2절 국내 오피스 임대료와 공실률 현황 = 23
1. 서울지역 오피스 빌딩의 임대료 현황 = 23
2. 서울지역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 현황 = 24
제3절 오피스 임대료와 공실률 시계열 추이 = 26
1. 보증금 변동추이 = 26
2. 월 임대료 변동추이 = 27
3. 관리비 변동추이 = 28
4. 환산임대료 변동추이 = 29
5. 환산전세가 변동추이 = 30
6. 공실률 변동추이 = 31
제4장 임대료와 공실률의 실증분석 = 33
제1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 33
1. 자료 조사 방법 = 33
2. 자료 분석 방법 = 33
3. 분석활용 모델 = 34
제2절 분석결과 = 39
1. 도심지역 임대료와 공실률간의 시차 분석 = 40
2. 강남지역 임대료와 공실률간의 시차 분석 = 42
3. 여의도지역 임대료와 공실률간의 시차 분석 = 44
제3절 소결 = 46
제5장 요약 및 결론 = 47
참고문헌 = 50
부록 = 5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