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주거단지 내 환경친화적 수(水)공간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Environment-Friendly Water spaces in Housing Estates

초록/요약

도시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 자연 상태의 균형을 잃게 만드는 경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개발형태가 아무런 개선 없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면 그 결과는 자연의 불균형으로부터 발생하는 예측하기 힘든 불이익으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 자연의 순환구조에서 물은 핏줄과도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자연생태의 생명을 이어갈 수 있는 근원이 되어준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의 순환구조는 반드시 존중되어야 한다. 하지만 개발과정에서 이러한 자연 순환구조를 훼손하는 이유는 사람들의 편의 때문이다. 자연 순환구조만을 유지하면서 사람들의 편의를 무조건 배제하기란 개발의 주체가 사람이라는 점에서 이루어지기 힘든 부분이다. 따라서 우리가 모색해야할 부분은 자연 순환구조와 사람들의 편의가 적절한 수준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다. 이런 적절한 수준을 지속가능한 개발에서는 '미래 우리 후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과 여건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개발'로 정의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공간 계획은 계획형태를 볼 때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라는 본질적인 문제점을 신중하게 고려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물론 최근 들어 환경친화적인 수자원을 비롯하여 환경친화적인 계획요소들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움직임들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환경친화적인 수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환경친화적인 수공간 계획요소의 일부분만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계획요소가 복합적으로 계획되어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환경친화적인 수공간 계획요소는 다음의 여섯 가지로 고려될 수 있다. ① 환경친화적인 수자원 활용 ② 자연 상태의 수순환을 고려한 우수침투 계획 ③ 자연정화를 통한 오염물질 유출 최소화 ④ 자연과의 친화 ⑤ 인간과의 친화 ⑥ 수자원 재순환 계획 위에서 언급하고 있는 계획요소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환경친화적인 수공간은 자연 순환구조만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주거단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환경친화적인 수공간이 아무리 좋은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하여도 주민의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면 그 계획은 적용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본 조사에는 현재 주거단지에 살고 있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수공간 조성의 선호여부와 선호하는 수공간의 형태를 분석 하였다.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빈도와 평균, 분포 등을 사용하여 내용을 파악하고, 주거단지의 주택크기를 기준으로 수공간 및 수공간 형태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T-test와 Simple 2*2table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주거단지 내 수공간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상태이며 이를 유지관리 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경제적인 부분도 충분한 지출의사를 갖고 있다. 2. 주거단지 내 수공간은 단순한 친수공간만이 아닌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수생비오톱과 조화롭게 조성되어야 하며, 실개천과 계류지 같은 동적수공간을 중심으로 계획하고 여기에 소요되는 에너지는 자연에너지를 활용한다. 3. 주거단지 내 조성되는 수공간의 수원은 환경친화적인 수원인 우수나 중수를 활용해야하며 이를 재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물을 정화할 때는 수생식물을 활용한 자연정화방식을 활용한다. 4. 우수를 활용하는 주거단지 내 환경친화적인 수공간은 전반적으로 선호하고 있지만 차등적으로 적용한다면 30평 이상의 대규모 주택단지보다 30평 이하의 소규모 주택단지에 먼저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내용을 근거로 볼 때 환경친화적인 수공간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가해 있는 만큼 기술적 수준, 경제적 타당성, 유지관리방안 등이 검토되고 준비되어 수공간이 계획된다면 주거단지에 질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계획요소가 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As cities grow, it is frequently found nature loses the original balance. If a city development is done thoughtlessly without any consideration, an unpredictable disadvantage would be occur as a result. In ecosystem, water is a origin of all creatures and it is like a human blood vessel. Therefore, the water cycle system should be thought in esteem. The reason people destruct nature is for their convenience. It is difficult to expect from people, who actually make progress, to exclude their convenience but to keep an ecosystem only. Accordingly, the way of compromising between people's convenience and keeping an ecosystem has to be found. An appropriate compromise is defined as 'a development which does not hinder the potential in the future, and satisfies present people's wants' in sustainable development. Domestic water space plans do not seem to be considered the fundamental point, coexistence of human being with nature. Recently, there is movement which shows studies and works for sustainable plan including environmentally-friendly water resource. However, to have an environmentally-friendly water space, and to make it effective, every single items of plan has to be composited. These items for an environmentally-friendly water space are six of the following. ① A practical usage of an environmentally-friendly ② A plan for rainwater percolation, considered the natural water cycle system ③ Minimising pollutants spillages by natural purification. ④ environmentally-friendly system ⑤ human-friendly system ⑥ water recycling plan As it mentioned above, an environmentally-friendly water space is for not only an ecosystem but also the residents. If it has any negative effect, even if it was intended for a good purpose, it would be hardly used.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purpose of analysis whether residents prefer to have a water space and water space type of preference. In analysis procedure, the frequency, an average, and a distribution were used. The relation between water space type and the size of a house was analysed and T-test and Simple 2*2tabel were used in this procedur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A requirement for a water space in the residence area is very high and the residents are willing to pay management expenses. 2. A water space in the residence area should combine with an aquatic biotop. A dymamic water space such as a streamlet or a stream could be a main part and the required energy can be fulfilled by natural energy. 3. The rainwater or a heavy water, which is environmentally-friendly, should be used as a source for water space. Natural purification by using a water plant should be used for water recycling. 4. The residents prefer to have an environmentally-friendly water space by using rainwater in general, but when it is done gradually, it is better to set in a smaller residence area which has 30 pyong of houses or less rather than a bigger residence area. The residents' requirement for having an environmentally-friendly water space has been increased based on this study. If an appropriate technique, reasonable cost, and a plan for maintenance are ready and considered, it would be a significant item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of a residence area.

more

목차

목차
국문초록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과 내용 = 3
1.3 기존연구의 고찰 = 5
제2장 환경친화적 수공간의 기본적 고찰 = 6
2.1 수자원 및 수순환의 의미 = 6
2.1.1 지구차원의 수순환 = 6
2.1.2 단지차원의 수순환 = 7
2.1.3 도시수순환의 문제점 = 8
2.2 환경친화적 수(水)공간의 형태 및 수자원 = 11
2.2.1 주거단지 내 수공간의 형태 = 11
2.2.2 환경친화적인 수공간의 수자원 = 13
제3장 환경친화적인 수(水)공간 조성사례 = 23
3.1 우수를 활용한 수공간 조성사례 = 23
3.2 중수를 활용한 수공간 조성사례 = 27
3.3 해수를 활용한 수공간 조성사례 = 31
제4장 환경친화적인 수공간 계획요소 = 34
4.1 환경친화적인 수자원활용 = 35
4.2 자연 상태의 수순환을 고려한 우수침투 계획 = 37
4.3 자연정화를 통한 오염물질 유출 최소화 = 40
4.4 자연과의 친화 = 43
4.5 인간과의 친화 = 48
4.6 수자원 재순환 = 50
제5장 주거단지 내 수(水)공간에 대한 선호도조사 분석 = 52
5.1 조사분석의 틀 = 52
5.1.1 조사대상 = 52
5.1.2 조사진행 = 52
5.1.3 조사내용 = 53
5.1.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55
5.1.5 조사의 신뢰성분석 = 55
5.2 조사분석 결과 = 56
5.2.1 조사대상자 분석 = 56
5.2.2 주거단지 내 수공간조성에 대한 기본의식 = 59
5.2.3 주거단지 내 수공간 형태계획 = 63
5.2.4 수자원 재활용에 관한 의식 = 68
5.2.5 가설의 검증 = 75
5.3 조사분석의 종합 및 소결 = 83
제6장 결론 = 87
참고문헌 = 90
ABSTRACT= 92
주거단지내 수(水)체계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설문) = 9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