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도심 주상복합 거주자의 주거요구 특성에 관한 연구

A Survey of Residents in Urban Mixed-Use Housings

  • 발행기관 亞洲大學校 大學院
  • 지도교수 閔丙昊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최초 복합용도개발은 도시기능의 분리로 인한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도심공동화 현상, 도심기능의 퇴색화 및 단순화, 교통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계획되었다. 이러한 도심부의 주거기능을 유지ㆍ개선시키려는 목적으로 주상복합이라는 기능적인 주거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나 도심 내의 근본적인 주거환경 개선의 노력이 전무한 상태에서 공급되어진 주상복합건물은 도심주거의 활성화 및 거주성 측면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는 실수요 계층의 주거요구 특성을 반영한 계획이 아닌 단순히 개발논리 우선의 계획이 가져온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심주거 문제의 인식하에 도심 거주자의 특성을 고려한 주상복합건물의 합리적인 주거유형 패턴을 모색하기 위하여 주상복합건물에서 생활을 일정기간 경험한 거주자를 대상으로 도심지 내 거주이유 분석 및 주거요구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도심형 주상복합건물의 주거기능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복합기능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상복합건물의 합리적인 계획방향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세대 구성원의 규모는 독신위주의 2인 이하의 규모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가 주거용 부분만 조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약 23.5%가 주거+업무용/오피스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주근접, 업무의 연장이라는 복합용도개발의 목적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주변환경이나 주택 마련의 목적보다는 일시적인 거주지나 업무지와의 직주근접의 필요성이 크게 작용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자가보다는 전ㆍ월세의 임대형태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도심 거주자들은 이웃과의 교류나 커뮤니티 보다는 개인의 프라이버시, 자신의 라이프스타일(Lifestyle)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대 내에서 여유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른 실내 거주환경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겠다. 4. 거주자의 개인생활 및 운동, 건강, Well-being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됨에 따라 실내환경의 개선, 운동공간 등의 부대시설에 대한 충분한 제반시설의 제공이 필요시 되고 있다. 5. 도심 거주자들은 입주 결정시 우선 고려사항으로 ①교통의 편리 ②직장과의 거리 ③가격 ④빌트인(Built-in)시스템의 제공 순으로 조사되었다. 6. 도심 거주자들은 가구나 가전제품 등을 자신의 재산가치의 ‘소유’라는 목적보다는 단순히 ‘사용’하는 것에 목적을 두는 경향이 짙고, 또한 사업자에 제공되는 가구와 가전제품을 통해 세대 내부의 사용면적의 할애나 공간 활용도를 높이려는 경향이 짙다고 할 수 있다. 7. 중복도 형식은 세대 프라이버시, 통풍, 복도면적의 증가에 따른 전용면적의 감소 등의 문제점을 내제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개선사항이 필요시 되고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initial mixed-use development was plann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certain problems which were caused by a separation of urban function : donut phenomenon, functional simplification of the urban centre, transport problems. Mixed-use housings, a functional alternative of a dwelling, was present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 dwelling function in urban centre. Since it was served without effort on improvement of a fundamental dwelling environment, it did not contribute that much in the parts of the activation of an urban dwelling and amenity. It is because the development-aimed plan was taken precedence over the plan which reflects specific points of requirements on the dwelling from end user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reasonable dwelling unit patterns of mixed-use housings, based on awareness of this urban dwelling problems. Residents, who have lived in mixed-use housings for a certain period, were chosen for this study. Also this study is on purpose of searching for a reasonable way of planning for future mixed-use housings by understanding its dwelling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xed-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ructure of a house- hold was mainly two people or less. Despite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only for housing, about 23.5 percent were for housing+business use / an office. It corresponds to the purpose, function mixed-use development. 2. Since mixed-use housings is chosen for temporary dwelling or the need to job-housing approximation rather than surroundings or having a house, proportion of renting is higher than owning house. 3. The urban residents regard their own life style and privacy as important rather than the community. It is need to improve indoor residential environment, as the residents spend their free time in the house more and more. 4. The resident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private life, physical exercise, health, and so-called ‘well-being’ more and more. Accordingly, improvement in indoor environment and appropriate facilities are needed. 5. The residents give priority to convenience transport, the distance to the workplace, cost, and an offer of Built-in system when they move into. 6. The residents prefer using furniture or domestic applies to owning them. They have a tendency to enlarge indoor space by using offered furniture and domestic applies. 7. Because internal corridor has problems of the following: privacy of a household, ventilation, decreasing of actual living area that is caused by increasing of a corridor area. Therefore it needs to be improved.

more

목차

목차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1.2.1 연구의 범위 = 4
1.2.2 연구의 방법 = 4
제 2 장 이론적 고찰 = 7
2.1 복합용도 개발의 배경 = 7
2.1.1 복합용도 개발의 개념 = 7
2.1.2 복합용도 개발의 기능 및 유형 = 9
2.1.3 복합용도 개발의 필요성 = 12
2.2 주상복합건물(Mixed-Use Buildings)의 발전 = 15
2.2.1 주상복합건물의 개념 = 15
2.2.2 주상복합건물의 유형 = 16
2.2.3 국내 주상복합건물의 개발 동향 = 20
2.3 주상복합건물 관련제도의 변천 = 25
2.3.1 주상복합건물에 관한 정책적 변화 = 25
2.3.2 주택건설촉진법의 사업계획 승인대상 = 26
제 3 장 연구의 방법 및 조사대상의 특성 = 29
3.1 연구 조사대상 선정 = 29
3.2 분석 방법 = 34
3.2.1 자료의 수집 = 34
3.2.2 조사내용 및 분석 = 35
제 4 장 도심 주상복합 거주자의 주거요구 특성 분석 = 36
4.1 조사대상 거주자의 특성 = 36
4.1.1 조사대상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 = 36
4.1.2 조사대상 세대 유형 및 특성 = 37
4.2 조사대상 거주자의 거주항목에 대한 분석 = 44
4.2.1 거주자의 중요 거주항목 = 44
4.2.2 거주자의 입주 결정시 우선 고려사항 = 46
4.2.3 반영되었으면 하는 요소 = 48
4.2.4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었으면 하는 가구 및 설비제품 = 51
4.2.5 거주자의 여유 시간의 활용 = 53
4.3 거주항목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평가 = 56
4.3.1 단위세대 = 56
4.3.2 공용시설 = 58
4.3.3 아파트 관리 = 60
4.3.4 커뮤니티/건물입지 = 61
4.4 평형에 따른 거주항목에 대한 비교분석 = 63
4.4.1 거주자의 중요 거주항목 = 63
4.4.2 거주자의 입주 결정시 우선 고려사항 = 64
4.4.3 반영되었으면 하는 요소 = 66
4.4.4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었으면 하는 가구 및 설비제품 = 67
4.4.5 거주항목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 68
제 5 장 결론 = 74
참고문헌 = 77
ABSTRACT = 80
부록 역삼동 디오빌 1 입주자 및 사용주민에 대한 설문 = 8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