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교 학습조직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 조사연구

  • 주제(키워드) 학습조직화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이장익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국문초록 초등학교 학습조직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 조사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이경래 본 연구는 수원시에 근무하는 공립초등학교 교사들의 학습조직화 인식도 조사를 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별 배경(학교규모, 성별, 교직경력, 보직유무, 교원단체 가입유무)에 따라 학습조직화의 하위 변인들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이론적 기저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학습조직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국내․외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학습조직을 구성원, 시스템, 실천의 3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개발한 김희규(2004)의 것을 채택하였다. 김희규는 학교 학습조직화 정도의 하위변인을 구성원, 시스템, 실천과정의 3요인으로 보고 각 차원의 하위변인으로는 신념체계, 권한부여, 비전공유, 전문성 개발, 체제적 사고, 리더십, 조직구조, 의사소통, 정보 시스템, 지식창출, 지식공유, 지식저장, 지식활용을 두었다. 이와 관련하여 총 86개의 문항으로 제작되었고 이들 문항들은 원래 Likert식 4점 척도였으나 5점 척도로 세분하여 측정하였다. 개인별 배경으로는 학교규모, 성별, 보직유무, 교직경력, 교원단체 가입 유무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원시 공립초등학교 12개교에 근무하는 교사 250명에게 설문을 돌린 결과, 회수된 230명의 설문지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228부를 윈도즈용 한글 SPSS 12.0 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의 학습조직화 구성화요인의 인식차이 학교규모별로 학습조직화 구성원 요인을 보면 권한부여와 전문성개발 변인에서 학교규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했다. 학교규모가 비교적 큰 36학급 이상의 교사들이 35학급 이하의 교사들에 비해 권한부여와 전문성 개발 변인에서 더 높은 지각을 하고 있다. 교직경력에 따른 구성원요인의 하위변인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면 권한부여변인에서 교직경력이 11-15년 이상인 집단이 가장 높은 권한 부여 정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전공유 변인에서는 교육경력이 21년 이상인 집단이 비전공유에 대한 가장 높은 척도를 나타냈다. 교육경력이 21년 이상인 집단이 비전공유변인에서 높은 척도를 나타내는 것은 오랜 교직경력으로 학교의 리더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원단체별로 구성원 요인의 하위요인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면 신념체계, 권한부여와 비전공유, 전문성 개발, 체제적 사고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총에 가입한 집단이 여러 변인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것은 교총에 가입한 교사들의 학습조직화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교사들의 학습조직화 시스템요인의 인식차이 학교규모에 따른 시스템 요인의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리더십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했다. 학교 규모가 비교적 큰 36학급 이상의 교사들이 35학급이하의 교사들보다 리더십 변인에서 더 높게 지각하고 있다. 교직경력별로 시스템 요인의 하위변인을 살펴보면 리더십변인에서 교육경력이 11-15년 정도인 집단이 가장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단체별로 시스템요인의 하위변인을 살펴보면 리더십, 조직구조, 의사소통, 정보시스템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교총에 가입한 교사집단이 학습 조직화 시스템요인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지각을 한다고 볼 수 있다. (3) 교사들의 학습조직화 실천과정요인의 인식차이 교원단체별로 실천과정요인의 하위 변인들을 보면 지식창출, 지식공유, 지식저장, 지식활용 변인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지식창출, 지식공유, 지식저장, 지식활용 변인에 대한 사후 검증에서 교총에 가입한 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습조직화 인식도 조사를 한 결과 여러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먼저 초등학교 현장이 학습조직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 시스템, 실천과정의 모든 차원에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도 교사 개인의 인식변화와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연수기회 확대, 새로운 지식 창출을 격려하고 수용하고 공유하며 받아들이려는 문화형성도 필요하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3
3. 연구 문제 ----------------4
4. 연구의 제한점------------5

Ⅱ. 이론적 배경---------------6
1. 학습조직의 개념----------6
2. 학습조직의 측정모형------37
3. 선행연구 분석 -----------39

Ⅲ. 연구 방법-----------------43
1. 조사대상-----------------43
2. 조사도구-----------------44
3. 자료의 분석---------------46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47
1. 교사들의 학습조직화 구성원요인의 인식차이-----47
2. 교사들의 학습조직화 시스템요인의 인식차이-----58
3. 교사들의 학습조직화 실천과정요인의 인식차이---65

Ⅴ. 요약, 결론 및 제언-----------73
1. 요약-----------------------73
2. 결론 및 제언----------------79

참 고 문 헌 ---------------------84
부 록----------------------- 90

표 목 차

<표Ⅱ-1> 학습조직의 정의------- -------------10
<표Ⅱ-2> 전통적 조직과 학습조직의 특성비교---12
<표Ⅱ-3> 학습조직의 특성---------------------18
<표Ⅱ-4> 학습조직의 구성요소-----------------30
<표Ⅲ-1> 응답자별 배경 변인별 분포------------44
<표Ⅲ-2> 본 논문의 학교 학습조직화 정도의 하위변인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계수----------------------------45
<표Ⅳ-1> 학교규모에 따른 구성원요인의 인식차이--47
<표Ⅳ-2> 성별에 따른 구성원요인의 인식차이 ------49
<표Ⅳ-3> 교직경력에 따른 구성원요인의 인식차이---50
<표Ⅳ-4> 교직경력에 따른 구성원요인의 사후 검증 결과- 51
<표Ⅳ-5> 보직유무에 따른 구성원요인의 인식차이------- 54
<표Ⅳ-6> 교원단체 가입유무에 따른 구성원요인의 인식차이 ------55
<표Ⅳ-7> 교원단체 가입유무에 따른 구성원요인의 사후 검증 결과------ 56
<표Ⅳ-8> 학교규모에 따른 시스템요인의 인식차이------- 58
<표Ⅳ-9> 성별에 따른 시스템요인의 인식차이 -----------59
<표Ⅳ-10> 교직경력에 따른 시스템요인의 인식차이------ 60
<표Ⅳ-11> 교직경력에 따른 시스템요인의 사후 검증결과-- 61
<표Ⅳ-12> 보직유무에 따른 시스템요인의 인식차이------ 62
<표Ⅳ-13> 교원단체가입유무에 따른 시스템요인의 인식차이------------- 63
<표Ⅳ-14> 교원단체가입유무에 따른 시스템요인의 사후 검증 결과-------- 64
<표Ⅳ-15> 학교규모에 따른 실천과정요인의 인식차이---- 66
<표Ⅳ-16> 성별에 따른 실천과정요인의 인식차이-------- 67
<표Ⅳ-17> 교직경력에 따른 실천과정요인의 인식차이---- 68
<표Ⅳ-18> 보직유무에 따른 실천과정요인의 인식차이---- 69
<표Ⅳ-19> 교원단체가입 유무에 따른 실천과정요인의 인식차이-------- 70
<표Ⅳ-20> 교원단체가입 유무에 따른 실천과정요인의 사후 검증 결과----71


그 림 목 차

[그림Ⅱ-1] 학습조직의 통합적 프레임웍------ 25
[그림Ⅱ-2] 학습조직의 측정모형------------- 3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