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형 애견 전문점 개념의 개발

Teh Development of The Concept for The Pet Specialty Store in Korea

  • 주제(키워드) 애완산업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조재운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애견인 들의 다양해진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애견 전문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내 애견인의 다양한 욕구와 개성 특성을 파악하여 시장 세분화 전략과 소매 마케팅믹스 전략에 의해 한국형 애견 전문점 개념을 제시 하였다 이 연구 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증 연구에 의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여성이 중심이고, 연령층은 20대, 40대, 결혼여부 미혼 의 비율이 60%정도 이며, 이들은 제품 구매 시 가격보다는 품질, 기능, 서비스 상품에서 시간 절약 등의 편리성을 중시하고, 많은 정보를 접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요인분석을 통해 애견인의 유형을 자유 분방 유형, 활동적인 스포츠 유형, 알뜰 검소 유형, 그리고 사교적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표적고객을 애견을 소유한 자유 분방하고 사교적인 20~40대 미혼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애견을 통해 즐거워하고, 자신의 애견을 가족이나 친구처럼 여기는 욕구가 강한 특성의 소유자들이므로, 점포 차별화 방법은 이미지를 강조하는 방법과 라이프스타일을 강조하는 방법을 혼합한 방법과 제품(상점) 부류에 의한 위상 정립 방법을 선택했다. 슬로건은 “즐거움을 함께 만들어요” 라고 정하고, 즐거움과 친밀감을 이미지 컨셉으로 한다. 이를 구체화 하기 위해 제품은 high quality, 우선하고 저가상품보다는 고가 상품에 비중을 높게하고, Promotion은 동호회 등을 통해 고객 결속을 강화하여 이벤트를 활성화해서 고객 욕구를 충족시키고, Web Site를 통해 지속적인 고객과 community 활동을 한다. 이것을 통해 문화를 형성한다. 가격은 브랜드 자산을 창출해서 PB 상품으로 경쟁력 우위를 유지하고, 국내 제조업체와 해외 브랜드 업체와 직접 거래를 통해 유통 단계를 정리하여 고객에게 좀 더 싼 가격을 제공한다. Place(위치)는 주차가 편리하고, 시간 절약을 할 수 있는 곳을 선정한다. 는 마케팅 믹스 전략을 제언하였다.

more

목차

목 차

국문요약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1
제 2 절 연구 수행 방법 2
1. 연구의 범위 2
2. 연구의 방법과 구성 2

제 2 장 애견산업의 현황과 전망 4
제 1 절 시장 규모 및 현황 4
1. 국내 시장 현황 4
2. 해외 시장 현황 7
3. 기타 8
제 2 절 상품 및 서비스의 구분 9
제 3 절 애견산업 관련 소매점의 유형 11
1. 소매업의 유형 11
2. 소매업 유형의 특징 12

제 3 장 애견시장 시장세분화에 관한 문헌연구 16
제 1 절 시장 세분화 16
제 2 절 선행 연구 고찰 17


제 4 장 실증 분석 21
제 1 절 조사 개요 및 표본의 구성 21
제 2 절 조사결과 22
제 3 절 라이프스타일에 의한 애견인 유형 40

제 5 장 애견 전문점 개념과 마케팅 제언 46
제 1 절 점포 개념 48
제 2 절 타켓팅 48
제 3 절 포지셔닝 49
제 4 절 마케팅전략 51

제 6 장 결론 54
제 1 절 연구 결과 요약 54
제 2 절 연구의 한계 55

참고문헌 57

Abstract 59

설문지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