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전과정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행태의 환경영향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Analysis on Environmental Impact of Consumer Behavior with Life Cycle Approach

  • 발행기관 亞洲大學校 大學院
  • 지도교수 李健模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공학계열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국내평균 도시가계를 대상으로, 소비에 의한 환경영향의 체계적인 정량화와, 소비 행태별 생태효율성(eco-efficiency)을 산정하는 것으로 국내의 지속가능한 소비 연구에 대한 시도를 하였다. 소비 행태의 환경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ETPC 모형을 사용하여 산업연관표, 에너지 총조사, 도시가계조사의 통계자료를 통합하였다. 소비 행태를 반영하기 위해 49가지의 소비항목을 선정하고, CO₂ 배출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경제ㆍ사회ㆍ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가계 유형별 CO₂ 배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이 높고(+37.3%), 규모가 작고(+46.8%), 교육수준이 높고(+48.4%), 고소득인(+65.7%) 가계일수록 CO₂ 배출량이 많았고, 강원/충남 지역(+23.6%)의 CO₂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개별 제품 및 서비스 수준의 소비에 의한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여 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해 소비의 생태효율성(Eco-Efficiency) 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소비항목에 대해 생태효율성을 산정하고 소비항목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평균 도시가계는 0.97의 생태효율성 값을 갖고, 광열ㆍ수도부문이 0.15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역별 구분에서 강원/충남 지역이(0.74) 가장 낮고, 55세 이상의 가계(0.97), 6인 가계(0.97), 무학 가계(0.90), 1분위 소득가계(0.87)가 낮은 생태효율성을 나타내었다. 이 제안 방법은 간단하면서 거시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이다. 이를 통해 환경영향이나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낮은 부문(생태효율성이 높은 부문)에 대한 비효율적인 논의를 피할 수 있으며, 가장 기대효과가 높은 부문(생태효율성이 낮은 부문: 예, 전력, 교통, 연료 등)에 집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evaluated the importance of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 on CO₂ emiss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pattern of various household types and their CO₂ emissions, it combined input-output tables, energy flow matrices, and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statistics into an integrated framework using ETPC. This study classified consumption into 49 items to reflect consumer behavior and calculated CO₂ emissions. We considered various household types, characterized by a number of economic-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estimated their consumption patterns and associated CO₂ emissions. As a result, it had relatively high CO₂ emissions that old age(+37.3%), small size(+46.8%), high level education attainment(+48.4%), and high income(+65.7%) household and ‘Kangwon /Chungnam area’(+23.6%) in each household type. This paper suggested eco-efficiency to quantify contribution on sustainability by consumption at each product and service level. It showed eco-efficiency for consumption items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by items. The eco-efficiency value of an average household in city was 0.97 and ‘fuel, light and water charge’ was the lowest value (0.15). ‘Kangwon/Chungnam’(0.74), ‘over the age of 55’ (0.97), ‘6 persons’(0.97), ‘illiterate’(0.90), and ‘the income level of I’(0.87) household were the lowest eco-efficiency value in each household type. These results allow us to get an insight into the dominant and less dominant issues related to private consumption. For strategic assessments it becomes easier to see which divisions provide low value at high environmental load (e.g. electricity, transportation, fuel etc.). This identification also helps people become aware of the level of impacts associated with each of their consumption activities.

more

목차

목차
국문요약 = i
표목차 = iv
그림목차 =v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 1
2. 연구 목적 및 내용 = 3
2.1 연구 목적 = 3
2.2 연구 내용 = 3
Ⅱ 문헌 연구 = 5
1. 이론적 고찰 = 5
1.1 모델 = 7
1.2 생태효율성 = 14
2. 기존 연구 분석 = 21
2.1 소비관점의 연구 = 21
2.2 기존 연구와 비교 = 24
Ⅲ 국내 소비자 행태 분석 = 26
1. 연구 방법 = 26
1.1 연구범위 = 26
1.2 환경영향 계산 방법 = 28
2. 환경영향 분석 = 32
2.1 도시 가계의 변화 = 32
2.2 가계 유형별 분석 = 36
2.3 결과 = 43
3. 생태효율성 분석 = 46
3.1 소비항목의 생태효율성 = 46
3.2 가계 유형별 생태효율성 분석 = 48
3.3 결과 = 51
Ⅳ 결론 = 53
1. 결과 = 53
2.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 57
Ⅴ 참고문헌 = 59
Abstract = 63
Appendix = 6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