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도전과 유기의 송별시(送別詩)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Jung Do Jun and Liu Ji's Farewell Poetry

초록/요약

본고는 한·중 양국의 14세기 왕조 교체기의 시인 정도전과 유기의 송별시를 비교 연구하였다. 정도전과 유기는 각각 조선과 명나라를 세우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들 이다. 이런 이유로 한국과 중국에서는 이들의 정치가로서의 모습에 대한 연구가 풍 부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문학가로서 이 두 사람이 보여준 면모에 대 해서는 아직 충분히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고는 이 두 사람 이 학자이자 문인으로서 어떤 모습을 보이고 있었는지에 주목하고, 두 사람의 송별 시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정도전과 유기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을 정리한 결과, 정도전이 살았던 고려왕조와 조선왕조의 교체기와 유기가 살았던 원나라와 명나라 교체기에는 모두 혼란스러운 시대적 특징이 나타났지만, 두 시기의 구체적인 특징에는 차이가 있다. 고려왕조와 조선왕조 교체기의 사회적 갈등은 주로 무신정변에서 고려 말까지 발전한 권문세 족과 성리학을 추구하는 신흥사대부 간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반면, 원나라와 명나 라 교체기의 사회적 갈등은 상대적으로 더 복잡했는데, 주로 통치자의 부패 문제와 심각한 민족 갈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두 시인의 문학작품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본고는 '송별시'라는 문학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두 시인의 내면세계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두 시인 송별시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정도전과 유기의 송 별시의 전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두 시인이 송별시에서 당시의 시대상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두 시인의 송별시 내용의 구조를 정리한 결과, 정 도전과 유기는 송별시의 기본적인 창작 구조를 따르면서도 시인 자신에 관한 내용 도 담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그 내용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정도전의 송별시가 전반적으로 자신의 처지와 처한 시대의 모습을 묘사하는 방식 을 사용한 데에 반해 유기의 송별시는 송별의 대상자에게 조언을 해주면서 자신이 처한 시대와 정치에 관한 생각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자신에 관한 내용을 표현하였 다. 송별시는 시인이 자신과 가까운 사람을 떠나 먼 곳으로 가는 이별의 정을 표현한 문학작품이지만, 왕조 교체기와 같은 특수한 시기에 정도전과 유기의 송별 대상은 가족이나 연인이 아니라 당시의 관리들이었다. 이 때문에 정도전과 유기는 이별의 슬픔뿐 아니라 송별을 마주하며 자신이 처한 시대에 대한 생각을 표현하며, 이에 대한 비판까지 드러낼 수 있었다. 두 시인의 송별시를 연구함으로써 이들이 겪은 시대별 특징을 볼 수 있었다. 두 시인의 송별시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정도전은 그 의 송별시에 고려 말의 암울한 정치 상황 등 부정적인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달리 유기는 송별시에서 원나라의 부패 문제 에 대한 불만과 관리의 역할, 그리고 새 시대가 오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유기는 명나라 건국 이후에도 몇 편의 송별시를 창작했는데, 여기에는 기대와 달랐 던 현실 상황으로 인해 괴로워하는 모습도 나타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정도전과 유기가 문학을 통해 현실 문제를 비판하는 실례가 되는데, 이를 근거로 두 시인이 남긴 작품들의 문학적 가치를 논할 수 있다. 정도전과 유기는 송별시에서 현실 문제에 대한 비판적 의식뿐만 아니라 그에 대 한 대안도 제시하였다. 정도전은 송별시에서 부정적인 현실에 군자의 삶으로 맞서 야 한다는 것과 어려움을 마주해서도 본심을 지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강조하였다. 유기는 다른 이상 세계의 모습을 그리며 부정한 현실에 대한 불만과 그에 상응하 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두 시인이 각자 제시한 대안은 왕조 교체기라는 혼란스러 운 시대를 살았던 지식인으로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했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사 5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2
II. 정도전과 유기의 생애 및 시대적 배경 18
1. 정도전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18
2. 유기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4
III. 정도전 송별시의 현황과 내용 31
1. 정도전 송별시의 현황 31
2. 정도전 송별시의 내용 40
2.1. 상대에 대한 격려와 칭송 40
2.2. 부정적 현실에 대한 불안 44
2.3. 군자의 삶에 대한 의지 52
IV. 유기 송별시의 현황과 내용 57
1. 유기 송별시의 현황 57
2. 유기 송별시의 내용 68
2.1. 관료의 역할과 자세 68
2.2. 이상적 세계의 묘사 73
2.3. 한족으로서의 자부심 82
V. 정도전과 유기 송별시의 비교분석 87
1. 송별시 구성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87
2. 전환기 지식인의 현실 비판과 대안 96
VI. 결론 102
<참고문헌> 105
<中文摘要> 10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