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CABG 환자를 위한 간호사 주도 심장재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없음

Development and Effect of Cardiac Rehabili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CABG -Based on IMB model-

초록/요약

-국문요약- CABG 환자를 위한 간호사 주도 심장재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IMB 모델 기반-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김 화 순 (지도교수 : 김춘자) 본 연구의 목적은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skills(IMB) 모델을 토대로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환자를 위한 간호사 주도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심장 특이형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신체활동량, 건강성과(심장증상, 근골격지표, 건강관련 삶의질)로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은 방법론적 연구설계를 이용하였고, 프로그램 효과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반복측정 시차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A 대학교 병원 심장혈관 흉부외과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63명이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2022년 2월 1일부터 2023년 8월 31일까지이며 대조군(32명)은 12주 동안 평소 병원 치료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12주 중재 프로그램으로 실험군(31명)은 수술전 입원부터 퇴원 후 3개월 동안 IMB 모델 기반의 자가간호관리(신체활동)를 중심으로 수술전후, 퇴원 전후 및 퇴원 후 유지관리에 대한 간호사 주도 개별교육 및 코칭을 포함하는 심장재활 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대조군은 실험군 처치종료 후 교육 책자를 제공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와 동기 및 자기효능감 증진전략을 근거로 개발된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독립변수로 하고 심장 특이형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신체활동량, 건강성과(심장증상, 근골격지표, 건강관련 삶의 질)를 효과변수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신체 계측과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중재 전, 전환 시점, 중재 직후에 반복 측정하였다. 심장 특이형 자기효능감(Cardiac self-efficacy scale)은 Sullivan 등(1998)이 개발하고 Kang 등(2010)이 번안한 한국판 심장 특이형 자기효능감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가간호행위와 신체활동량은 각각 Jaarsma 등 (2009)이 개발한 한국판 European Heart Failure Self-care Behavior Scale(EHFcBS)와 한국판 국제신체활동질문지(IPAQ)로 측정하였다. 심장증상은 Nieveen 등(2008)이 개발한 CABG 후 심장증상조사(Cardiac Symptom Survey) 도구로 평가하였고, 근골격지표의 사지 골격근량은 Inbody로 측정하였고, 상대악력은 디지털 악력계로 측정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한국판 Medical Outcome Study 12-items Short Form Health Survey(MOS SF-12)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증 후 군간 동질성 및 가설검증을 분석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한 가설검증은 반복분산분석(RMANOVA)를 이용한 집단과 측정시기 간 상호작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IMB 모델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 차이가 심장 특이형 자기효능감의 변화양상에 따라 있을 것이다”의 가설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F=4.49, p=.013, ηp2=.07)을 나타내 보여 연구가설은 지지되었다. 2. “IMB 모델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 차이가 건강행위(자가간호행위와 신체활동량)는 변화양상에 따라 있을 것이다”의 가설검증에서 자가간호행위(F=20.16, p<.001, ηp2=.25)과 신체활동량(F=3.13, p=.047, ηp2=.05)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을 보여 연구가설은 지지되었다. 4. “IMB 모델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 차이가 건강성과(심장증상, 근골격지표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양상에 따라 있을 것이다”의 가설검증에서 근골격지표에서 상대악력은 집단과 시기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F=8.43, p<.001, ηp2=.12)을 보여 연구가설은 지지되었다. 그러나, 심장증상 빈도(F=0.78, p=.440, ηp2=.01)와 강도(F=1.04, p=.350, ηp2=.02), 골격근지수(F=1.11, p=.334, ηp2=.02),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F=2.87, p=.067, ηp2=.05)과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F=2.12, p=.125, ηp2=.03)은 집단과 시기 간 유의한 상호작용은 없어 연구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IMB 모델에 기반한 간호사 주도 12주 심장재활 프로그램은 CABG 환자의 심장 특이형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신체활동량 및 상대악력을 향상하는데 효과적인 단기중재로 임상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심장증상, 골격근지수, 건강관련 삶의 질의 건강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최소 6개월의 중재기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CABG 환자의 자가간호행위와 장기적인 건강성과 개선을 위해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종단적 연구설계를 적용하여 중재기간을 최소 6개월 이상으로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핵심어: 심장재활 프로그램, 관상동맥우회술, 자가간호행위, 신체활동, IMB(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skills) 모델 이론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의 가설 5
D. 용어의 정의 7
Ⅱ. 문헌고찰 12
A. 관상동맥우회술 후 건강문제와 건강성과 12
B. 관상동맥우회술 후 심장재활 프로그램 15
C. IMB 모델과 심장재활 프로그램 20
Ⅲ. 이론적 기틀 24
Ⅳ. 연구 방법 27
A. IMB 모델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 개발 27
B. 프로그램 효과 검증 54
C. 연구대상 55
D. 연구도구 59
E. 자료수집 방법 및 연구진행절차 67
F. 자료분석 방법 76
G. 연구의 내⋅외적 타당도 77
H. 윤리적 고려 77
Ⅴ. 연구결과 79
A.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 79
B. 연구의 가설검증 84
Ⅵ. 논의 101
A. IMB 모델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 개발 101
B. IMB 모델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105
C. 연구의 기대효과 113
Ⅶ. 결론 및 제언 115
A. 결론 115
B. 제언 116
참고 문헌 118
부 록 145
ABSTRACT 170

more