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기제: 행동억제기질, 가족 환경, 역기능적 신념, 불안통제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Development Mechanism of Social Anxiety in Adolescent: The effects of behavioral inhibition, family environment, dysfunctional belief and anxiety control

초록/요약

본 연구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을 일으키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300명과 고등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행동억제기질, 가족 환경, 역기능적 신념, 지각된 불안통제감이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모델을 제시하고, 중ㆍ고등학생 집단 간 발달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인불안에서 중학생 집단은 행동억제와 가족환경이 대인불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역기능적 신념과 불안통제감을 매개로도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부분매개 연구 모델이 지지되었다. 그리고 대인불안에서의 고등학생 집단과 수행불안에서 중ㆍ고등학생 집단 모두는 가족환경이 대인 및 수행불안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았는데, 이는 행동억제가 역기능적 신념과 불안통제감을 매개로 대인 및 수행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직접적으로도 대인 및 수행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족환경은 단독으로 대인 및 수행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역기능적 신념과 불안통제감의 매개로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미와 제한점에 관하여 논하였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1. 사회불안장애 4
2. 사회불안장애의 원인 6
1) 생물학적 원인 7
2) 사회적 원인 8
3) 심리적 원인 11
3. 사회불안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관련성 16
1) 행동억제와 가족 환경의 관련성 16
2) 행동억제와 역기능적 신념과의 관련성 17
3) 가족 환경과 역기능적 신념과의 관련성 19
4) 역기능적 신념과 지각된 불안통제감의 관련성 21

III. 문제 제기 및 연구 문제 24
1. 문제 제기 24
2. 연구 문제 26

IV. 연구방법 28
1. 연구 대상 28
2. 도구 28
1) 청소년용 사회불안척도 28
2) 아동 청소년용 수행불안 척도 28
3) 자기보고식 회고적 행동억제척도 29
4) 가족환경 질문지 29
5) 역기능적 신념검사 단축판 30
6) 개정된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 30

3. 분석 방법 32

V. 결과 33
1. 인구학적 특징 및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33
2. 측정 모델의 검증 37
3. 구조 모델의 검증: 다집단 분석 39
1) 대인불안의 다집단 분석 39
2) 수행불안의 다집단 분석 44

VI. 논의 51

참고문헌 56

부 록 67

ABSTRACT 7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