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노인에게 발생한 골다공증 성 대퇴골 골절과 Femur Geometry와의 상관관계

Association of Proximal Femoral Geometry with Osteoporotic Proximal Femur Fracture in Elderly Koreans

초록/요약

연구 목적 : 대퇴골 골절의 예측인자로 골밀도 이외에 고관절 장축의 길이, 대퇴골 강도 지수 등의 대퇴골 근위부의 형태가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국내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골다공증 성 대퇴골 골절군과 비골절군 사이의 대퇴골 근위부의 형태를 비교하고, 골절과의 연관성 및 골절에 가장 영향을 주는 대퇴골 근위부의 형태학적 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아주대학교병원에 대퇴골 근위부 골절로 입원한 60세 이상의 환자 51명 및 같은 기간 아주대학교 내분비대사내과 외래에 골다공증 진료를 보기 위하여 내원한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대퇴골 근위부의 형태를 이중 X-선 흡수 계측기(Lunar Prodigy DXA system, GE, Healthcare,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골절군과 비골절군을 비교하고 골절과 관련된 대퇴골 형태학적 인자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비골절군에 비해 골절군에서 고관절 장축의 길이가 유의하게 길었으며(P<0.05), 대퇴골 강도 지수는 골절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1). 대퇴골 강도 지수는 골밀도, 나이와 독립적으로 고관절 장축의 길이에 비해 골절의 예측력이 더 높았다. 결론: 골절군과 비골절군에서 대퇴골 강도 지수, 고관절 장축의 길이 등 대퇴골의 형태학적 인자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골밀도와 함께 대퇴골의 형태학적 인자가 대퇴골 근위부 골절의 유의한 예측인자가 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Objective: Recent studies demonstrated a relationship between proximal femoral geometry and the risk of hip fracture, but there is relatively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association of these measurements with hip fracture in Korean. Our study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mur geometry and hip fracture and evaluated the geometric factors related to hip fracture in elderly Korean. Methods: 51 proximal femoral fracture patients aged 60 or older were compared to 51 non fracture control subjects aged 60 or older. We measured their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femoral geometry using dual X-ray absorptiometry (Lunar Prodigy DXA system, GE, Healthcare). Results: Hip axis length (HA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 proximal femoral fracture, and femur strength index (FSI)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racture group. The fracture discrimination improved when HAL and FSI variables were combined with BMD measurements Conclusion: Femur geometries such as HAL, FSI can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hip fracture. Key words: Hip Fracture, Osteoporosis, Risk Factors, Femur geometry, Femur strength index, Hip Axis length

more

목차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A. 연구 대상 = 3
B. 연구 방법 = 4
Ⅲ. 결과 = 7
Ⅳ. 고찰 = 13
Ⅴ. 결론 = 17
참고 문헌 = 18
ABSTRACT = 2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