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동주택단지 생활가로 유형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ighborhood Street Types and Their Use at New Residential Developments

초록/요약

국내의 공동주택은 주택공급 위주의 개발방식과 국민의식에 깔려있는 집에 대한 소유욕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이렇게 발전하기 시작한 공동주택은 도시내에서 대규모의 주거지가 새로 생김에서 오는 지역사회와 도시구조의 변화가 생기게 마련이다. 근린주구론의 도입이후 생활권을 신규주거지에 한정하는 가구단위의 개발이 이루어져서 기존 도시와의 단절현상이 나타났다. 2000년 이후 신구주거지의 개발방법이 지구계획(Master Plan) 완성 후 각각의 단지가 들어서는 선계획 후개발 방식으로 바뀜에 따라 신규 주거지의 개발에서 기존도시와 연계하고 각 단지간의 소통을 원활화 시키는 방안이 주요쟁점으로 대두되었다. 이는 지구전체의 중심 동선과 기존도시 연계와 지구내부 동선의 유기적 연결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주거공간의 확장면에서 가로공간에 대한 중요도와 관심이 증대하는 추세이다. 주거공간으로서의 가로는 전통적으로 골목길이나 마을 어귀 등에서 집안 내부에서 할 수 없는 행위를 공공의 영역인 가로에서 하여왔다. 이러한 전통적 개념뿐 아니라 실재적으로 과거와 달리 2000년 이후의 개발되는 공동주택단지의 규모가 1980년 후반에 계획된 수도권 5개 신도시와 비교하여 작다. 이는 대규모 단지를 이룰 경우 단지내에서 모든 생활이 가능 하였지만 단지규모가 줄어듦에 따라 공공가로의 활용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통로적 의미의 도로에서 주거공간의 일부로서 가로를 인지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렇게 도시와 신규 개발지를 서로 연계하여 도시적 활력을 되찾고 공공가로를 주거영역이 확장된 공간으로 인식하여 주거성능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생성된 개념이 ‘생활가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여 주거성능 향상과 도시구조의 유기적 연결을 위한 공동주택 단지의 공공가로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생활가로」의 개념이 정확히 확립되지 못한바 선행연구와 유사개념을 통한 「생활가로」의 개념을 도출하고, 생활가로 유형별 거주자의 이용행태와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러나 생활가로를 정의함에 있어 단지내 가로는 그 유형과 관리주체의 성격에 따른 상이점이 있는바 공동주택지구내 공공가로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례연구와 자료조사를 통하여 생활가로의 유형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량출입이 허용되며 생활시설이 인접한 경우 둘째, 차량출입이 허용되며 생활시설이 분리된 경우 셋째, 보행자전용도로이면서 생활시설이 인접한 경우 넷째, 보행자전용도로이면서 생활시설이 분리된 경우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유형별 대상지를 용인과 분당에서 선정(보행자 전용도로+생활시설 인접형은 조사대상영역에서 존재하지 않아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시킴)하여 각 가로의 주민의 이용행태를 관찰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고, 또한 거주자의 사용면에서의 가로에 대한 만족도를 ⅰ) 영역성, ⅱ) 안전성, ⅲ) 편리성, ⅳ) 쾌적성, ⅴ) 사회성의 항목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실재 유형별 가로이용실태와 의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기위한 조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가로이용관찰조사 결과, 가로공간에서 통행이 아닌 생활공간으로 사용하는 빈도가 높고, 차량으로부터 안전성 확보가 가로이용에 중요한 요소이다. 유형별 가로공간 이용에 차이가 존재하며, 가로인접생활시설은 가로에 활력을 부여하며 비통행행위를 지원한다. 그리고 물리적 설치물이 직접적인 행위를 유발하지는 않는다. 둘째, 유형별 거주자 가로환경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유형별 거주자의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 차이가 존재하며, 전체에 만족도는 보행자전용도로형이 가장 높았다. 전체의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세부항목만족도는 모두 밀접한 정관계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그리고 가로환경에 대한 영역성의 모든 유형에서 낮게 나왔으며, 유형의 특성에 따라 세부항목의 만족도가 차이가 있었다. ⅰ) 가로시설분리형 : 전반적 만족도 낮음 ⅱ) 가로시설인접형 : 가로시설물 편리성, 보행쾌적성 만족도 높음, 차량으로부터의 안전성 가장 낮음, 차량운행의 편리성 가장 낮음 ⅲ) 보행자전용도로형 : 보행안전성 및 쾌적성 가장 높음, 야간이용안전성 가장 낮음 셋째, 생활가로 계획요소에 대한 선호도조사 결과, 거주자와 계획실무가의 선호도차이가 일부에서 존재하였으며 세부내용으로는 생활가로 지원기능은 실무전문가의 경우 이웃과의 교류 활성화를 과반수이상 선호하였으나 거주자는 특정 기능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았다. 생활가로는 거주자나 실무자 신규 주거지의 개발에 있어 중요한 개념임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활성화키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본 연구자는 실시하였다. 하지만 아직 개념의 적립이 미비하고, 생활가로의 범위나 유형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연구의 한계점을 가졌다. 하지만 생활가로의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한 실증적 조사를 통하여 유형별 생활가로의 이용의 특성과 만족도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거지 공공가로인 생활가로를 거주성 측면에서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킨데 의의가 있으며, 시대적 · 사회적으로 생활가로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바 지속적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Neighborhood street is evidently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planning of new residential developments. Neighborhood street not only enables the efficient interaction between new and existing residential areas, but also plays a role as an extensional residential area therefore thought as an essential factor in site planning. This study was started as a means of regenerating the use of Neighborhood street in site planning. However, because of the limited amount of previous research on neighborhood street, the literature review for this study was replaced with an analysis of data and case studies on neighborhood street. The types of neighborhood street were classified as followed. Type A : Vehicle passageway + Facility of street separated Type B : Vehicle passageway + Facility of street adjacent Type C : Pedestrian road + Facility of street separated Type D : Pedestrian road + Facility of street adjacent The data for this research was obtained through a study of housing complexes in the Yong-in and Bun-dang areas. However, a prototype for Type D could not be obtained therefore the study was done on the analysis of the remaining three types. Results were as followed. One.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neighborhood street according to each type Street space is more likely used as residential area rather than passageways, and maintaining a safe distance from vehicles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usage of street. The usage of street space according to each type showed various differences, where residential facilities adjacent to street made a more active street and supported behavior of non-passage. Also, physical object did not cause any type of direct action. The results in behavior of non-passage was found as followed starting from the highest down. ⅰ) Vehicle passageway + Facility of street adjacent, ⅱ) Pedestrian road + Facility of street separated, ⅲ) Vehicle passageway + Facility of street separated Two. The analysis of the rate of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according to each type The rate of satisfaction in the practical usage of street by residents were studied through questionarie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ⅰ) area, ⅱ) safety, ⅲ) convenience, ⅳ) amenity, ⅴ) social community The results in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street and difference in views according to each type were as followed. 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observation of the usage of street, the area was more likely used as residential area rather than a road, and maintaining a safe distance with vehicles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 difference in the usage of street space according to each type was observed, and residential facilities adjacent to street made a more active street and supported behavior of non-passage. Also, physical object did not cause any type of direct action.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rate of satisfaction towards street environment, residents of each type of area showed differences in the rate of satisfaction, where 'pedestrian road' types showed the highest rate.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all-around street environment and specific categories were found to be closely correlated. Also, low satisfaction rates were found in the territory of street environment among all typ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atisfaction of specific categories according to each type. ⅰ) Types with facility of street separated : relatively low satisfaction rate ⅱ) Types with facility of street adjacent : high satisfaction rate in convenience and amenity, lowest in safety distance from vehicle, lowest in convenience of running a vehicle ⅲ) Types with pedestrian roads : highest in safety of pedestrians and amenity, lowest in nighttime safety Residents were aware of the fact that neighborhood street is an essential factor in new resident development. This study holds limitations that it is constructed of a limited amount of case studies, therefore unsuitable as a general theory. However,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for it has included neighborhood street in the study of residential housing, and therefore is a field which requires future research.

more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용어의 정의 = 4
1.3 연구 문제 = 6
1.4 연구내용 및 방법 = 7
제2장 이론적 고찰 = 9
2.1 생활가로의 개념 및 특징 = 9
2.1.1 가로공간의 개념 = 9
2.1.2 생활가로의 개념 = 15
2.1.3 생활가로의 특징 = 17
2.2 생활가로의 역사 = 19
2.2.1 생활가로의 발전과정 = 19
2.2.2 국내외의 생활가로 도입 = 21
2.2.3 최근 국내공동주택 계획에서의 생활가로의 위상 = 24
2.3 선행연구 및 유사개념 고찰 = 28
2.3.1 선행연구 고찰 = 28
2.3.2 유사개념 고찰 = 32
2.3.3 생활가로 사례 = 41
2.3.4 문헌연구를 통한 생활가로 특성 파악 = 56
제3장 생활가로 유형화 = 65
3.1 분당신도시 대상 공동주택 주거지 가로환경 실태조사 = 65
3.2 유형화 = 68
제4장 연구방법 및 조사대상의 특징 = 71
4.1 조사방법 및 조사도구의 특성 = 71
4.2 조사대상의 선정 = 73
4.2.1 조사대상지별 세부현황 = 74
4.3 조사 및 분석방법 = 80
4.3.1 관찰조사 = 80
4.3.2 설문조사 = 82
4.4 조사대상의 특성 = 84
4.4.1 거주자 특성 = 84
4.4.2 실무자 특성 = 85
제5장 연구결과 = 87
5.1 생활가로 유형별 거주자 공간이용 및 활용도 = 87
5.1.1 가로이용현황 = 87
5.1.2 목적별 가로이용행위 빈도 = 88
5.1.3 비통행 행위성격별 빈도 = 89
5.1.4 소결 = 91
5.2 생활가로 유형별 거주자 가로사용실태에 대한 의식조사 = 92
5.2.1 생활가로에 대한 영역성 = 92
5.2.2 생활가로에 대한 만족도 = 93
5.2.3 소결 = 99
5.3 생활가로 계획 요소 선호도 조사 = 101
5.3.1 거주자 선호도 = 101
5.3.2 계획 실무자 선호도 = 105
5.3.3 소결 = 108
제6장 결론 = 111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