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속도로 VMS 교통정보의 가치측정 및 편익산출에 관한 연구

Quantification of the Value of Freeway VMS Traffic Information and Assessment of Societal Benefit

초록/요약

교통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개별 이용자에게 편의성제고는 물론 사회적 관점에서 도로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보제공수단으로서 집합적으로 불특정다수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VMS는 개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CNS(car navigation system)에 비해 보다 동적인 교통정보를 제공하며 이미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가치의 측정은 불문한 채 공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본적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되었고 기존 연구는 VMS 및 여타 교통정보에 대한 화폐적 가치를 추정하기 보다는 주로 제공정보에 따른 출발시간 또는 경로 변경 등 운전자의 행태를 파악하는데 국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정보 자체의 가치추정을 통해서 기반시설투자 및 운영에 대한 사업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척도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각종 매체중 VMS를 대상으로 하여 운전자의 경로선택시 교통정보가 차지하는 비중을 반영한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위해 SP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효용선택이론인 로짓(Logit)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고속도로와 국도로 구성된 선택가능한 경로들에 대해 다양한 통행조건을 제시하여 이용자의 선택을 유도하였다. 구성된 모형은 크게 단, 중거리 통행과 정성적, 정량적 교통정보에 대한 조합을 통해 4개의 모형으로 구성하였고 이에 대한 주요 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VMS정보는 Logit모형에서 유의성을 갖는 변수로 각 모형에서 채택되었으며, 이는 VMS정보가 이용자의 경로선택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반증해 주고 있다. 둘째, 채택된 변수들의 각 계수 값을 활용하여 통행시간가치 및 VMS정보에 대한 정보가치를 추정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VMS 교통정보기반의 편익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료화 사업이 가능한 교통정보사업의 경우 적정 사용요금을 부과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주어진 교통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경로변경여부에 대한 행태를 추정할 수도 있어 향후의 실시간 경로안내등의 구축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효용함수이론을 이용하여 그간 국내외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VMS정보에 대한 화폐적 가치를 추정해 내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적용된 효용함수이론을 이용한 접근방법은 VMS외에도 인터넷, 내비게이션, 핸드폰 등의 다른 매체의 교통정보에 대한 가치측정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more

초록/요약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network operation and in providing convenience for roadway users. As a typical device for disseminat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for collective general public, VMS is prevalent nowadays and it is being expanded without knowing the actual value or validity associated with it. The motivation of this thesis comes from such neglect of the value of VMS based traffic information. So far, the studies regarding VMS traffic information are mainly focused on the behavioral aspects such as departure time and route choices with given traffic information. Such being the cas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valuate value of traffic information and to apply the "value" in assessing the social benefit and feasibility of certain VMS projects. For this, stated preference survey were conducted for VMS information role in the choice of route; the data were used with Logit model to derive coefficients of the utility function. The proposed models are composed of four different models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versus short trip and longer trip aspects. The major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 VMS information of utility function was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 in all cases, which in turn proves that it is important in the route choice of users. Second, the value of VMS base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were estimated using the coefficients in the utility function. Third, the social benefit of VMS traffic information was also estimated. Finally, the constructed model can also be used in analyzing the behavior of users facing traffic information and in disseminating information in a more proper way. In summary, this thesis may shed light on the idea of estimating value of VMS based traffic information using discrete choice theory and logit model.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set forth here in this thesis can also be used in evaluating the value of traffic information delivered over PDA, CNS and/or mobile phone as well in the future.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수행방법 = 3
1. 공간적 범위 = 3
2. 내용적 범위 = 4
3. 연구수행 방법 = 5
제 2 장 기존문헌 및 이론 고찰 = 6
제 1 절 교통정보매체별 특성비교 = 6
제 2 절 국외 연구사례 = 10
1. 교통정보제공에 따른 이용자 행태연구 = 10
2. 교통정보제공내용의 효과에 관한 연구 = 11
3. 교통정보제공 방식에 대한 효과 연구 = 13
4. 교통정보수집 방식에 대한 연구 = 14
5. 교통정보 유료화 해외 사례 = 15
제 3 절 국내 연구사례 = 16
제 4 절 기존 교통정보시스템의 효과검토 사례 = 19
제 3 장 VMS 교통정보 가치산출모형 구축 = 21
제 1 절 방향 선정 = 21
1. 적용 이론(로짓모형) = 21
2. 분석자료 수집 방법 = 27
3. 교통정보 제공방식 선정 = 37
4. 교통정보 제공내용 선정 = 38
제 2 절 이용자 행태를 위한 SP조사 설계 = 39
1. 시나리오 결정 = 39
2. 속성변수와 선택대안의 설정 = 43
3. SP조사내용 분석 = 47
제 3 절 SP조사 = 51
1. 조사 일시 = 51
2. 기초자료 분석 = 52
제 4 장 VMS 교통정보 가치산출모형의 해석 = 64
제 1 절 시간가치산정 방법론 = 64
1. 시간가치 산출방법 = 64
2. 각 시나리오별 SP자료 현황 = 66
제 2 절 통합모형 구축 = 67
1. 개요 = 67
2. 단거리이동시(시나리오: 1+3) 경로선택모형 = 69
3. 장거리이동시(시나리오: 2+4) 경로선택모형 = 74
4. 정성적 정보(시나리오 3 또는 4)의 가치산정 = 80
제 3 절 정량적정보(시나리오1 또는 2)에 대한 분석 결과 = 87
1. 개요 = 87
2. 시나리오1(정량적+단거리)의 분석결과 = 88
3. 시나리오2(정량적+장거리)의 분석결과 = 92
제 4 절 정성적정보(시나리오3 또는 4)에 대한 분석 결과 = 98
1. 개요 = 98
2. 시나리오3(정성적+단거리)의 분석결과 = 99
3. 시나리오4(정성적+장거리)의 분석결과 = 109
제 5 절 시나리오별 교통정보 가치산정 (종합) = 118
제 6 절 시나리오별 교통정보 탄력성 분석 = 119
1. 단거리통행시 정량적 지체시간 교통정보에 따른 탄력성 분석 = 119
2. 단거리 통행시 정성적인 교통정보에 따른 탄력성 분석 = 123
3. 장거리 통행시 정량적 지체시간교통정보에 따른 탄력성 분석 = 127
4. 장거리 통행시 정성적인 교통정보에 따른 탄력성 분석 = 131
제 5 장 VMS 교통정보에 따른 이용자편익 산출 = 135
제 1 절 교통정보 제공 편익산출 알고리즘 개발 = 135
1. 입력 자료의 구성 [1단계] = 136
2. 가변정보판 정보 이용율 산출 [2단계] = 137
3. 교통정보 습득 후의 경로우회 확률 산출 [3단계] = 138
4. 경로 우회에 따른 교통상황 변수 산출 [4단계] = 140
5. 경로 우회에 따른 전체 시스템 편익 산출 [5단계] = 141
제 2 절 교통정보 제공 편익 산출 및 경제성 분석 = 143
1. 입력자료 구성 = 145
2. 가변정보판 정보이용율 산출 = 146
3. 교통정보 습득 후 경로우회 확률 산출 = 146
4. 경로우회 확률을 이용한 교통상황 변수 산출 = 147
5. 경로우회에 따른 교통정보 편익 산출 = 148
6. 경제성 분석 = 150
제 6 장 결론 및 향후과제 = 152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 152
제 2 절 향후 연구과제 = 154
참고 문헌 = 155
부록 = 161
부록 = 170
ABSTRACT = 17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