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속가능한 초고층 공동주택을 위한 리모델링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deling Direction for Sustainability of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초록/요약

초고층 건물은 도시의 수평적 확장에서 수직적 성장의 모델을 제안하는 것으로 도시의 성격을 강조하고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초고층 공동주택은 오늘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유형으로 각광받고 있다. 1990년대 이전의 공동주택과 비교해서 많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초고층 공동주택은 유지관리차원에서의 리모델링 방법 및 방향에서도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의 부동산정책과 친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인하여 신축이나 재건축보다 리모델링에 대해 많은 관심이 몰리고 있다. 건물의 장수명화, 안전성, 쾌적성, 환경에 대한 배려 등 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한 리모델링이 요구되고 있다. 초고층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은 아직 사례가 없고, 미래를 예측하는 연구이므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들의 직관을 동원하여 항목별 중요도 및 가중치를 분석할 수 있는 계층화분석법(AHP)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가 조사를 위한 계층화 모델의 정립과 그를 통한 계층화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행한 단계별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 리모델링 관련 문헌과 초고층 공동주택 관련 문헌, 그리고 미국의 LEED와 일본의 CASBEE를 포함하는 친환경 건축 및 환경성능평가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초고층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에 적용 가능한 109개의 세부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세부항목들과 관련 선행연구의 상·하위 지표들을 재구성하고 응용·추가하여 ⅰ)편의성 향상, ⅱ)내/외관 향상, ⅲ)유효면적 증대, ⅳ)친환경성 향상, ⅴ)경제성 향상의 5개 상위기준에 총26개의 하위기준으로 구성된 계층화모델을 정립하였다. 셋째,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계층화분석법(AHP)의 평가 도구인 EC(Expert Choice)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문가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 그룹별로 초고층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에 대한 항목별 중요도를 도출, 분석하였다. 초고층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방향을 예측하기 위한 조사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상위기준의 중요도 분석에서는 3개의 그룹 모두 A. 편의성 향상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의 리모델링 관련 선행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분석되었던 C. 유효면적 증대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앞으로 초고층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에서는 주로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D. 친환경성 향상이 2순위로 분석되었으며, E. 경제성 향상은 3순위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기존의 일반 공동주택의 선행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분석되었던 C.유효면적 증대는 4순위, B. 내/외관 향상은 가장 낮은 5순위의 중요도로 분석되었다. 2) 직종별로 세분화된 <그룹2>와 <그룹3>의 항목별 중요도 분석에서는 각각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설계전문가 그룹인 <그룹2>에서는 A. 편의성 향상, E. 경제성 향상, C. 유효면적 증대, D. 친환경성 향상, B. 내/외관 향상의 순으로 중요도가 분석되었으며, 연구원 그룹인 <그룹3>에서는 A. 편의성 향상, D. 친환경성 향상, B. 내/외관 향상, E. 경제성 향상, C. 유효면적 증대의 순으로 중요도 분석이 되었다. 이는 다루는 업무에 따라서 설계실무를 하는 그룹에서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요소를 중요하게 다루었으며, 연구원 그룹은 현실적인 요소보다는 이상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요소를 중요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상위기준의 중요도에서는 그룹별로 다소간의 차이를 가지고 서로 다른 중요도를 가지고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하위기준만을 가지고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모든 그룹들은 비슷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중요도가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에서 검증된 모든 초고층 공동주택에서의 리모델링 요소들을 적용하여 평가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5개의 지표를 통해 초고층 공동주택의 가장 일반적인 특성들을 가지는 리모델링지표를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 초고층 공동주택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중요도 조사를 실시여 검증을 거친 후에, 그 결과를 토대로 초고층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방향의 지표의 실제 활용에 대한 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the one of representative housing types in Korea, has a special character that prevents urban places from sprawling by vertical expansion. For this reason,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has been focused as a part of living characters and become a prototype of urban housing after 1995. As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became a standard of housing, negative views of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has been increased. However,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in urban places has been frequently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urban sprawling and negative views has gradually changed their position, acknowledging advantage of building up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Moreover, consumers' interests of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are much more clearly revealed in these days. Recently trend of real estate policies and sustainability make remodelling to get more focuses than new construction and rebuilding. Rebuilding in short period needs more amount of energy, following time saving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other words, sustainability, safety, amenity, environmental concern of buildings, saving resources and conserving of environment, can be achieved by remodelling. This research use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alyzing priorities and weights of indexes through collecting interviews and intuitions of experts, in that the number of cases of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is not enough to be categorized and remodelling of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has not been performed yet in Korea. Used process of AHP o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next column. First, this research extracted 109 index details, applying for remodeling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by analyzing apartment housing,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sustainable housing an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efficiency journals. Second, this research made out the analytic hierarchy model, consisted 5 precedence indexes and subdivision indexes; ⅰ) elevating conveniences ⅱ) improving appearance ⅲ) enlarging using areas ⅳ) improving sustainability ⅴ) elevating economic efficiency by reorganizing and applying pre indexes. Third, this research performed interviews experts and extracted priorities of indexes by grouping individual subjects through Expert Choice(EC), one of the assessing method of AHP. The final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next column. First, elevating conveniences got the first place of precedence indexes in interviewing three subject groups, unlike preceding researches that enlarging using areas got the first place of precedence indexes. Therefore, remodeling of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should include indexes in the quality of living. Next to elevating conveniences, precedence indexes are ranked sequently as improving sustainability, elevating economic efficiency, enlarging using areas, and improving appearance. Second, different results came out between Group2 and Group3 in analyzing priorities of indexes. Precedence indexes are ranked sequently as elevating conveniences, elevating economic efficiency, enlarging using areas, improving sustainability and improving appearance in Group2, design experts. Precedence indexes are ranked sequently as elevating conveniences, improving sustainability, improving appearance, elevating economic efficiency and enlarging using areas, in Group3, researchers. This result means that realistic and practical indexes are treated importantly in design experts and ideal and future intentional indexes are treated more importantly in researchers. Third, each of precedence indexes has some differences in analyzing priorities of precedence indexes by groups. However, each of subdivision indexes has been similarly ranked in analyzing with only priorities of subdivision indexes by groups. All in all, remodelling of a super high-rise apartment housing can be processed on the way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ving and sustainability with achieving structural safety in the near future. Moreover, fundamentally creation of economic extra values can be a important perspective in the process. This research has a limit of assessing all of super high-rise apartments, mentioned preceded researches and references. However, this research has a meaning of extracting general remodelling indexes of super high-rise apartments through analyzing 5 indexes. Therefore, investigation of real application in the direction of super high-rise apartments is necessary to compare priority of each index more exactly after interviewing residents of super high-rise apartments.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문제 = 3
1.3 연구 방법 및 내용 = 4
1.4 용어 정의 = 6
1.4.1 초고층 공동주택 = 6
1.4.2 리모델링 = 8
제2장 이론적 고찰 = 11
2.1 초고층 공동주택의 개념 = 11
2.1.1 고층 공동주택과 초고층 공동주택의 특성비교 = 11
2.1.2 도시주거의 새로운 패러다임 = 12
2.1.3 국내 초고층 주거의 방향 = 14
2.2 리모델링의 개념 = 15
2.2.1 리모델링의 기능 = 15
2.2.2 건축물의 장수명화 = 16
2.2.3 공동주택 리모델링 관련 제도현황 = 18
2.2.4 재건축과 리모델링의 비교 = 21
2.2.5 현행 제도내에서의 리모델링의 범위 = 22
2.3 국내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유형 = 23
2.4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장 전망 = 24
2.4.1 리모델링 시장의 형태적 전망 = 24
2.4.2 리모델링 시장의 규모적 전망 = 24
2.5 리모델링을 통한 친환경성 향상 = 25
제3장 계층화모델 정립 = 27
3.1 계층화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 27
3.1.1 기본개념 = 27
3.1.2 계층화분석법의 공리 = 28
3.1.3 계층화분석법의 적용절차 = 28
3.1.4 그룹의사결정 = 33
3.2 관련 선행연구 분석 = 35
3.3 친환경 리모델링의 평가지표 = 37
3.3.1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 37
3.3.2 CASBEE(Comprehensive Assessment System for Building Environmental Efficiency) = 39
3.4 초고층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방향예측을 위한 지표 도출 = 41
3.4.1 상위지표 도출 = 42
3.4.2 하위지표 도출 = 43
제4장 연구결과 = 47
4.1 연구방법 및 조사도구의 특성 = 47
4.1.1 그룹의사결정을 위한 계층화분석법의 적용 = 47
4.1.2 그룹의사결정 = 47
4.2 조사대상의 선정 = 50
4.2.1 설문구성 = 50
4.2.2 항목별 계층구조 구성 및 일관성 비율 = 51
4.3 초고층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항목별 중요도<그룹 1> = 52
4.3.1 항목별 중요도<그룹 1> = 52
4.3.2 전체 계층의 종합 중요도<그룹 1> = 59
4.3.3 소결 = 60
4.4 초고층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항목별 중요도<그룹 2, 3> = 61
4.4.1 항목별 중요도<그룹 2, 3> = 61
4.4.2 전체 계층의 종합 중요도<그룹 2, 3> = 66
4.4.3 소결 = 67
4.5 초고층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항목별 중요도<그룹 4> = 68
4.5.1 항목별 중요도<그룹 4> = 68
4.5.2 전체 계층의 종합 중요도<그룹 4> = 70
4.5.3 소결 = 71
제5장 결론 = 73
참고문헌 = 77
부록 = 79
Abstract = 8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