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동주택 주부의 중요일상행위와 행위발생장소의 특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Housewives' Important Behavior and Traits of Place in Neighborhood Daily Lives

  • 주제(키워드) important behavior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민병호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주부의 일상적 주거행위의 양상을 파악하고, 일상적 주거행위체계 안에서 조사 대상자들이 스스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중요행위의 양상을 밝혀내는데 있다. 더 나아가 중요 일상행위가 발생하는 단지 / 도시의 공간과 시설, 그 위치를 파악하여 중요행위 혹은 중요한 주거요구부분을 위해 주거단지 / 도시설계의 실무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총 세 가지의 방법으로 중요행위 측정도구(BIM, Behavior Importance Measure)를 작성하였다. 첫째, 주거지에서의 삶의 모습이 담긴 사진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둘째, 관련 실증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셋째, 전문가 집단의 토론을 통하여 총 67개의 중요행위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 목록을 7인의 연구원간 집단 토론을 통하여, 외부행위에 집중하고, 행위의 명확한 목적이나 의도 또는 목표를 포함하며, 그 행위가 일상주거행위를 구성하는 요소로서의 일반성과 대표성이 있게끔 통합하여 총 31가지의 중요행위목록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조사 대상지는 수도권 남부에 위치하고, 대한주택공사가 발주한 공동주택단지 중에서 무작위로 10개 단지를 선정하였으나, 그 중 2개 단지는 연구협조를 승낙하지 않아 총 8개 단지가 추출되었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5년 9월부터 11월에 걸쳐 총 3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설문과 면담을 병행하였고 부녀회장을 중심으로 스노우볼(snowball)방식으로 진행되었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주거지 외부공간을 이용하는 주부에게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총 86명의 주부들에게 설문과 면담을 수행하였다. 조사된 중요행위들은 행위에 대한 주부의 역할, 행위의 성격(일상 / 이벤트, 정규적 / 비정규적), 행위의 목적에 따라 분석되었다. 주부들은 일상생활을 중요함의 정도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었다. 자녀 / 교육, 안전, 일상운동 및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행위들이 매우 중요한 행위들의 그룹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수도권 남부 지역에 거주하는 주부의 경우, 10개의 변인들 중 막내자녀의 연령에 따라 아이들의 외부공간 놀이에만 그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중요행위’라는 개념이 계층화 할 수 있으며 그 계층화는 보편성을 갖는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중요한 일상주거행위들을 수행하는 장소들은 총 1,038개의 장소가 도출되었으며, 단지 내에 있는 장소가 총 701개(67.5%)로 가장 지배적으로 언급되었다. 이는 단지내의 외부공간 및 시설이 주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행위를 수행하는 핵심장소임을 보여준다. 또한 중요행위들의 수행장소는 각각의 행위 목적에 따라 일정한 물리적 거리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1Km 미만의 거리 내에서는 일상운동 및 건강관리 / 산책 및 휴식, 자녀 및 교육, 동네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행위들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 목적에 상응하는 휴식 및 외부운동을 위한 외부공간 및 시설, 헬스, 댄스 등의 운동시설, 놀이시설, 교육시설, 복리 및 관리시설, 그리고 단지전체 및 인접지역이라는 기능적 시설이 중요행위를 수행하는 장소로 나타났다. 이것과 함께 주부들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행위들의 그룹은 도시계획 및 단지계획 시에 무엇을 중점적으로 계획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현재, 단지계획 및 도시계획의 이슈는 지속가능성 또는 환경친화로 요약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슈에 대한 고려는 꼭 필요한 것이지만 단지 및 도시계획 실무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항상 최우선권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거주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상적인 주거행위를 장애 없이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그것에 대해 큰 만족을 느끼며 살아가는 것이 사회적으로 더욱 지속가능한 일이며, 물리적으로 지속가능할 수 있는 공학적인 해결책들이 중요행위를 수행해 나가는 메커니즘 안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즉, 지속가능할 수 있는 공학적인 해결책들 속에서 우리 인간이 적응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일상생활 내에서 이러한 해결책들이 어떠한 윤활유 같은 역할을 해나갈 수 있는 것인가가 사회적, 물리적인 지속가능성을 추구함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과업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본 연구의 결과, 중요행위라는 개념과 그 행위를 수행하는 장소들의 위치적 속성을 파악한 결과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이론적 고찰 5
1.2.1. 행위의 분석단위 5
1.2.2. 중요행위의 이론적 정의 8
1.2.3. 국내 연구 동향 12
제 2 장 연구방법 16
2.1. 측정도구 16
2.1.1 측정도구의 개발 16
2.1.2. 측정도구의 완성 25
2.2. 연구의 진행 절차와 측정방법 26
2.3. 조사대상지 30
2.3.1. 조사대상지 선정기준 32
2.3.2. 조사대상지 개요 33
제 3 장 연구결과 46
3.1. 조사대상 거주자의 특성 46
3.1.1.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46
3.1.2. 조사대상자의 여유시간의 활용 48
3.1.3. 조사대상자의 중요한 사회적 역할 52
3.2. 중요행위에 대한 중요도 분석 53
3.2.1. 행위 분석을 위한 분석틀 53
3.2.2. 중요도 분석 55
3.2.3.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58
3.3. 중요행위에 대한 행위빈도 분석 60
3.3.1. 행위빈도 분석 60
3.3.2.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61
3.4 중요행위 성격별 중요도 및 빈도 분석 63
3.5. 중요행위 장소 분석 67
제 4 장 결 론 76
제 5 장 토 론 80
참 고 문 헌 81
ABSTRACT 87
부 록 91
부록 1. 사진수집을 통한 중요행위 목록 92
부록 2. 문헌조사를 통한 중요행위목록 96
부록 3. 전문가 집단에 의한 중요행위 목록 99
부록 4. 중요행위 1차 통합목록 101
부록 5. 거주자 설문지 10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