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상담체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주제(키워드) 학교상담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김명식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교상담체제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를 통해 학교 급별에 맞는 학교상담체제를 새롭게 구축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개선책을 제시하여, 행정적․재정적 지원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남부 지역(수원, 용인, 화성, 오산, 이천)의 초․중등학교 20개를 선정하여 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 상담 영역에 대한 관심과 실제 상담 활동 실태, 학교상담 활성화 방안과 학생들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 급별 교사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은 첫째, 상담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모든 교사들이 학교상담 활동을 ‘중요하다’ 이상으로 인식했으며, 특히 고등학교 교사가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더욱 높게 인식했다. 둘째, 중요한 상담영역에 대해 고등학교 교사들은 진로 상담과 학습 상담, 초등학교 교사들은 심리․성격 상담, 초․중학교 교사들은 비행·문제행동 상담이라고 응답했다. 셋째, 전문상담교사의 배치에 대해서는 89% 이상의 교사들이 찬성을 해서 학교 급별 교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넷째, 학교 급별 교사들의 ‘주당 상담 학생 수’는 초등학교 교사들은 1-2명, 중학교 교사들은 3-4명, 고등학교 교사들은 5명 이상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상담 인원이 뚜렷하게 증가했다. 또한 전혀 상담을 못한다고 응답한 교사들도 22.1%에 달해 학교 업무 등으로 학생상담을 원활히 하기 어렵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조사 결과 첫째, ‘상담 활동 저해 요소’로서 ‘수업시수와 업무 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에 대해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교사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 부족’과 ‘상담에 대한 기초 자료나 시설 부족’을 그 다음으로 많이 응답했다. 둘째, ‘바람직한 학교상담의 방향’으로서 ‘상담교사 배치’를 가장 많이 응답했고, ‘담임교사의 상담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그리고 ‘학생과 교사가 결연을 맺어 지속적 상담’ 순으로 응답했다 전체 교사들이 학생의 주요한 심리적 문제라고 응답한 것은 주의집중의 어려움(산만함, 과잉행동, 충동성), 학업 스트레스(성적․입시 중압감), 사회적 미성숙(어린 아이 같은 행동, 자기중심성), 학업 수행의 문제(성적저하 및 부진, 과제물 미수행), 가족 갈등과 불화(부모이혼․별거), 정서불안(잘 울고 샘을 잘 냄․신경질적․고집․성질) 등 6가지이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교사들은 주의집중의 어려움과 사회적 미성숙(어린 아이 같은 행동, 자기중심성) 같은 집단생활에 관련된 기본적 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했으며, 고등학교 교사들은 학업과 진학에 관련된 학업 스트레스(성적․입시 중압감)가 가장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본 연구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중요하게 인식했던 문제들을 거듭 확인하고 인지할 수 있었다. 또한 학교상담 현황이나 학생의 심리적 문제에 있어 학교 급별 교사의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상담체제를 개발하고 정비하는 과정에서 획일적인 학교상담체제보다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는 상담체제를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학교상담 5
2. 미국과 일본, 우리나라의 학교상담체제 15
3. 학교상담자의 자질과 역할 23
3. 선행 연구 개관 29

Ⅲ. 연구 방법 32
1. 연구 대상 32
2. 연구 도구 34
3. 자료 처리 34

Ⅳ. 연구 결과 35
1. 학교상담체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35
2. 학생의 심리 문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48
3. 학교 급별 교사의 학교상담체제 인식 비교 50

Ⅴ. 논의 59
1. 요약 및 논의 59
2. 결론 61

참고 문헌 6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