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農産物 추적성관리 運營에 關한 定立 方案 硏究

A case study on the fresh produce traceability system in food chain

  • 주제(키워드) 추적성관리시스템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강민철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영대학원 경영대학원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국 문 요 약 21세기에 접어 들면서, 농산물을 포함한 식품산업은 단지 생산과 유통의 효율성만을 강조한다고 해서 할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지난 10동안, 식품오염 등으로 기인하여 시장은 시장대로, 정부는 식품에 규제가 지속되어 오면서 농산물 유통업자와 가공업자들은 시장에서 보다 안전한 농산물과 식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만족을 위해 품질을 향상 시키는데 노력해 왔다. 특히, 중간에서 유통을 맞는 도매업자나 생산업자들은 농장으로부터 구매할 시 보다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들을 해 왔으며, 소매업자(삼성테스코, 까르푸 등)들은 소비자의 신뢰를 보다 확고히 하기 위해 안전성과 관련한 다양한 가이드라인을 적용해 오고 있다. 농장에서 소비자에게 농산물이 전달되기까지는 품질관리와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는 유통전반에 걸쳐 안전성관리가 요구되어져야 하며 이미 많은 생산업자들이 품질관리를 위해 많은 노력과 개선이 있어 왔지만 추적성에 대한 요구는 어쩔 수 없이 적용되어야 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추적성관리 시스템과 시스템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로토콜은 농산물을 안전성을 보증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며 대표적으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HACCP과 ISO 9000이 있으며 국내에는 농산물 품질관리원에서 관리하는 친환경 인증이 있고 정부든, 시장이든간에 이러한 기준이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고 관리하는데 중요한 기준이며 추적성관리 시스템이 농산물과 식품시장에 적용이 될 경우 다음과 같은 잇점과 목적이 있다.  추적성을 적용한 식품과 농산물은 문제가 생길 경우 신속히 회수 할 수 있으며 문제점을 빠르게 추적할 수 있고, 수 많은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다.  추적성을 적용한 회사는 자사제품에 대한 확실한 신뢰를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 추적성관리의 다양한 내용의 정보는 물류흐름에 있어서 기업간/소비자/정부의 감시자/ 그리고 그 제품을 만드는 회사와 그들의 브랜드의 가치를 보호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유통시장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사항들을 살펴 보았으며 소비자가 인증농산물과 동시에 추적성이 가능한 식품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일본과 다국적 농업기업인 “Dole”회사의 적용사례등을 살펴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가지를 제안한다.  한국의 농산물 유통시장에서 보다 안전한 농산물과 품질관리를 위하고 보증하기 위해서는 추적성관리 시스템이 도입되는데 그 내용과 기준으로는 안전성 기준의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즉 안전성 기준을 근거로 한 추적성관리 시스템 기술이 요구되는 것이다.  정부의 관련기관은 추적될 내용에 대해 안전성관리 기준의 근거에 따라 감시기능이 철저하지 않는다면, 시장에 적용이 쉽지 않을 것이다.  특히, 추적성관리 시스템 도입은 농장에서 생산라인까지의 관리가 중요하고 집중되어야 할 단계이다.

more

목차

목 차


I. 서 론…………………………………………………………………………..1
1. 연구의 목적…………………………………………………………………1
2. 연구의 방법과 구성……………………………………………………….3

II. 추적성관리 (Traceability) 개념과 운영체계………………………………4
1. 농산물 추적성관리의 개념……………………………………………….4
2. 농산물 추적성관리 시스템의 단계별구성 및 운영체계……………..6
가. 추적성관리 시스템의 기준………………………………………….8
나. 생산단계……………………………………………………………….9
다. 선별, 포장 및 저장단계…………………………………………….10
라. 유통단계……………………………………………………………….11
마. 판매단계……………………………………………………………….12

III. 추적성관리 (Traceability) 도입의 필요성………………………………...13
1. 식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 증대……………………………..13
2. 농산물 무역과 관련하여 국내 농산물의 보호 대응…………………15
3. 농업의 지속성 확보와 농촌경제의 활성화……………………………16

IV. 해외의 추적성관리 시스템의 적용사례…………………………………….18
1. 일본의 도입현황과 사례…………………………………………………18
가. 도입배경……………………………………………………………….18
나. 정부의 정책적 역할………………………………………………….18
다. 사례1(야채)-청과물 EDI 협의회…………………………………..19
라. 일본사례의 분석………………………………………………………21

2. 프랑스의 도입현황과 사례……………………………………………….22
가. 도입현황……………………………………………………………… .22
나. 쇠고기 이력정보체계의 구조………………………………………..22
다. 프랑스의 쇠고기 추적성 관리체계에 대한 분석………………….23

3. “Dole fruit company” 사례………………………………………………24
가. “Dole”의 농산물 운영사례…………………………………………..24
나. “Dole”의 사례 분석…………………………………………………..26

4. “FXA SI company” 사례.…………………………………………………27
5. 해외사례의 요약……...…………………………………………………….30

V. 국내의 추적성관리 시스템 도입현황..………………………………………..32
1. 국내의 적용사례………………….…………………………………………32
2. 추적성관리 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문제점….…………………………..35

VI. 추적성관리 시스템 도입의 주요 조건 및 과제……………………………..37
1. 추적성관리 시스템 도입의 조건………………………………………….37
2. EAN/UCC standard 적용…………………………………………………40
3. 기록관리 시스템과 인증제도……………………………………………..44
4. Audit & Inspection-안전성 체크 검사…………………………………45

VII. 결 론…………………………………………………………………………46

참고문헌…………………………………………………………………………….…48

Abstract………………………………………………………………………………5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