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저소득 아동을 위한 방과후 교실프로그램의 실태조사 및 운영방안에 대한 제언 : 수원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관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서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 목적, 프로그램의 유형을 고찰하고, 외국의 방과후 아동보육의 성공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찾고, 사회복지관의 방과후 프로그램의 주 이용자인 저소득층 아동과 보호자 그리고 종사자들의 욕구를 바탕으로 저소득층 아동의 올바른 양육을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의 제시와 활용방안까지 작성하여, 단순한 문헌연구나 조사로 끝나지 않고, 이용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사회복지관의 방과후 프로그램의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려고 한다. 설문과 질적 조사를 통해서 본 저소득층 아동과 보호자 그리고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욕구를 수집한 결과에 바탕을 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주로 학원에서 시간을 보내는 일반아동들과는 달리, 학교가 끝나면 갈 곳이 없는 저소득층 아동들이 집에서 보호자 없이 시간을 보내므로, 아동을 보호 및 양육을 해야 할 시설과 더불어 저소득층 아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기초 학습능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정기적인 학습지원이 필요하며, 아동들에게 학업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결손가정의 비율이 높은 저소득가정 아동의 특성상 현재 기능적 가르침만을 시행하고 있는 일반 방과후 학원의 프로그램과는 차별을 두어야 하며, 서비스 대상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사회복지관의 방과후 프로그램은 아동의 올바른 정서형성과 심리적 지지를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아동의 생활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의 강화를 위해서 부모역할 강화프로그램 등이 요구 된다. 셋째, 대다수의 가정이 경제적인 이유로 인하여 복지기관의 프로그램 참여 이외에 다른 사설 학원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복지관의 방과후 프로그램에서는 일반적인 학업에 관한 기능적 프로그램은 물론 아동 아동의 재능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예체능 등의 수업의 진행이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일반가정의 아동과 달리 아동과 보호자가 외부로 나가 여행이나 문화적 자극을 받을만한 기회가 없으므로 견학 등 사회문화적 복지 프로그램 또한 중요시 여겨진다. 넷째, 아동의 문제에 효과적인 대처를 위하여 지역사회복지관과 학교와의 적극적인 연계를 이룰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다섯째, 더 많은 아동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비수급자 가정의 아동들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수급권 아동들에 대한 편견을 바꿀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실시 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방과후 아동 프로그램의 실질적인 부분이 대부분 자원봉사자로 이루어 지고 있는 현실에서 자원봉사자의 안정적 모집과 관리에 있어서도 주기적인 교육과 이를 뒷받침 해줄 프로그램이 절실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목적 = 3
Ⅱ. 이론적 고찰 = 5
1. 저소득층의 개념 = 5
2. 저소득층 아동의 특징 = 6
Ⅲ. 연구 방법 = 11
1. 연구방법 = 11
2. 조사대상 = 13
3. 제한점 = 14
Ⅳ. 방과후 교육활동: 사례연구 = 15
1. 미국 = 15
2. 독일 = 22
3. 일본 = 30
4. 한국 = 37
Ⅴ. 각국 아동보육의 비교 = 43
1. 방과후 아동보육의 개념 = 43
2. 방과후 아동보육의 목적 = 44
3. 방과후 아동보육의 유형 = 45
4. 방과후 아동보육의 유사성과 차이점 = 46
5. 방과후 아동보육 관련법 = 47
6. 프로그램 = 48
7. 방과후 아동보육 교사 = 49
Ⅵ. 모범 프로그램 사례 = 51
1. 운영지침 = 51
2. 교육시간 및 인원 = 52
3. 교육내용 = 52
4. 프로그램의 목표 = 53
5. 5프로그램 담당인력 구성 = 54
6. 주간계획 = 54
7. 방과후교실일지 = 55
8. 신청사업예산 = 56
9. 신청프로그램의 추진일정 = 57
10. 진행 차트 = 60
11. 여름캠프일정 = 61
12. 프로그램 = 62
13. 프로그램 세부 내용 예시 = 70
14. 평가설계 = 76
Ⅶ. 설문분석 = 80
Ⅷ. 결론 및 제언 = 93
참고문헌 = 97
부록 = 10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