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단위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주제(키워드) 단위학교예산회계제도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하봉운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2001년부터 전국의 국공립 초․중등학교와 특수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단위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해 교수-학습활동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찾고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보았다. 가. 단위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나. 단위학교예산회계제도 운영 실태에 따른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단위학교예산회계제도의 문제점 및 운영방안에 따른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헌고찰과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고찰은 주제와 관련된 국내서적 및 각종보고서를 고찰하였다. 조사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하여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가 자작으로 제작한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표집은 수원시 몇 초등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154부의 설문지를 회수성별, 경력, 직위, 학교예산회계 연수 횟수로 기초자료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5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여 백분율과 t-test검증 등을 통해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단위학교예산회계제도 도입으로 학교재정운영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졌으며 예산요구서작성 예․결산 심의 등 민주적인 의견수렴의 절차를 거쳐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이전에 비해 학교예산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예산에 대하여 교직원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단위학교에서 실제 운영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미흡한 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학교의 자율성을 신장시키고 학교회계가 향후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결과에 따라 도출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학교예산을 합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활동의 담당자인 교사들이 단위학교예산회계제도 운영이 교육과정의 본질에 맞게 운영되고 있다고 인식하면서도 학교예산회계제도 예산운영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고 형식적인 예산요구 절차와 예산편성 기법을 몰라 예산요구서 작성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평상시 연수계획에 학교회계를 포함한 교육재정 분야에 대한 연수가 포함되어 전교직원들이 연수를 받을 수 있어야 하며 교사들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은 학교예산회계편성 및 운영에 관한 기본방향 설정 주체는 부장교사의 협의에 의해 이루어지며 학교예산회계운영에 관한 정보를 그다지 제공받지 못하는 반면 학교예산 조정행위가 일부교사에게 한정되어 있어 의사소통의 경로가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참여하기가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학교예산을 합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직원들이 관심을 갖고 예산편성요구서의 제출, 사업의 우선순위 선정 참여 등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며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학교예산회계제도 운영이 교육계획서와 같이 예산편성지침이 작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예산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교사들도 고정관념을 벗어나서 적극적으로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교사가 주체가 될 수 있는 의식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학교장에게 주어진 재량권을 활용하여 교사에게 학교회계예산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방법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3
3. 연구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6
1. 학교예산회계제도 = 6
2. 학교회계의 세입․세출구조 = 11
3. 학교회계의 예 ․결산 과정 = 15
4. 기대이론 = 16
Ⅲ. 연구방법 = 35
1. 연구대상 = 35
2. 조사도구 = 36
3. 자료분석방법 = 3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7
1. 연구결과 = 37
2. 논의 = 65
V. 요약 및 결론 = 69
1. 요약 = 69
2. 결론 = 71
참고문헌 = 74
부록(설문지) = 76

more

목차

<표Ⅰ-1> 질문 문항내용 = 4
<표Ⅱ-1> 세입예산의 과목구조 및 과목해소 = 12
<표Ⅱ-2> 세출예산의 과목구조 및 과목해소 = 14
<표Ⅱ-3> 학교회계 관계 공무원 = 15
<표Ⅲ-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5
<표Ⅳ-1>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인지 = 38
<표Ⅳ-2> 예산요구서 작성 시 어려운 점 = 40
<표Ⅳ-3> 교육과정의 본질에 맞는 학교예산회계제도 운영 = 42
<표Ⅳ-4> 학교예산회계제도가 발전적인 학교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 = 44
<표Ⅳ-5> 학교장의 학교예산회계제도 인지 정도 = 45
<표Ⅳ-6> 학교예산편성 및 운영에 관한 기본방향 설정 주체 = 47
<표Ⅳ-7> 학교예산회계편성에 필요한 정보 제공 정도 = 49
<표Ⅳ-8> 학교예산회계에 관한 정보의 도움 정도 = 51
<표Ⅳ-9> 학교예산회계제도 참여 의향 = 52
<표Ⅳ-10> 교육활동에 필요한 내용에 대한 예산요구서 작성 = 54
<표Ⅳ-11> 학교장의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조언 및 정보 제공 정도 = 56
<표Ⅳ-12>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동료교사들과의 토론 정도 = 58
<표Ⅳ-13> 학교예산회계제도가 교사 발전에 도움을 주는 정도 = 60
<표Ⅳ-14> 학교예산회계제도 연수 참여 의향 = 61
<표Ⅳ-15> 학교예산회계제도의 적절한 연수 시기 = 64

more

목차

[그림Ⅱ-4] 기대이론 기본모형 = 18
[그림Ⅱ-5] 기대감에 대한 지각 = 21
[그림Ⅱ-6] 수단성 = 23
[그림Ⅱ-7] 동기력의 계산 = 25
[그림Ⅱ-8] 포토와 롤러의 기본모형 = 2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