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역 특성에 따른 주거지 경관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 Attitude Survey about Urban Housing Landscape by characteristic of the district

초록/요약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에 따라 도시로의 대규모 인구집중과 시가지의 외연적 팽창을 겪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시는 시설의 집적과 인구의 밀집이라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중시하는 개발위주의 도시정책이 시행되었다. 그 결과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도시의 경관 또한 지역고유의 여건이 무시된 채 형성되어 정체성을 잃은 획일화된 도시의 이미지를 띠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각성으로 정부와 각 도시들은 양적인 도시발전의 추구보다는 도시의 질적 향상에 중점을 두고 도시에서 행해지는 계획 및 개발들을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경관이 도시의 이미지를 관리함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였다. 즉, 지역특성이 강조된 쾌적한 경관형성을 통하여 도시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질적 향상 및 도시재생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는 경관이 주거에서 거주자에게 어떻게 인지되고 있으며, 환경적 측면으로서 주거의 경관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주거지 경관계획요소에 대한 영향정도 및 물리적 지역특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연구는 먼저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분석, 경관관련 법․제도상의 계획요소들을 고찰하여 주거지에 대한 경관저해요인 및 물리적 경관계획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조사대상지에 대한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경관형성요인 및 지역적 경관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앞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주거지경관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를 통해 주거지 경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거지 경관평가에 대한 결과분석을 통해 지역별 주거지특성과 중요 경관저해요인, 물리적 지역특성과 경관계획요소와의 상관성 등을 살펴보았다. I. 주거지의 경관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도시차원에서는 주거지 주위의 도시, 자연, 역사․문화 경관에 대한 고려를 통해 서로 간에 조화를 이루는 경관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어지고 있으므로, 주거지 계획 시 주변현황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경관 상의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할 것이다. ② 지구차원에서는 주거지에 녹지 및 공원 등의 확충을 통해 풍요로운 외부공간을 조성하고, 주택 외부를 점령하고 있는 주차문제에 대한 해결을 통해, 좀 더 환경친화적이며 여유로운 외부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쾌적한 주거지경관을 형성해나가야 한다. ③ 건축차원에서는 지구차원에서와 같은 맥락으로 삭막한 주택 외부공간을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하였으며, 또한 공동주택의 획일적인 형태 및 외관, 공업 및 상업과의 용도혼재로 인한 경관상의 부조화를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지적하였다. 따라서 건축차원의 경관향상을 위해서는 단지계획 시 외부공간에 대한 충분한 고려와 함께 건축물 계획 시 형태 및 외관에 대한 다양하고 개성적인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④ 앞에서 지적된 ‘상업 및 공업 용도와의 혼재’로 인한 경관저해요인을 좀 더 세부적으로 파악한 결과, 주거환경의 질을 저하시키는 점이 압도적인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앞서, 주거의 기본적인 요소인 소음, 공해, 진동 등 환경적인 차원의 문제로서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다음 순으로 나타난 여가공간과 주차공간의 부족 또한 미관향상의 측면보다는 도시기반시설로서 확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I. 주거지 경관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있어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도시차원에 있어 자연경관과의 조화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인천시의 경우 해안과 산지를 비롯하여 구릉지 등 자연자원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보존 및 활용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도시차원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사항은 역사․문화경관과의 조화로, 역사․문화시설 주변에 들어서고 있는 주택들이 턱없이 높게 세워지거나, 형태 및 외관 상 일반 주택들과 별 차이 없이 세워지고 있어, 도시경관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 대한 시 차원의 규제를 통한 관리나 경관계획상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양호한 경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② 지구차원에 있어 주차공간 및 주차시설 및 외부 공용공간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만족도에 있어서는 주차공간 및 주차시설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세대 당 차량보유대수 증가에 따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차량을 소유한 개별주택들은 주택 내 주차공간 설치를 의무화하고, 주거단지에는 지하주차장을 설치하도록 하며, 시나 구 차원에서 도심부에 공용주차타워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주차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③ 건축차원에 있어 대지내 공지 및 조경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반면 이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앞서 분석결과에서도 언급했듯이 환경의 질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짐에 따라, 주택 외부환경이 아름답고 쾌적하게 조성되기를 바라는 시민들의 의사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지구차원에서의 주차문제에 대한 해결을 통해 주택 외부의 지상공간을 확보하여 녹지면적을 늘리고, 소규모 공원화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풍요로운 주거지 외부환경을 조성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국문초록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제2장 경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
2.1 경관의 기본적 이해 ∙∙∙∙∙∙∙∙∙∙∙∙∙∙∙∙∙∙∙∙∙∙∙∙∙∙∙∙∙∙∙∙∙∙∙∙∙∙∙∙∙∙∙∙∙∙∙∙∙∙∙∙∙∙∙∙∙ 6
2.1.1 경관의 개념적 정의 ∙∙∙∙∙∙∙∙∙∙∙∙∙∙∙∙∙∙∙∙∙∙∙∙∙∙∙∙∙∙∙∙∙∙∙∙∙∙∙∙∙∙∙∙∙∙∙∙∙∙∙ 6
2.1.2 경관의 유형분류 ∙∙∙∙∙∙∙∙∙∙∙∙∙∙∙∙∙∙∙∙∙∙∙∙∙∙∙∙∙∙∙∙∙∙∙∙∙∙∙∙∙∙∙∙∙∙∙∙∙∙∙∙∙∙∙∙ 8
2.1.3 경관의 구성요소 ∙∙∙∙∙∙∙∙∙∙∙∙∙∙∙∙∙∙∙∙∙∙∙∙∙∙∙∙∙∙∙∙∙∙∙∙∙∙∙∙∙∙∙∙∙∙∙∙∙∙∙∙∙∙∙ 11
2.1.4 도시경관 ∙∙∙∙∙∙∙∙∙∙∙∙∙∙∙∙∙∙∙∙∙∙∙∙∙∙∙∙∙∙∙∙∙∙∙∙∙∙∙∙∙∙∙∙∙∙∙∙∙∙∙∙∙∙∙∙∙∙∙∙∙∙∙∙∙∙∙ 14
2.2 경관분석 및 평가 ∙∙∙∙∙∙∙∙∙∙∙∙∙∙∙∙∙∙∙∙∙∙∙∙∙∙∙∙∙∙∙∙∙∙∙∙∙∙∙∙∙∙∙∙∙∙∙∙∙∙∙∙∙∙∙∙∙∙∙∙ 16
2.2.1 경관분석의 방법 및 유형 ∙∙∙∙∙∙∙∙∙∙∙∙∙∙∙∙∙∙∙∙∙∙∙∙∙∙∙∙∙∙∙∙∙∙∙∙∙∙∙∙∙ 16
2.2.2 경관평가의 정의 및 방법 ∙∙∙∙∙∙∙∙∙∙∙∙∙∙∙∙∙∙∙∙∙∙∙∙∙∙∙∙∙∙∙∙∙∙∙∙∙∙∙∙∙ 20
2.2.3 경관분석 및 평가를 위한 조사방법 ∙∙∙∙∙∙∙∙∙∙∙∙∙∙∙∙∙∙∙∙∙∙∙∙ 23
2.3 소결 ∙∙∙∙∙∙∙∙∙∙∙∙∙∙∙∙∙∙∙∙∙∙∙∙∙∙∙∙∙∙∙∙∙∙∙∙∙∙∙∙∙∙∙∙∙∙∙∙∙∙∙∙∙∙∙∙∙∙∙∙∙∙∙∙∙∙∙∙∙∙∙∙∙∙∙∙∙∙∙∙∙∙∙ 25

제3장 주거지 경관계획요소 설정
3.1 경관관련 법․제도 및 계획상의 경관계획요소 ∙∙∙∙∙∙∙∙∙∙∙∙∙ 26
3.1.1 경관관련 법․제도상의 경관계획요소 ∙∙∙∙∙∙∙∙∙∙∙∙∙∙∙∙∙∙∙∙∙∙ 26
3.1.2 경관관련 조례상의 경관계획요소 ∙∙∙∙∙∙∙∙∙∙∙∙∙∙∙∙∙∙∙∙∙∙∙∙∙ 27
3.2 지구단위계획상의 경관계획요소 ∙∙∙∙∙∙∙∙∙∙∙∙∙∙∙∙∙∙∙∙∙∙∙∙∙∙∙∙∙∙∙∙ 29
3.2.1 지구단위계획상의 계획요소 ∙∙∙∙∙∙∙∙∙∙∙∙∙∙∙∙∙∙∙∙∙∙∙∙∙∙∙∙∙∙∙∙∙∙ 29
3.2.2 지구단위계획상의 경관계획요소 ∙∙∙∙∙∙∙∙∙∙∙∙∙∙∙∙∙∙∙∙∙∙∙∙∙∙∙ 30
3.3 주거지경관 관련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경관계획요소 33
3.4 주거지 경관계획요소 설정 ∙∙∙∙∙∙∙∙∙∙∙∙∙∙∙∙∙∙∙∙∙∙∙∙∙∙∙∙∙∙∙∙∙∙∙∙∙∙∙∙∙∙∙∙ 36
3.4.1 주거지 경관저해요인 ∙∙∙∙∙∙∙∙∙∙∙∙∙∙∙∙∙∙∙∙∙∙∙∙∙∙∙∙∙∙∙∙∙∙∙∙∙∙∙∙∙∙∙∙∙∙∙ 36
3.4.2 주거지 경관계획요소 설정 ∙∙∙∙∙∙∙∙∙∙∙∙∙∙∙∙∙∙∙∙∙∙∙∙∙∙∙∙∙∙∙∙∙∙∙∙∙∙ 40

제4장 대상지 현황조사 및 분석
4.1 대상지 선정 근거 ∙∙∙∙∙∙∙∙∙∙∙∙∙∙∙∙∙∙∙∙∙∙∙∙∙∙∙∙∙∙∙∙∙∙∙∙∙∙∙∙∙∙∙∙∙∙∙∙∙∙∙∙∙∙∙∙∙∙∙∙ 42
4.2 기초현황 분석 ∙∙∙∙∙∙∙∙∙∙∙∙∙∙∙∙∙∙∙∙∙∙∙∙∙∙∙∙∙∙∙∙∙∙∙∙∙∙∙∙∙∙∙∙∙∙∙∙∙∙∙∙∙∙∙∙∙∙∙∙∙∙∙∙∙ 43
4.2.1 자연현황 ∙∙∙∙∙∙∙∙∙∙∙∙∙∙∙∙∙∙∙∙∙∙∙∙∙∙∙∙∙∙∙∙∙∙∙∙∙∙∙∙∙∙∙∙∙∙∙∙∙∙∙∙∙∙∙∙∙∙∙∙∙∙∙∙∙∙∙∙ 43
4.2.2 인문현황 ∙∙∙∙∙∙∙∙∙∙∙∙∙∙∙∙∙∙∙∙∙∙∙∙∙∙∙∙∙∙∙∙∙∙∙∙∙∙∙∙∙∙∙∙∙∙∙∙∙∙∙∙∙∙∙∙∙∙∙∙∙∙∙∙∙∙∙∙ 44
4.3 구별 경관특성 분석 ∙∙∙∙∙∙∙∙∙∙∙∙∙∙∙∙∙∙∙∙∙∙∙∙∙∙∙∙∙∙∙∙∙∙∙∙∙∙∙∙∙∙∙∙∙∙∙∙∙∙∙∙∙∙∙ 47
4.4 주거지 현황 및 경관특성 분석 ∙∙∙∙∙∙∙∙∙∙∙∙∙∙∙∙∙∙∙∙∙∙∙∙∙∙∙∙∙∙∙∙∙∙∙∙ 52
4.4.1 용도지역 현황 ∙∙∙∙∙∙∙∙∙∙∙∙∙∙∙∙∙∙∙∙∙∙∙∙∙∙∙∙∙∙∙∙∙∙∙∙∙∙∙∙∙∙∙∙∙∙∙∙∙∙∙∙∙∙∙∙∙∙ 52
4.4.2 주거지 관련 사업현황 ∙∙∙∙∙∙∙∙∙∙∙∙∙∙∙∙∙∙∙∙∙∙∙∙∙∙∙∙∙∙∙∙∙∙∙∙∙∙∙∙∙∙∙∙∙ 53
4.4.3 주거유형별 현황 분석 ∙∙∙∙∙∙∙∙∙∙∙∙∙∙∙∙∙∙∙∙∙∙∙∙∙∙∙∙∙∙∙∙∙∙∙∙∙∙∙∙∙∙∙∙∙ 55

제5장 주거지 경관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 분석
5.1 조사분석의 틀 ∙∙∙∙∙∙∙∙∙∙∙∙∙∙∙∙∙∙∙∙∙∙∙∙∙∙∙∙∙∙∙∙∙∙∙∙∙∙∙∙∙∙∙∙∙∙∙∙∙∙∙∙∙∙∙∙∙∙∙∙∙∙∙∙ 59
5.1.1 조사대상 ∙∙∙∙∙∙∙∙∙∙∙∙∙∙∙∙∙∙∙∙∙∙∙∙∙∙∙∙∙∙∙∙∙∙∙∙∙∙∙∙∙∙∙∙∙∙∙∙∙∙∙∙∙∙∙∙∙∙∙∙∙∙∙∙∙∙∙ 59
5.1.2 조사시기 및 방법 ∙∙∙∙∙∙∙∙∙∙∙∙∙∙∙∙∙∙∙∙∙∙∙∙∙∙∙∙∙∙∙∙∙∙∙∙∙∙∙∙∙∙∙∙∙∙∙∙∙∙∙∙ 59
5.1.3 조사내용 ∙∙∙∙∙∙∙∙∙∙∙∙∙∙∙∙∙∙∙∙∙∙∙∙∙∙∙∙∙∙∙∙∙∙∙∙∙∙∙∙∙∙∙∙∙∙∙∙∙∙∙∙∙∙∙∙∙∙∙∙∙∙∙∙∙∙∙ 60
5.1.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62
5.2 조사분석 결과 ∙∙∙∙∙∙∙∙∙∙∙∙∙∙∙∙∙∙∙∙∙∙∙∙∙∙∙∙∙∙∙∙∙∙∙∙∙∙∙∙∙∙∙∙∙∙∙∙∙∙∙∙∙∙∙∙∙∙∙∙∙∙∙∙ 63
5.2.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63
5.2.2 주거유형 및 입지여건에 대한 분석 ∙∙∙∙∙∙∙∙∙∙∙∙∙∙∙∙∙∙∙∙∙∙ 67
5.2.3 주거지 경관저해요인에 대한 분석 ∙∙∙∙∙∙∙∙∙∙∙∙∙∙∙∙∙∙∙∙∙∙∙ 73
5.2.4 주거지 경관계획요소별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 77
1) 주거지경관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 77
2) 주거지 경관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78
3) 구별 주거지 경관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 분석 ∙∙∙∙∙ 81

제6장 결론 및 제언 ∙∙∙∙∙∙∙∙∙∙∙∙∙∙∙∙∙∙∙∙∙∙∙∙∙∙∙∙∙∙∙∙∙∙∙∙∙∙∙∙∙∙∙∙∙∙∙∙∙∙∙∙∙∙∙∙∙∙∙∙∙∙∙∙∙∙∙∙∙∙ 87

참고문헌 ... 90
Abstract ... 92
부 록 (거주자 의식조사 설문지) ... 9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