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이혼가정자녀의 부모자녀관계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유기공포, 상실지각, 자존감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n Psychological Adjustments of Divorced Offsprings: Mediating effects of the perceived fear of abandonment, loss, and self-esteem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부모 이혼이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되는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혼가정 자녀들이 부적응을 경험하는 심리적 과정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함께 이혼가정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된 유기공포, 상실지각 및 자존감과 같은 개인 요인을 교정하는 치료적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심리적 부적응이 개선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4가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집단과 비이혼집단간 심리적 적응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임상범주에 있어서 이혼집단은 비이혼집단에 비해서 약 1.5배 가량 높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적으로 이혼집단은 비이혼집단에 비해서 스트레스수준이 높고, 유기공포를 더 강하게 경험하며, 자존감이 낮고, 애착안정성이 낮으며, 부정적인 양육을 받으며, 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을 포함한 일련의 내재화증상을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 이혼은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은 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의 내재화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 스트레스에 대해 주효과를 나타냈다. 즉 여자는 남자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높은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형태와 성별은 애착안정성에 대해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이혼집단의 여아는 비이혼집단의 여아에 비해서 안정적 애착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혼집단내 편모 및 편부집단과 성별에 따른 심리적 적응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국내 이혼가정의 경우 편부집단이 편모집단에 비해서 덜 온정적인 양육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는 남아에 비해서 불안정한 애착을 경험하며, 학업 관련 스트레스를 더 많이 지각하고, 내재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모 및 편부집단과 성별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이혼가정 청소년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와 심리적 적응간 관계에서 유기공포, 상실지각,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이혼가정 자녀의 유기공포, 상실지각, 자존감은 부모자녀관계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모두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가정 자녀가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부모와 애착이 불안정해지고, 부정적인 양육을 받으면 유기공포 및 상실에 대한 지각수준이 증가되고, 자존감수준이 저하되면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경험하게 된다. 반면, 이혼가정 자녀일지라도 부모와 안정적 애착을 유지하고 긍정적인 양육을 경험하면, 지각되는 유기공포, 상실 수준이 저하되고 자존감이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경험할 가능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혼가정 자녀의 이혼에 대한 지각(유기공포, 상실지각)과 자존감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이 심리적 적응문제를 개선하는지 조사하였다. 프로그램 수행 결과, 유기공포, 상실지각 및 자존감의 개선은 심리적 부적응문제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울러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지각까지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이혼가정 자녀의 심리적 적응수준과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는 과정변인에 대한 경험적 연구였다. 연구의 결과를 애착이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more

목차

I. 서 론 1

II. 이론적 배경 5
1. 이혼가정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선행연구 5
2. 선행 이혼연구 모델 7
3. 애착 조망 10
1)부모자녀관계와 심리적 적응 10
2)개인요인: 유기공포, 상실지각, 자존감, 성 14

III.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24
1. 연구 목적 24
2. 연구 문제 26

IV. 연구 1: 이혼가정 자녀의 심리적 적응 29
1. 방법 29
2. 결과 40
3. 논의 58

V. 연구 2: 이혼가정 자녀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예비연구 63
1. 방법 64
2. 결과 67
3. 논의 71

VI. 종합논의 73
참고문헌 79
영문초록 87
부록 8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