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근현대 경제 단원 분석

  • 주제(키워드) 근현대 경제 단원 분석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조성을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근·현대 경제 단원 분석 박 경 선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지도교수 조 성 을) (초록)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정보화 개방화 다양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른 교과서 발행 제도의 부분적 전환으로 교과서의 개선에 영향을 미쳐 기존의 고등학교 세계사 외에 7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사회와 한국 근현대사가 검인정 제도로 바뀌어 교과서의 질 개선과 현장의 수업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7차 교육과정에서의 역사교육의 가장 큰 변화는 고등학교 국사를&#985168;국사&#985169;및&#985168;한국근·현대사&#985169;로 분리하고, 교과서 서술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분류사체제로 서술한 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류사 체제는 중·고등학교 국사 교육의 차별화·계열성을 확보함으로써 중복 교육이라는 비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나 교과서 내용의 계열화 방식에 대해 적합성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7차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교과서는 국정이 아닌 6종의 검정 교과서로 개발 보급되었을 뿐 아니라 양적, 질적으로도 6차 교육과정의 『국사』교과서에 비해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국사에서 당대사인 근·현대사만을 떼어 별도의 선택과목으로 설정하였다는 점과 세계사와 관련지어 다루고 있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7차 고등학교『국사』교과서의 경우는 전체 단원뿐 아니라 근현대사 분야의 학습 보조 자료가 6차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고, 정치사 비중이 감소한 반면 경제사와 사회사 분야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본문의 내용의 이해를 돕거나 심화시킬 수 있는 좌우 여백을 이용한 날개 주(註)를 둔 점도 긍정적인 변화라 할 것이다. 7차 교육과정상의 국사 및 근·현대사 교과서의 <경제> 관련 단원 서술 내용을 검토한 결과 교과서 집필자의 역사관에 따라 서술 방식이나 내용이 미세하나마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고, 교과서에 자본주의 맹아론-수탈론을 위주로 한 학계의 연구 성과가 반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미지근대화론 등의 문제제기를 제한적이지만 다양한 역사 해석의 수용 가능성을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아직 한계점도 많고 개선해야 할 부분도 많지만, 7차 교육과정의 국사교과서에서는 종전과 달리 다양한 학습자료가 수록되어 역사가 단순히 암기과목이 아니라 사실을 해석할 수 있는 근거가 제시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Ⅱ. 교과서의 체제 분석 5
1. 7차 교육과정의 국사 교과서의 특징 5
2. 근․현대사 교과서의 특징 6
3. 국사 교과서의 체제 분석 10
1) 대단원의 목차 분석 10
2) 국사교과서의 분야별 비중도 비교 11
3) 국사교과서 학습보조자료 분석 12
4) 근․현대경제 관련 단원의 목차 비교 13
4. 근현대사 교과서의 체제 분석 16
1) 근현대사교과서의 체계 16
2) 근현대사교과서의 분야별 비중도 24
3) 근현대사교과서의 학습 자료 분석 25
Ⅲ. 교과서 내용 분석 27
1. 조선 후기 경제 변동과 관련된 단원 서술 27
2.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 관련 단원 서술 28
3. 식민지 시기의 경제에 대한 서술 30
4. 현대의 경제 성장과 자본주의 발전에 관한 서술 33
1) 광복 후 경제혼란과 전후복구 34
2) 경제성장과 자본주의 발전 39
5. 사회의 변화 43
1) 개항 이후의 사회변화 43
2) 식민지 시기의 사회변화 44
3) 현대사회의 변화 45
Ⅳ. 결 론 49
<참 고 문 헌> 5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