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B형 간염의 만성화 및 간세포암 발생과 Interleukin-12 유전자 다형성

Association of Interleukin-12 gene polymorphism with Hepatitis B virus persistnece and Hepatocelluar carcinoma

초록/요약

배경: B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HBV) 감염은 다양한 임상 경과를 갖는다. HBV 감염의 자연경과의 다양성의 원인으로 유전자 다형성을 포함한 숙주 요인을 들 수 있으며, 사이토카인은 숙주 면역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HBV 감염 후의 자연 경과 및 간세포암 발생과 interleukin(IL)-12A 유전자 다형성(single neucleotide polymorphisms, SNP)과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아주대병원 소화기 내과 외래를 내원한 HBV 만성화군 730명과 HBV 감염 후 자연 회복된 HBV 제거군 320명을 포함하여 총 1,0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B형 간염의 만성화와 IL-12A의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HBV 만성화군과 HBV 제거군의 IL-12A SNP 및 haplotype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고, 간세포암 발생과 IL-12A의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HBV 만성화군을 간세포암군과 비간세포암군으로 나누어 IL-12A SNP 및 haplotype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IL-12A의 SNP는, IL-12A 유전자 번역 시작 부위로부터 +6400, +6624, +7003 부위에서 조사하였고, IL-12A exon 7 +6400 부위는 C/C 유전자형이 가장 흔하였고, T/T 유전자형은 발견되지 않았다. IL-12A exon 7 +6624 부위는 G/G 유전자형이 가장 흔하였고, IL-12A 3’UTR +7003 부위는 T/T 유전자형이 가장 흔하게 발견되었다. 대상 환자를 HBV 만성화군과 HBV 제거군으로 분류하고, IL-12A SNP와 HBV 만성화와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IL-12A exon 7 +6400 및 +6624 두 부위 및 3' UTR +7003 한 부위의 SNP는 HBV 만성화군과 HBV 제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6400/+6624/+7003 haplotype에 따른 HBV 만성화 관련성 조사에서도 양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은 관찰되지 않았다. IL-12A SNP와 간세포암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의 SNP 및 +6400/+6624/+7003 haplotype에 따른 HBV 감염 후 간세포암 발생과의 연관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IL-12A SNP 및 haplotype은 HBV 간염 진행 및 간세포암 발생과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HBV 감염의 자연 경과에서 숙주의 유전적 인자의 중요성을 상기해 볼때 향후 환자의 유전적 소인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more

초록/요약

Background: Infection with hepatitis B virus (HBV) may result in various conditions. Natural course of HBV infection may result from host immune factors includ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s), and cytokines play a crucial role in host immune defen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BV persistence and development of hepatocelluar carcinoma(HCC) and SNPs of interleukin(IL)-12A. Methods: Between March 2002 and December 2004, 730 Korean patients with HBV infection and 320 healthy individuals who recovered from HBV infection were enrolled. We assessed polymorphisms and haplotype in IL-12A, and the genotype distributions of the HBV clearance and persistence group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BV persistence and SNPs of IL-12A. And the genotype distributions of the HCC and no HCC group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velopment of HCC and SNPs of IL-12A. Results: We asssesed SNPs in IL-12A at position +6400, +6624 and +7003. In IL-12A exon 7 +6400, the most common genotype was C/C and T/T genotype was not found. In IL-12A exon 7 +6624, the most common genotype was G/G. And in IL-12A 3' UTR +7003, the most common genotype was T/T.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the HBV persistence and the HBV clearance. On the basi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BV persistence was observed with IL-12A exon 7 +6400, +6624, 3' UTR +7003 SNP and haplotype of IL-12A +6400/+6624/+7003.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CC development was observed with IL-12A exon 7 +6400, +6624, 3' UTR +7003 SNP and haplotype of IL-12A +6400/+6624/+7003.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SNPs and haplotype of IL-12A were not associated with HBV persistence and development of HCC.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host genetic factors including SNPs.

more

목차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A. 연구대상 = 3
B. 방법 = 4
1. 유전자형 분석 (Genotyping) = 4
C. 통계분석 = 4
Ⅲ. 결과 = 6
Ⅳ. 고찰 = 11
Ⅴ. 결론 = 14
참고문헌 = 15
ABSTRACT = 1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