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예방과 촉진을 위한 청소년 정신건강 모형의 탐색

Adolescent's Mental Health for Prevention and Promotion

초록/요약

본 연구의 기본적인 목표는 청소년 정신건강의 예방과 촉진을 도모하기 위한 보다 포괄적인 정신건강 개념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연구 1>에서는 정신건강 구성 요인의 기본적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Veit와 Ware(1983)에 의해 개발된 Mental Health Inventory(MHI)를 번안하여 청소년 6,411명의 자료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국, 호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던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한국 청소년들의 경우에도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고통이 연속적 차원이 아닌 분리된 2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 질적분석을 통해 정신건강의 보다 세부적인 하위 차원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21개 집단, 총 85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고 피면접자의 반응을 녹취하여 근거이론에 따라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신건강에 대한 총 972개의 진술문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것을 105개의 개방코드와 14개의 축코드, 최종적으로 5개의 선택 코드로 요약하였다. 이렇게 발견된 요인은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고통, 사회적 자원, 개인적 자원, 스트레스였다. <연구 3>에서는 질적분석을 통해 발견된 정신건강 관련 요인들의 타당성과 요인간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요인의 하위 내용을 측정문항으로 변환하여 청소년 4,074명을 대상으로 양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정신건강은 <연구 1>과 동일하게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고통으로 이루어진 2요인 상관모형이 가장 타당했고, 회귀분석 결과 정신건강의 수준은 심리적 자원과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녕감이 높고 심리적 고통이 낮은 ‘완전한 건강’ 조건에 해당되는 비율은 18.3%였고, 안녕감이 낮고 심리적 고통이 높은 ‘비건강’ 상태는 19.7%였다. 전반적으로 여학생들이 더 높은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었고, 중학교 이후 시기부터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수준이 급격하게 하락됨을 알 수 있었다. 논의를 통해 정신건강의 향상은 병리적 증상의 제거만으로는 가능하지 않으며 안녕감의 경험과 심리적 자원의 확보가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이 외에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목차

I. 서 론 1

II. 이론적 배경 7
1. 청소년 정신건강의 실태 7
2. 전통적 정신건강의 개념과 문제점 8
3. 주관적 안녕감 11
1) 기본 개념 12
2) 사회인구학적 영향 요인들 17
3) 개인 내적(성격적) 영향 요인들 21
4) 시간적 안정성 23
5) 부정적 생활사건의 영향 25
4. 심리적 자원 27

III. 연구 문제 및 가설 31

IV. 연구 1: 정신건강의 기본적 요인구조 32
1. 방법 34
2. 결과 35
3. 논의 45

V. 연구 2: 질적분석을 통한 정신건강의 하위 차원 탐색 47
1. 방법 49
2. 결과 52
3. 논의 55

VI. 연구 3: 양적분석을 통한 정신건강 요인 구조의 탐색 59
1. 방법 60
2. 결과 62
3. 논의 85

VII. 종합논의 91
참고문헌 99
부록 12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