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제조기업의 전략적 보전관리 운용모형

Strategic Maintenance Management Model for Manufacturing Firms

  • 주제(키워드) Maintenance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함효준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산업공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최근에는 설비의 관리상태가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에 관련되고 설비에 대한 초기 투자비 및 관리 비용이 크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설비관리의 한 방법으로 국내에서 TPM 활동을 활용한지도 많은 기간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국내의 TPM 활동이 그 동안 자주보전 활동을 통한 설비의 기본조건을 보전하는 데에는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으나 기업에의 수익성을 창출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제한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추진에 따른 평가기준이 계량적이지 못한 면은 지속적 추진의 장애요인중의 하나이다. 이는 여러 가지 이견이 있을 수 있겠으나 전문적인 보전 분야의 발전과 전략적인 보전관리에 전력을 다하지 않은 것도 한 이유가 아닌가 한다. 그 동안 TPM을 추진하는 많은 기업에서 나름대로 계획적인 보전관리를 실시하고는 있으나 보전관리를 전략적으로 도입, 실시하는 측면에서는 부족하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제조기업 실무에서 핵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보전관리 모형을 처음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 운용모형의 기본사상은 보전관리를 구성하고 있는 운용 프로세스와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시스템과 함께 이를 실행 할 인적자원을 중시하고 있다. 이러한 세 가지의 기본요소들이 충족되는 모형을 개발, 구현하고 평가,검증을 통하여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다. 즉 설비 보전관리 분야의 수준 향상을 위하여 자주보전에 의한 보전뿐만 아니라 필수적으로 실행하여야 할 보전관리의 전략적 요소를 정의하고 단계별로 그 난이도에 따라 실행하는 운용모델을 개발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전략적 보전관리 운용 모델은 기존의 광범위한 설비자산 관리활동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보전활동의 부가가치 향상 측면에서 핵심적인 구성요소만을 추출, 보완하고 새로운 요소의 추가와 재구성작업을 통하여 실무에 적용가능 한 새로운 운용모형을 개발, 제시하는데 기본을 두고 있다. 전략적 추진을 위하여 전체적인 설비보전 수준의 측정 평가를 통하여 정성적 평가에 머물러 있던 평가기준을 기간별, 수준별로 처음으로 계량화 하였다. 개발된 운용모델은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보전관리의 기본 기초를 구축하는 단계와 이러한 기본적인 보전관리의 활용을 관리 안정화하는 단계, 보전관리 수준을 더욱 향상 발전시키는 단계 그리고 고차원적인 보전관리 항목의 실시를 통한 보전관리에 의한 성과를 지속화하고자 하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4단계인 지속화 단계 이후에는 보전성과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최종 과정으로서 4단계까지의 보전관리 항목별 각 영역의 실행과 다기능 수행 팀의 보전관리를 통하여 세계수준의 보전성과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5단계는 이렇게 구성된 운용모형의 적용성과를 측정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단계의 영역별 활동 레벨과 운용 모형 적용 전체에 대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의 성과 치를 측정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설비에 대한 보전활동이 제품 생산 공정에서 보조적인 수단으로서의 역할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업경영에 있어서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운용모델을 기업 실무에 적용함으로써 생산현장의 보전관리 활동에서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활동 요소 등을 체계화할 수 가 있다. 또한 보전관리 활동을 전략적으로 운용하여 기업 경영에서의 보전 활동을 부가가치가 창출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핵심어: 전략적 보전관리, 운용모형, 설비자산관리, 영역별 활동레벨, 보전 KPI,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논문구성 2

제2장 SMM 운용 모형의 이론적 배경 4
제1절 TPM의 이론적 배경 4
제2절 EAM의 이론적 배경 6
제3절 설비관리의 기능 7
제4절 기존연구의 고찰 8

제3장 SMM 운용모형의 기본사상 및 개발 11
제1절 모형개발을 위한 3요소 13
1. 시스템 13
2. 프로세스 14
3. 인적자원 15
제2절 모형개발 구축단계 18
1. 활동단계 구성 19
2. 모형영역 설정 20
3. 영역별 실행방안 설계 26
4. 영역별 평가방법 개발 47
5. 시스템 구현 및 측정평가 51
제3절 모형의 평가와 검증 53

제4장 SMM 운용 모형의 응용 54
제1절 운용모형의 시스템 구현 54
제2절 운용모형의 적용 57
제3절 적용사례의 수준측정 및 평가 87

제5장 모형의 평가 및 검증 88
제1절 보전 성과 지표 88
제2절 생산효율 관련 지표 94

제6장 결 론 95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논의 95
제2절 향후 연구과제 97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Appendix)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