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도로교통안전시설물 평가를 위한 위험도기반 VE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Risk-Based VE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Highway Traffic Safety Facilities

  • 주제(키워드) VE+Risk+Evaluation+Traffic Safety Facility
  • 주제(KDC) 534
  • 주제(DDC) 388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오영태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시설 가치분석에 있어 정량적 위험도분석 결과를 적용한 합리적인 가치분석(VE)기법을 제시하였으며, 고속도로 개선 전‧후 중앙분리대에 적용하여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 수행시 VE의 핵심기능인 성능분석 및 기능분석 등을 통하여 성능지배 인자(Performance-Driver)와 비용지배 인자(Cost-Driver)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교통사고 자료를 이용한 정량적인 위험도 분석결과와 연계함으로써 교통안전시설의 가치에 가장 주요한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more

목차

목 차


CHAPTER 1 서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1.2 연구내용 및 범위 2
1.3 연구방법 및 절차 5

CHAPTER 2 이론적 고찰 6
2.1 교통안전시설물 및 관련 이론 6
2.1.1 교통안전시설물 6
2.1.2 교통사고 분석 방법론 고찰 22
2.1.3 교통안전시설 효과평가 방법론 26
2.1.4 Value Engineering 37
2.1.5 Life Cycle Cost 47
2.1.6 위험도 분석 53
2.2 관련사례 및 기술동향 57
2.2.1 교통안전시설물 효과분석 관련사례 57
2.2.2 VE(Value Engineering) 기술동향 61
2.2.3 위험도 분석 기술동향 64

CHAPTER 3 교통안전시설 위험도 기반 가치공학기법 개발 67
3.1 위험도기반 VE기법 개발 개요 67
3.1.1 위험도기반 VE기법 개발 목적 67
3.1.2 위험도기반 평가기법 제안 67
3.2 위험도기반 VE기법 단계별 수행절차 69
3.2.1 준비단계 69
3.2.2 분석단계 70
3.2.3 중점개선 대상기능 도출 83
3.2.4 이행단계 89
3.3 교통안전시설물의 위험도 평가기법 개발 89
3.3.1 위험요소 수집 및 시나리오 작성 90
3.3.2 위험요소 중요도 산정 91
3.3.3 위험요소 Checklist 개발 95
3.3.4 위험요소별 등급산정 및 위험지수 산정 96
3.3.5 위험도 분석(Risk Analysis) 모형 100
3.4 위험도기반의 개선된 VE Job Plan 100
3.4.1 위험도 분석 연계방안 100
3.4.2 개선된 VE Job Plan 102

CHAPTER 4 중앙분리대 적용성 검증 104
4.1 중앙분리대 적용 배경 및 방법론 104
4.1.1 중앙분리대 선정배경 104
4.1.2 중앙분리대 적용 방법론 106
4.2 정보분석 단계 107
4.2.1 VE Workshop 수행 107
4.2.2 설문조사 109
4.3 교통사고 조사 분석 116
4.3.1 개요 116
4.3.2 분석결과 118
4.3.3 교통사고감소효과 평가기법의 적용 120
4.4 위험도 분석 내용 및 절차 125
4.4.1 개요 125
4.4.2 설문조사를 이용한 위험도 분석 125
4.4.3 사고 데이터를 이용한 위험도 분석 138
4.5 성능평가모델 수립 151
4.5.1 성능평가항목 선정 151
4.5.2 가중치 선정 153
4.5.3 등급(RANK)기준 수립 155
4.5.4 평가항목별 등급평가 결과 161
4.6 성능평가 163
4.7 중앙분리대 LCC 비용분류 167
4.8 기능분석 170
4.8.1 기능분석 개요 170
4.8.2 기능정의 및 분류 171
4.8.3 기능별 비용분석 173
4.8.4 기능별 성능분석 175
4.9 중점기능대상 도출 180
4.10 중앙분리대 가치평가 183

CHAPTER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85

참고문헌 189

부록 1-1. 설문조사 결과 193
부록 1-2. 설문지 211
부록 2 대상구간별 교통사고 분석결과 23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