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동주택 주민의 사회교류장소와 교류행위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athering Places and Community Behavior Settings in Urban Neighborhoods

  • 발행기관 亞洲大學校 大學院
  • 지도교수 閔丙昊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이 연구는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모임장소를 도출하여 Behavior Setting이론에 기반을 둔 C.B.S.(Community Behavior Setting)변수를 제안하고 C.B.S.의 성격 및 사회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동주택 외부공간에서 거주자들이 모이는 장소는 어느 곳이며 모여서 어떤 행위를 하고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C.B.S.가 공동주택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조사방법은 조사 할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4차례에 걸쳐 Walking Through Observation과 Driving Through Observation 통해 거주자가 모여있는 장소를 찾고 이러한 행위가 일시적인지 혹은 정규적인지를 조사하고 만약 정규적이라면 어떤 패턴을 가지고 있는지 알기 위하여 조사된 C.B.S. 예상지 43개중에 그룹토의(Discussion)을 통하여 C.B.S.가 강하다고 판단되는 19개 사례를 3차례씩 3시간에 걸쳐 20분마다 Time Sampling Observation실시하여 총10개의 C.B.S. 장소를 도출하였다. 총 10개의 C.B.S.는 2차례에 걸쳐 3시간에 걸쳐 20분마다 Time Sampling Observation을 한번 더 시행하였다. 모든 관찰조사가 끝난 후 모임 행위에 패턴이 보여지고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13개 사례를 최종적으로 C.B.S.라고 판단하고 C.B.S.성격 및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전체 관찰 횟수 846회 중에 모임행위가 관찰된 횟수는 327(36.7%)회로 모임이 상당이 적게 나왔으며 C.B.S.라고 판명된 13개 사례의 모임 횟수는 302(47.0%)로 역시 절반도 안되었다. 모임의 주요행위 그룹은 할머니(22.2%), 할아버지(21.9%), 주부(9.6%), 주부+아이(39.5%), 기타(7.1%)로 주부+아이 그룹이 가장 많은 것으로 들어났다. C.B.S.의 평균모임 인원은 9.01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주요행위는 앉아서 휴식을 취하면서 대화하는 행위가 54.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룹의 행위형태는 총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단일집단 단일행위(37.7%), 단일집단 동질행위(18.9%), 다수집단 동질행위(11.6%), 다수집단 이질종속행위(31.8%)로 단일집단 단일행위와 다수집단 이질종속행위가 두드러졌다. 장소형태 또한 Only Base(56.6%)와 Base+Satellite(43.4%)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Only Base 형태가 약간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임을 지원하는 환경지원요소는 크게 앉을 수 있는 곳, 구경거리, Roofed Space, 놀수있는 공간 4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이중에서 구경거리가 29.4%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환경지원요소로 분석이 되었다. 또한 앉을 수 있는 곳은 정자(편상형), 정자(벤치형), 벤치, 소프트한 바닥으로 구분되었는데 이중에서는 벤치가 41.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구경거리는 놀이, 사람들, 사물(볼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는데 사람들이 41.0%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Roofed Space는 단지 그늘을 제공하는 것 외에 둘러쌓인 공간으로 영역성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 하였으며 지붕, 나뭇가지 두 가지의 환경요소중에 지붕이 56.6%로 약간 높게 나왔다. 놀 수 있는 공간은 총 3가지로 구분되었는데 정자상판, 놀이터, 어느 일정공간의 딱딱한 바닥으로 나누어 졌으며 어느 일정공간의 딱딱한 바닥이 5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관찰결과를 통하여 몇 가지의 중요한 발견들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는 할머니 혹은 할아버지 그룹은 응집력과 행위의 지속성이 강하고 주부 혹은 주부+아이그룹은 응집력과 지속성이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주부+아이그룹은 사회교류가 활발하고 평균모임인원이 할머니 및 할아버지 그룹에 비해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는 C.B.S.가 일단 발생이 되면 모임의 인원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가 사라질 때에도 급속하게 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는 장소의 형태 중 Only Base와 Base+Satellite를 비교하면 행위발생 비율은 Only Base가 많았지만 평균모임인원 Base+Satellite가 약 2배 가까이 많은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은 두 가지로 나타내었는데 첫째는 C.B.S.의 성격을 정의하고 둘째는 현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C.B.S. 상황으로 결론을 내렸다. 첫째 C.B.S.는 주민들의 공동행위를 내포하고 있고 공동의 행위와 공동의 관심사를 포함한다. 또한 단절적 행위 보다는 보조행위가 연결되어서 만들어 가는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C.B.S.를 유발하는 환경 지원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둘째는 현재의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C.B.S.는 상당히 불안하다. 이것은 공동의 관심사를 지원하는 환경지원요소가 빈약하고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연구 및 디자인 또한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런 환경지원요소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곳곳에서 C.B.S.혹은 이와 유사한 행위가 시도 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앞으로 C.B.S.를 위해서는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또한 디자인으로의 적용을 위한 환경지원요소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suggests C.B.S variable based on Behavior Setting theory by deducing gathering places in neighborhood and aims to make clear Characters of C.B.S. characters and social mean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1. Where are people gathering? 2. What do people do in the place? 3. What is the meaning of gathering behavior? 4. What character does C.B.S have? 5. What meaning does C.B.S give to people? The investigation method selects objects of this study to survey, look for the place which residents get together four times through Walking Through Observation and Driving Through Observation, and investigate this kind of behavior is permanent or regular. And if it is regular, in order to know what pattern is, I totally deduced ten C.B.S places of forty three C.B.S candidates through group discussion and by practicing Time Sampling Observation three times. And totally ten C.B.S is practiced by Time Sampling Observation two more times. After finishing every observation at last, I practiced analysis about thirteen C.B.S. regarded as consistent pattern. Gathering behaviors are detected 327 times for total 846 observations, and it is so rare, 13 cases which are regarded as C.B.S. have 302 gathering behaviors (47.0%). It is less than 50%. Major leading group of gathering is old-female (22.2%), Old-male(21.9%), housewife(9.6%), housewife+children(39.5%), others(7.1%). Housewife +children was major. Average number of gathering is found as 9.01 and major behavior is conversation with rest as 54.6%. It is possible for the behavior of group to be divided into four types. First, single-group single behavior(37.7%), second single-group same behavior(18.9%), third multi-group same behavior(11.6%) and last multi-group heterogeneity behavior related to each other.(31.8%). In conclusion, we can know that single-group Single behavior and multi-group heterogeneity behavior related to each other is the most prominent thing. The C.B.S. place's form is divided into only base and Base+Satellite. Staff behavior's frequency is more prominent in Only Base but Average number of gathering is much more prominent in Base+satellite. Resources to supply a gathering is widely divided into four types. First the place to take a seat, second sight of interest, third Roofed Space, and last the space to play. Sight of interest (29.4%) revealed as the most frequent thing. And if I analyze resources more minutely, first, the place to take a seat can be divided into like pavilion (floor type), pavilion (bench type), bench, soft floor. Bench(41.4%) of these things is used much more. To see other people's behavior revealed the highest thing in Sight of interest. Roofed Space can be divided into roof and branch. Roof's frequency of these things is a little higher than branch's frequency. At last, the space to play is divided into pavilion (floor type), playground, hard spacious floor in three types. Hard spacious floor in three types of them revealed as the highest thing. In the next place, we discovered some of important hypotheses through obser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1. The group of old-female and old-male has strong cohesive power than the other groups. But the housewife + child group compared with in the different group is that the social interaction was active and the even meeting personnel were more. 2. When C.B.S. gathering behavior occurred, the member of the gathering was quick increased and when disappearing even, that it disappears instantaneously. 3. Act occurrence from only base happens plentifully but average number of gathering appeared twice cases from the Base+Satellite compared with only base. There are two in the final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is the C.B.S. Defining character and second is to appear currently our country C.B.S. situation. When it defines C.B.S. character first of all; 1. The C.B.S. contains the social joint act of the residents and has the joint act of one or the some reciprocal connection. 2. Social inter-act is to maintain by the interests of the commonness 3. The C.B.S. has the patterns that are making with supporting and main behavior than the discontinuation behavior. 4. C.B.S. has the resource to bring about C.B.S. 5. The C.B.S. increases a community ceremony through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resident. Second, when we look around our country's situation; 1. Our country neighborhoods’ C.B.S. situation is considerably insecure. 2. This is because apartment built in our country in presence doesn't consider to increase resident's C.B.S. and doesn't understand resident's common interests. 3. Although resources are absent, we can see some trial in several places such as C.B.S. or similar behaviors with C.B.S. we can notice that residents living in neighborhoods want to interact with other residents. In conclusion, researcher should concentratedly study resources to supply resident's social, physical, physical common interests.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it is important that we should grasp what is resident's common interests, observe the gathering behavior from such common interests, and look for resources to bring about such behaviors.

more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1.2.1 연구의 범위 = 4
1.2.2 연구의 방법 = 5
가. 문헌조사(Document Survey) = 6
나. Walking and Driving Through Observation = 6
다. 행위관찰(Time Sampling) = 7
1.2.3 연구의 내용 = 9
1.2.4 선행연구의 고찰 및 C.B.S.의 가설적 정의 = 9
가. 공동체(Community)의 이론적 고찰 = 9
나. Behavior Setting의 이론적 고찰 = 12
다. C.B.S.(Community Behavior Setting)의 가설적 정의 = 13
제2장 본론 = 16
2.1 사회교류장소의 도출 및 C.B.S.의 도출 = 16
2.1.1 사회교류장소 도출 = 16
2.1.2 C.B.S.의 선정 = 17
2.1.3 C.B.S.의 장소 = 18
2.2 행위관찰분석: C.B.S. 특성분석 = 22
2.2.1 C.B.S. 행위빈도분석 = 23
2.2.2 C.B.S. 행위그룹 분석 = 24
2.2.3 C.B.S. 행위분석 = 26
2.2.4 C.B.S. 장소분석 = 28
2.2.5 C.B.S. 환경지원요소 분석 = 30
2.3 주요 발견 및 분석 = 32
2.3.1 C.B.S.행위그룹에 관한 발견 = 32
2.3.2 C.B.S. 행위에 관한 발견 = 33
2.3.3 C.B.S. 장소 및 환경지원요소에 관한 발견 = 35
제3장 결론 = 38
제4장 토의(Discussion) = 40
참고문헌 = 42
ABSTRACT = 4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