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주제(키워드) 통합교육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조선미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논문개요 본 연구는 장애아동 통합 교육에 대한 일반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연구하여 특수요구학생에 대한 일반교사의 자질과 태도, 능력과 지식, 사전 준비에 관한 일반교사의 인식 수준을 밝힘으로써 장애아동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네 가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학급 유 ․ 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직 경력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특수교육 관련 연수 경험 유 ․ 무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특수아 지도경험 유 ․ 무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는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집단간의 인식수준의 차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경기도내 수원, 용인, 안산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중에서 일반학교 5개교의 일반교사 169명과,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5개 학교의 일반학급 교사 171명에게 본 연구에서 얻고자 하는 자료의 내용을 담은 설문지를 직접적 ․ 간접적으로 제시하여 교사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직접 반응을 나타내도록 하고, 이를 종합 ․ 분석하여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연구대상학교는 본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을 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중 회수된 설문지는 342부로 모든 문항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으로 부적합한 자료 2부를 제외한 340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유, 무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 수준연구에서 특수학급 설치학교 일반교사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특수학급의 설치가 일반학급 교사의 인식수준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지 않았다(Reynold & Martin, 1982). 이는 최근 통합교육의 확대로 인해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높아져 특수학급이 없는 일반학교 교사들의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이었으나 통합교육의 구체적인 이해와 특수요구학생의 궁극적인 요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교직경력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 수준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직경력 10년 미만인 교사집단이 통합교육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라는 선행연구(김경희, 1992)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고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수준을 알아본 선행연구(김병희, 1997)와 일치하였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교직경력과 상관없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상태이나 특수요구학생에 대한 일반학생 학부모의 인식이 부족하다고 교사들이 생각하고 있으며 특수교육행정가와 행정당국의 지원 역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좀 더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체계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셋째, 특수교육 관련연수 경험 유, 무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 수준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관련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집단이 그렇지 않은 교사집단보다 전반적으로 인식 수준이 높고 긍정적이었다. 이는 특수아동을 지도한 경험과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선행연구(Scnmekin, 1981에서 재인용)와 일치하였다. 이는 통합교육이 최근 확산이 되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일반교사들이 특수아동에 대한 적절한 사전 지식과 준비의 부족으로 인하여 특수아동을 지도할 때 부적절함을 느끼고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통합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특수교육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넷째, 특수아 지도경험 유, 무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수준 연구에서는 특수아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장애아 지도 경험이 풍부한 교사집단이 통합교육 전반에 더 긍정적이라는 선행연구(조성연, 1994)와 일치하였다. 통합교육 경험을 통해 일반교사들은 특수요구학생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키고 통합학급의 운영과 특수요구 학생의 학업 및 행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모든 학교의 특수학급 설치로 일반교사들에게 원적 학급 담임의 계기와 이에 따른 연수기회가 주어진다면 좀 더 효율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의 목적........................................................3

Ⅱ. 이론적 배경
1. 통합교육의 개념과 발달 배경 및 효과
1) 통합교육의 개념 ..................................................4
2) 통합교육의 배경...................................................6
3) 통합교육의 효과..................................................14

2. 통합교육의 조건...................................................17

3. 교사의 역할
1) 특수 교사의 역할 ................................................22
2) 일반교사의 역할..................................................23
4. 교사의 인식 및 태도
1)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24
2) 교사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26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31
2. 연구도구..........................................................33
3. 자료 수집 절차....................................................36
4. 자료 처리.........................................................37

Ⅳ. 연구 결과
1. 성별에 따른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비교 ․ 분석..................................................................38
2. 교직경력에 따른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비교 ․ 분석 ....................................................................40
3. 특수학급 유, 무에 따른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비교 ․ 분석................................................................46
4. 특수교육 관련 연수 경험 유, 무에 따른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비교 ․ 분석..................................................56
5. 특수아 지도 경험 유, 무에 따른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비교 ․ 분석..........................................................59

Ⅴ. 논의 및 제언............................................................................................63

참고문헌..............................................................67

부록..................................................................7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