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UPnP 환경에서 협력 작업을 이용한 자율적인 복구 방법

Autonomous Recovery Scheme Using Teamwork in UPnP Settings

  • 발행기관 亞洲大學校 情報通信專門大學院
  • 지도교수 최경희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정보통신전문대학원 정보통신공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UPnP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인 제어 포인트는 장치들 간의 연결성을 유지하여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재의 UPnP 구조에는 제어 포인트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UPnP 환경에서 견고한 네트워크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협력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제어 포인트의 자율적인 복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복구 방법에서는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제어 포인트가 하나의 팀으로 동작하고 이들은 장치에 대한 연결성을 유지해야 하는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려고 한다. 제안한 복구 방법은 두 가지의 구성요소로 동작하는데 하나는 복구를 위한 새로운 장치 종류인 복구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기존의 UPnP 구조의 제어 포인트와 동일하게 동작하지만 복구 장치와 정해진 메시지를 주고 받는 기능이 추가된 복구 가능한 제어 포인트이다. 복구 장치는 자신이 담당하는 제어 포인트에 장애가 발생하여 서비스 불능 상태가 될 경우 이를 팀에 속한 다른 제어 포인트들에게 알리게 되고, 이를 통보 받은 제어 포인트들은 각 장치들에 접속을 시도하여 연결성을 유지한다. 제안한 복구 방법이 효과적임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는데, 이를 위해 복구 효과성을 정의하였다. 실험에서 복구 가능한 제어 포인트는 팀 내의 다른 제어 포인트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장치로부터의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처리하였고 이는 복구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에 복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more

초록/요약

Resources or devices on network might be unavailable due to serious network partitioning. As a way to provide a robust network connectivity, this thesis presents an autonomous and dependable recovery scheme using a teamwork mechanism in UPnP network settings. For the scheme, the thesis introduces a team of recoverable control points and corresponding recovery device. And in case of network failures between the devices, the recoverable control points autonomously take care of the devices to achieve their mutual goal as a team member. In the experiments, the proposed recovery scheme is tested in terms of recovery effectiveness. It turned out that the recoverable control point agent in the scheme successfully handles the events from devices, regardless of the failure of recoverable control points. The output of experiment demonstrates that the recovery scheme is fairly consistent and the control point agents can be recovered from failures quickly enough.

more

목차

본문 차례 (List of Text)
제 1 장 서론 = 1
제 2 장 관련 연구 = 3
제 1 절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에서의 결함 처리 = 3
제 2 절 전통적인 결함 허용 방법 = 4
제 3 장 UPNP의 구조 = 6
제 1 절 UPNP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 6
제 2 절 UPNP의 네트워킹 단계 = 8
제 3 절 UPNP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11
제 4 장 장애가 발생한 제어포인트의 복구 방법 = 15
제 1 절 복구 방법 = 15
제 2 절 복구 시나리오 = 16
제 5 장 실험 = 21
제 1 절 복구 효과성 = 22
제 2 절 실험 결과 = 24
제 6 장 결론 = 28
참고 문헌 = 29

more

목차

그림 1. UPNP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7
그림 2. UPNP의 프로토콜 스택 11
그림 3. 복구 시나리오의 초기 네트워크 상태 17
그림 4. 또 다른 복구 가능한 제어 포인트인 CP2가 네트워크에 추가되었을 때 18
그림 5. CP1은 RD1을 통해 D1, D2, D3 장치들의 상태를 CP2에게 알려준다. 18
그림 6. CP1에 장애가 발생하면 CP2가 D1, D2, D3 장치들을 관리한다. 19
그림 7. 추후에 CP1이 정상 상태로 복구되면 CP1이 CP2의 보완 역할을 한다. 19
그림 8. 실험 환경 21
그림 9. 실험을 위한 각 매개변수의 정의 23
그림 10. 이벤트 발생 주기를 변화하였을 경우의 복구 효과성 25
그림 11. 장애 지속 시간을 변화하였을 경우의 복구 효과성 2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