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첨단 벤처기업의 육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부여방안

Proposal on the Role of Local Autonomy for Nurturing High-tech Venture Business and Strengthening Its Competitiveness

초록/요약

첨단 벤처기업의 육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부여방안 - 경기도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김정민) 우리나라의 국제경쟁력은 전반적으로 중진국에서 선진국의 진입을 위한 바로 앞에 있으며 앞으로 안정적인 선진국 진입을 위해서는 차별적 우위를 위한 혁신이 필수적이다. 기업들은 표준화된 제품의 대량생산에 의한 저가 시장공략에서 탈피하여 경쟁시장에서 차별화된 상품으로 고객에 접근할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어떠한 방향의 혁신적 노력이 필요한지도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산업 인프라(기반)조성 정책을 설명하고 미래산업 발전전략을 찾아보았다. 연구 인프라를 분석결과 경기도의 산업환경은 첨단산업의 육성을 위한 다양한 인적자원과 연구기반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교테크노 R&D 단지와 판교 IT 단지가 조성되면 경기도의 기술발전 속도는 가속이 붙을 것이다. 이러한 기반위에서 차세대 성장동력산업과 부품소재 산업육성은 중소기업의 새로운 상품과 시장을 창출할 것이다. 시장개척을 위해 국제 통상환경 분석과 시장 조사가 있어야 하며, 해외시장에서 한국상품에 대한 평가와 같은 시장세분화 전략도 필요하다. 한국상품 선호도를 조사해 보니 성별로는 남성, 연령별로는 20대~40대, 소득에서는 고소득층, 학력에서는 고학력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호도 조사는 상품별 세부 조사가 필요하다. 중소기업 경쟁력 수준과 경영애로 설문조사 결과 중소기업은 판매부진 및 매출감소에 따른 자금압박(29.9%), 경기침체에 따른 내수부진(39.3%), 해외시장정보 부족(20.7%), 전문인력 수급불균형(22.1%), 기술개발 자금 부족(23.2%), 공장신설 규제(25.1%), 원가상승(39.8)등 7개 분야별로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첨단기업 육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자금의 확대를 통한 경기회복, 경기활성화 시책 개발, 해외시장 정보제공, 전문인력 양성, 기술 개발자금 지원, 원가상승시 지원대책과 같은 정책들이 필요하다. 경기도 IT 산업 SWOT 분석에서 정보통신업의 경기지역 이전현상과 신기술의 시험대로서 수도권의 위상강화가 기회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경기도는 8개 권역의 지식기반 산업 클러스터를 기초로, 정보통신(IT), 생명산업(BT), 문화컨텐츠(CT), 국제 물류업을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을 육성해야 할 것이다. 부품소재산업 육성을 위해 소재기업과 중핵기업의 원천기술 확보, 글로벌 중핵기업 육성, ‘부품소재 통합연구단’의 결성등을 향후 준비해야 한다. 전략적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10대 전략 부품소재 투자, 무역 확대 품목 융자지원, 경쟁력 확보를 위한 맞춤형 ‘부품소재 해외 Road Show’ 개최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개발된 부품소재 사업화 전략으로 ’차세대 부품소재 육성 자금‘과 ’부품소재 투자조합‘을 결성하여 사업화를 지원하며, 사업화에 성공한 기업에는 마케팅과 신뢰성 인증을 글로벌 시장진출 전략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 수출활성화 시책으로 ’1시군 1품목‘ 수출특화 전략을 통해 경기도내 31개 시군과 경기도(지방자치단체)가 첨단 품목을 중심으로 합동 순회 판매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신제품 및 디자인은 앞으로 정책의 비중을 높여야 할 분야로 중소기업센터에 있는 디자인 스튜디오의 활성화와 디자인 전담 팀의 구축으로 전문성을 높이는 시책이 필요하다.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 경기도(지방자치단체)는 많은 규제를 개선하고, 또 분야별로 세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비록 충분한 결론을 내지 못했지만 다른 연구자가 계속하여 분야별로 경기도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지속하기를 바라며, 지방정부의 지속적인 기업지원에 대한 지원을 염원한다.

more

목차

< 목 차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2
1. 벤처기업 및 경기도 지식산업기반 현황 2
2. 경기도 연구개발지원제도 3
3. 경기도 전략산업 추진방향 3
4. 주요국의 통상정책, 한국상품 해외지각 선호도 3
5. 경기도 중소기업 현장애로 실태분석 4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범위

제1절 중소수출기업의 해외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5
제2절 중소기업의 수출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5
제3절 국가마케팅과 한국의 21세기 국가발전전략 6
제4절 벤처기업의 국제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6
제5절 지역혁신역량을 통한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7
제6절 한국 중소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7
제3장 경기도의 산업현황 및 미래산업 발전전략

제1절 벤처기업 및 지식기반산업 기본현황 8
1. 벤처기업 현황 8
2. 지식기반산업의 현황 8
3. 지식기반제조업의 현황 10
가. 기술 상용화 지원사업투자 현황 11
나. 연구개발 지원사업 투자 규모 11
다. 연구개발 인력 12
라. 지적재산권 현황 12
4. 경기도의 연구개발지원제도 13
5. 경기도내 기업유관기관 지원서비스 현황 14
6. 경기도내 창업보육 실태 15

제2절 경기도 미래산업 발전전략 현황 17
1. 경기도 전략산업 선정현황 17
2. 경기도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 18
3. 부품소재산업 육성전략 23

제3절 통상환경 및 경기도 수출정책 25
1. 폴란드 IT현황 25
2. 각국의 통상정책수단 28
가. 미국의 통상정책수단 28
나. 중국의 통상정책수단 31
3. 경기도의 수출지원시책 33
4. 해외시장에서 한국상품 평가 34
가. 각 국가별 품질지각 선호도 34
나. 성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선호도 35
다. 연령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선호도 36
라. 소득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및 선호도 37
마. 학력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및 선호도 38
바. 직업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선호도 39

제4장 실증분석결과

제1절 경기지역 벤처기업 여건분석 40

제2절 지역전략산업 육성전략 41
1. 모바일 산업 육성.발전 전략 41
2. 나노소재 산업 육성 발전전략 41
3. 디지털 멀티미디어 산업 육성 발전전략 41
4. 바이오 의약산업 발전전략 42
5. 에코산업 발전전략 42

제3절 경기지역 첨단기술지원기관 역량분석 43
1. 지역별 대학 기술혁신센터 43
2. 기업지원유관기관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 44

제4절 경기IT산업 발전여건(SWOT분석) 47

제5절 중소기업 현장애로 실태파악 설문조사 결과분석 48
1. 경쟁력 수준 48
2. 중소기업 경영애로 요인분석 48

제5장 결 론

제1절 경기도 첨단전략산업 육성방안 53

제2절 부품소재산업 발전전략 55
1. 핵심부품 소재의 공급 기지화 달성 55
2. 전략적 핵심기술의 확보 56
3. 개발된 부품소재의 사업화 추진 57
4. 부품소재 기업의 수출 기업화 지원 57
5. 각 산업단지 및 지역 특화산업 57

제3절 해외시장조사 및 시장 세분화 전략 58
1. 해외시장 조사 58
2. 해외시장 기회분석 60
가. 시장규모 평가 60
나. 기업판매 잠재력 평가 61
3. 수출시장 세분화 62
가. 세계시장의 그룹화 62
나. 국별시장의 세분화 64
다. 시장세분화 전략 65
라. 니치마케팅 전략 65
4. 해외시장 진출전략 67

제4절 수출활성화 시책 67
1. ‘1시군 1첨단 품목’ 수출 특화전략 67
2. 신제품 및 디자인 개발정책 68
3. 품질관리 정책 70
4. 글로벌 표준화전략의 실행 70

제5절 제품 포지셔닝 71

제6절 상표정책 및 브랜드 이름짓기 72
1. 상표정책 72
2. 브랜드 이름짓기 73

제5장 맺음말 74
<참고문헌> 77
□ 부 록 78
○ 부록1 품질지각 항목별 점수 79
○ 부록2 중소기업경영실태 설문조사 83
o 조사결과분석 85
○ 부록3 통계표 110
○ 설문조사서 137
□ Abstract 152














【 표 목 차 】

[표-1] 벤처기업 현황 8
[표-2] 벤처기업 업종별현황 8
[표-3] 벤처기업 증감현황 9
[표-4] 벤처기업 시도별 현황 9
[표-5] 지식기반산업현황 10
[표-6] 지식기반제조업현황 10
[표-7] 기술지원 상용화 투자현황 11
[표-8] 전국대비 연구투자비 11
[표-9] 전국대비 연구개발인력 12
[표-10] 지적재산권 현황 13
[표-11] 경기도내 연구개발지원 사업 현황 13
[표-12] 경기지역 유관기관 기업지원 서비스 현황 14
[표-13] 연도별 창업현황 15
[표-14] 주요 창업보육센터 별 입주기업 업종(2004.1월기준) 현황 16
[표-15] 경기도지역혁신 클러스터 구축현황 17
[표-16] 폴란드 10대 IT제조업체 및 판매현황 25
[표-17] 폴란드의 정보통신 수입현황 26
[표-18] 폴란드의 정보통신현황 26
[표-19] 폴란드의 휴대폰 가입자 현황 27
[표-20] 각 국가별 품질지각 및 선호도 35
[표-21] 성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및 선호도 35
[표-22] 연령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및 선호도 36
[표-23] 소득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및 선호도 37
[표-24] 학력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및 선호도 38
[표-25] 직업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및 선호도 39
[표-26] 경기도 지역별 기술혁신기관 43
[표-27] 경기도 기업지원 유관기관 44
[표-28] 경기도 정부출연연구기관 45
[표-28] 경기도 정부출연연구기관 46
[표-29] 경기도 정부출연연구기관 47
[표-30] 경기도 경쟁력수준 48
[표-31] 중소기업 BNSI조사 49
[표-32] 중소기업 BNSI 2개년 비교표 49
[표-33] 중소기업 지원서비스 제공 51
[표-34] 서비스 수혜 만족도 51
[표-35] 지원기관 이용애로요인 52
[표-36] 경기도 권역별 지식기반 산업클러스터 구상 53
[표-37] 경기도 지역혁신발전 전략사업 54
[표-38] 수출시장 세분화 62
[표-39] 각 국가별 품질지각 항목점수 79
[표-40] 성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항목점수 80
[표-41] 연령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항목점수 80
[표-42] 소득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항목점수 81
[표-43] 학력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항목점수 81
[표-44] 직업별 한국제품에 대한 품질지각 항목점수 82
[표-45] 지역경기 실적 및 전망 86
[표-46] 2005년 상반기 중소기업 경영실적 87
[표-47] 2005년 하반기 중소기업 경기전망 88
[표-48] 경영실적 및 전망 응답분포(%) 89
[표-49] 중소기업의 경쟁력 수준 90
[표-50] 업종별 경쟁력 수준(중소기업인) 91
[표-51] 규모 및 수출비중별 경쟁력 수준 92
[표-52] 기업애로지수(BNSI) 93
[표-53] 기업애로지수(구분별) 95
【 그 림 목 차 】

[그림 1] ’05년 상반기 경영실적 및 하반기 경기전망 89
[그림 2] 기업애로지수(BNSI) 93
[그림 3] 자금분야 애로원인 96
[그림 4] 내수판매분야 애로요인 98
[그림 5] 수출분야 애로원인 99
[그림 6] 인력분야 애로원인 101
[그림 7] 기술분야 애로원인 102
[그림 8] 입지분야 애로원인 104
[그림 9] 원가상승분야 애로원인 105
[그림 10] 경제회복 시기 106
[그림 11] 경제회복 지연의 이유 107
[그림 12] 중소기업지원 서비스 수준 108
[그림 13] 중소기업지원 서비스 만족도 109
[그림 14] 지원기관 이용의 애로원인 109








【 사 용 기 호 】
제1장
제1절
1.
가.

[표-1]
[그림-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