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실내공기질의 민감도 분석에 관한 연구

Sensitivity 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 주제(키워드) 실내공기질 , 민감도 분석
  • 주제(KDC) 539
  • 주제(DDC) 628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홍민선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환경공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Model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emporal variation and sensitivity of indoor air pollutants at different initial conditions. Chemistry module is based on CB-4 and includes 36 chemical species and 81 chemical reactions excluding photochemical reactions. Results show that indoor O3 concentrations remain quite low(~several ppb) if there were no sources or inflows from outside. Chemical reactions involving CO, HCHO and NMHC(Non-Methans Hydrocarbons) were also slow enough to maintain those species almost constant levels. These resul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volving photochemical reactions and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 to reveal the more sophisticated reation pathways of indoor pollutans.

more

목차

국문요약 Ⅰ
목 차 Ⅱ
List of Tables Ⅳ
List of Figures Ⅴ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실내 주요오염 물질 5
1. 실내 공간의 공기오염 물질 5
2. 실내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s) 오염 7
제2절 인체에 미치는 영향 8
1. 입자상 오염물질 8
2. 가스상 오염물질 11
3. 미생물성 오염물질 23
제3절 실내 공기질 모델 25
1. 단실(One-Compartment) 모델 25
2. 다수실(Multi-Compartment) 모델 28

제3장 반응모델의 개요 31
제1절 반응식 및 반응상수 34
제2절 계산방법 35

제4장 모사결과 및 고찰 37
제1절 모사결과 37
제2절 민감도 분석 41
1. NO와 NO2 농도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44
2. O3 농도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48
3. CO와 HCHO 농도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53
4. 환기량(Q)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 56

제5장 결 론 63

참 고 문 헌 64

Appendix 67

Abstract 7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