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유아 어머니의 인식 조사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유아 어머니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일반유아 어머니들의 연령, 소득수준, 종교 등의 제 요인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학습 및 교육면, 정서 및 사회성 발달면, 교육시설 및 지역사회 지원의 활용면, 장애정도에 따른 태도 등의 인식을 조사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군포시, 안양시, 의왕시, 인천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일반유아 어머니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이며, 최종 분석 자료는 배포된 설문지에 대한 218명의 응답 내용이다. 자료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차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아 어머니의 제 요인별(연령, 소득수준, 종교)에 따라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일반유아 어머니의 제 요인별에 따라 통합교육이 자녀 학습 및 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일반유아 어머니의 제 요인별에 따라 통합교육이 자녀의 정서 및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일반유아 어머니의 제 요인별에 따라 통합교육의 교육시설 및 지역사회 자원 활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일반유아 어머니의 제 요인별에 따라 통합되는 장애유아의 장애 정도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에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 통합교육으로 인한 학습 및 교육면에 있어서 학습 진도가 늦어질 것이며, 교사들로부터 교육적인 관심을 덜 받을 것에 대한 우려를 하고 있다. 또, 학습 진도에 방해가 되거나 일반유아가 소홀히 다루어질 것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을 통한 정서 및 사회성 발달면에 있어서 장애유아들은 일반유아의 행동을 모방하고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회적인 기능을 빠르게 학습하게 되며, 일반유아들은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과 사람들의 다양성을 잘 수용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합교육 실시에 따른 교육시설 및 지역사회지원의 활용면에 있어서 장애유아를 위한 특별한 시설 설비의 필요성, 교사의 업무 경감 및 학급당 원아수 경감, 지역사회의 이용 가능한 관련기관 자원의 필요한 서비스 지원, 지역사회 인적자원의 도움, 유치원에서 초등학교까지의 연계통합교육의 실행을 위한 정부차원의 법적인 제도의 필요성, 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부모교육이 필요하다는 등의 긍정적인 반응이 아주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되는 장애유아의 장애정도에 따른 부모들의 태도에 있어서 장애유아들의 장애 정도가 경도에 해당되는 유아들과 통합을 하였을 경우 일반유아들에게 미치는 피해가 적을 것이며, 교육적인 서비스에 대한 지원도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단순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 소득수준, 종교에 따라 어머니들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유아 어머니들의 인식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며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매우 긍정적이라는 연구 결과에 힘입어 통합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연구는 계속 되어야 한다.

mor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통합교육의 개념 5
2. 장애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조건 8
3. 통합교육의 효과 20
4. 선행연구 고찰 25

Ⅲ.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29
2. 연구도구 30
3. 연구절차 35
4. 자료분석 35

Ⅳ. 결과 및 해석 36
1.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36
2. 자녀의 학습 및 교육에 미치는 영향 42
3.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46
4. 교육시설 및 지역사회 지원의 활용 53
5. 장애정도에 따른 어머니들의 태도 60

Ⅴ. 논의 및 제언 69
1. 논의 69
2. 제언 72

참고문헌 73

부 록 78
설문지 7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