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독서이해 과정의 개인차 : 인지과제 수행과 안구운동 패턴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es : Cognitive Task Perfomances & Eye-Movement Pattern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인지과제를 이용하여 독서이해력의 개인차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개인차의 요인을 탐구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독서이해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하위 이해과정들을 단어이해, 문장이해, 텍스트이해와 모델형성과정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축소된 인지과제로 측정하여 검사 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개인차를 나타내는 두 종류의 읽기시간(평균읽기시간과 평균 차이읽기시간)을 하위 이해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측정변인으로 하였고, 각 이해과정은 보다 상위의 독서이해과정을 설명하는 고차요인모델(higher order factor model)을 검증하였다. 모델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이용하였고 고차요인모델의 적합도(model fits)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모델에 기초하여 측정변인들로부터 하위요인들의 점수를 산출하였고, K-평균 군집분석(K-means 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여 각 하위요인들의 관계에 따라 참가자들을 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독서과정에서 보이는 이해과정의 특성들을 고려하여 ‘지연된 부정확 표상집단’, ‘신속 정확한 표상집단’과 ‘신속 부정정한 표상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독서이해력 검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사한 능력을 측정하는 국어이해검사를 제작하여 본 검사와의 상관을 측정하였다. 여러 하위영역에서 대체적으로 낮은 상관을 보였으나 이를 과제특성과 관련된 차이로 논의하였다. 연구 3과 4는 안구운동 추적을 이용한 연구였다. 연구 3은 예비 연구로 독서과정에서 일어나는 안구운동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작은 표본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험의 구성과 방법을 구현하였고, 한국어 상황에 맞는 안구운동 지표를 정량할 수 있는 기본적 원리를 탐색하였다. 연구 4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독서이해력 측정도구로 개인을 구분하고 텍스트 난이도(쉬운 글, 중간 글, 어려운 글)를 구분하여 두 수준의 상호작용을 안구운동 지표들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텍스트가 어려울수록 눈 고정과 회귀 시간이 길게 나타났고 회귀빈도도 증가하였다. 또한 읽기집단에 따라 ‘신속 정확한 표상집단’의 눈 고정과 회귀의 빈도가 텍스트의 난이도와 무관하게 많았으며 회귀시간과 고정시간은 ‘신속 부정확한 표상집단’과 비교하여 짧게 나타났다. 안구운동을 이용하여 개인차를 밝힌 기존연구(Rayner, 1998; Hyona & Nurminen, 2006)들과 결과를 비교하였고, 언어이해 처리의 효율성 차원과 성공적인 이해 표상을 위한 모델형성 측면을 모두 고려한 분석으로 숙련 및 비숙련 독자를 구분하는 것이 독서이해 현상을 심도 있게 설명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검사 도구로 측정된 개인의 독서이해 과정을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는 것이 안구운동으로 관찰한 독서패턴을 보다 잘 예측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질적인 교육장면에서 독서교육을 평가하고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인지과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독서이해과정을 측정할 수 있는 본 검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dividual difference in reading comprehension(RC) using cognitive tasks and to explore factors of the individual difference. The study 1 identifi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was constituted in the four component processes (word comprehension, sentence comprehension, text comprehension, model construction) and developed the test that could measure these component processes using cognitive tasks(lexical decision task, sentence verification task, moving window paradigm, sentence reading task,). These tests was proved to be useful and valid. In the study 2,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component processes and their measured variables that were two reading times(mean reading time, mean difference reading time). And the higher-order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C and four component processes. Individual RC scores and the four component scores based on the higher-order factor model were computed. Using the K-means cluster analysis, these scores were separated into three clusters. The findings of those analyses revealed that every participant's RC score could be computed like IQ, and classified three reading strategies based on two dimensions(efficiency of language process, correct comprehension representation) ,"delayed inaccurate representation", "fast inaccurate representation", "fast accurate representation.". For the validity of the present RC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per pencil test(Korean Comprehension Test) and the present RC test was examined. The result showed that their correlation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t was discussed that each test measured different abilities; the former test measure RC processes, and the latter test measure knowledge of Korean. The purpose of the studies 3 and 4 was to examine eye-movement patterns during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 The study 3 was a preliminary study to find out the way to analyze eye movement data using Korean. The findings of the study 3 have helped to examine basic principles that could quantify eye movement data using Korean. In the study 4, three reader groups that was separated in study 2 was monitored to confirm that eye movements are sensitive to global text passage difficulty(easy, moderate, difficult text). The findings of the study 4 revealed that eye fixation time, regression time and regression frequency increased when text is difficult. Key results of study 4 were that fast accurate representation readers made the more fixation and regression frequency without text difficulty, and that fast accurate representation readers showed the shorter fixation and regression time than fast inaccurate representation readers did. And this eye movement result was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Rayner, 1998; Hyona & Nurminen, 2006).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individual difference in RC was more understandable when RC was measured two process dimensions using the present RC test, and eye movement data of the present reader style have more information during reading than existing research on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resent RC test using cognitive tasks be useful and have practical educational implication in evaluating and measuring RC ability.

more

목차

Ⅰ. 서론 = 1
1. 독서이해의 인지과정 = 4
(1) 단어 이해과정 : 어휘접속(lexical access) = 4
(2) 문장이해과정 : 통사처리과정(syntactic processes) = 6
(2) 텍스트 이해과정과 심성모형(mental model) = 7
2. 독서이해 모델 = 10
(2) Kintsch의 구성통합이론(construction integration model) = 11
(2) Perfetti의 어휘효율성 이론(verbal efficiency theory) = 12
3. 독서이해과정의 개인차 연구 = 15
Ⅱ. 연구 목적 = 20
Ⅲ. 논문의 구성 = 23
IV. 연구 1 : 독서이해력 검사 개발 = 24
1. 방법 = 26
2. 결과 = 35
3. 논의 = 46
Ⅴ. 연구 2 : 독서이해력 지표 구성 = 48
1. 방법 = 50
2. 결과 = 52
3. 논의 = 64
Ⅵ. 연구 3 : 예비 연구 = 69
1. 방법 = 69
2. 결과 = 72
3. 논의 = 76
Ⅶ. 연구 4 : 안구운동추적을 이용한 독서이해과정의 개인차 패턴 = 77
1. 방법 = 77
2. 결과 = 79
3. 논의 = 90
Ⅷ. 종합 논의 = 92
참고 문헌 = 99
Abstract = 107
부록 = 10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