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학교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비교

  • 주제(키워드) 장애아동+통합교육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박미화 교수님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통합교육의 주요 변인인 학교관리자와 일반교사, 특수교사 집단 간 통합교육의 법적 이해, 전반적 인식, 효과, 조건, 운영 등에 대한 수용적인 면과 부정적인 요인을 찾아 비교해 보고 통합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내 초등학교 학교관리자 80명과 일반교사 300명 특수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법적 이해 부분에 대한 학교관리자, 일반교사, 특수교사의 이해는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집단 간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둘째, 통합교육의 전반적 인식에 대해서 학교관리자와 특수교사 사이에 대체로 공감대를 이루고 있으나, 일반교사와는 인식의 차이를 나타낸 항목이 많다. 셋째,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학교관리자, 일반교사, 특수교사의 집단 간 많은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특히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가 많이 난다. 넷째, 통합교육의 조건에 대해서는 각 집단 간 공감대를 많이 형성하고 있다. 특히 통합교육 시행 시 교사, 아동, 학부모의 인식 전환이 가장 시급하다는 것에 각 집단이 대부분 공감하였고, 통합가능 장애정도에 대해서도 비슷한 인식을 지니고 있다. 다섯째, 통합교육의 운영 면에서는 학교관리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가 현저히 나타난다.

more

목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4. 연구의 제한점 5
II. 이론적 배경 7
1. 통합교육의 정의 및 역사 7
2. 통합교육에서의 학교관리자와 교사의 역할 11
3.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16
4. 선행연구 고찰 27
III. 연구 방법 30
1. 연구 대상 30
2. 연구 도구 30
3. 연구 절차 32
4. 자료 처리 33
IV. 연구 결과 34
1. 통합교육에 대한 법적 이해 34
2.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 35
3.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인식 41
4. 통합교육의 조건에 대한 인식 47
5. 통합교육의 운영에 대한 인식 52
6. 논 의 61
V. 결론 및 제언 65
1. 결 론 65
2. 제 언 66
참고문헌 68
부 록 74

more

목차

<표Ⅲ.1> 질문지 구성표 31
<표Ⅲ.2> 연구절차 32
<표Ⅳ.1> 통합교육에 대한 법적 이해 34
<표Ⅳ.2> 통합교육에 적당한 교육장소 35
<표Ⅳ.3>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36
<표Ⅳ.4> 통합교육 인식에 대한 변량분석 37
<표Ⅳ.5> 통합교육이 필요한 이유 38
<표Ⅳ.6> 통합교육에 찬성하는 이유 39
<표Ⅳ.7> 통합교육에 반대하는 이유 40
<표Ⅳ.8> 통합교육이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41
<표Ⅳ.9> 통합교육 시 일반학급에 나타날 수 있는 요인 42
<표Ⅳ.10> 장애아동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 43
<표Ⅳ.11> 장애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44
<표Ⅳ.12> 일반아동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 45
<표Ⅳ.13> 일반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46
<표Ⅳ.14> 통합교육 시행의 해결과제 47
<표Ⅳ.15> 통합교육을 위한 주요 변인 48
<표Ⅳ.16> 특수교육 교과과정 반영 여부 49
<표Ⅳ.17> 장애아동의 통합가능 장애정도 50
<표Ⅳ.18> 통합교육 시행 시의 가장 큰 어려움 51
<표Ⅳ.19> 바람직한 통합교육의 교류방법 52
<표Ⅳ.20> 통합교육에 대한 교내 연수 횟수 53
<표Ⅳ.21> 통합교육 운영의 주안점 54
<표Ⅳ.22> 통합교육 담당 교사 55
<표Ⅳ.23> 통합교육 시기 56
<표Ⅳ.24> 장애아동의 바람직한 통합형태 57
<표Ⅳ.25> 바람직한 통합교육을 위한 고려사항 58
<표Ⅳ.26> 통합교육에 운영에 대한 문제점 59
<표Ⅳ.27> 통합교육 시 교사에 대한 요구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